2025/01 417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심인경 (心印經) 수련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심인경 (心印經)  수련                                                                              블로그 풀꽃내음  심인경은 관법(觀法)이다.관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심인경은 그 중에서도 가장 으뜸의 관법주문이다.심인경에 통령을 하게 되면 나라의 이름을 바꿀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이 생기는데, 주문왕(周文王)의 건국을 도왔던 강태공(姜太公)이나 유비(劉備)를 도왔던 제갈량(諸葛亮),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을 세운 장자방(張子房)의 능력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주문이다. 일반인들에게는 단학(丹學)의 경전으로 알려져 글자의 뜻풀이에 많은 학자들이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심인경의 비밀은 내용보다도 그 자체가..

동양학/단학 2025.01.15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지맥통령 (地脈通靈)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지맥통령 (地脈通靈)                                                                               블로그 풀꽃내음  ‘지맥경’ 혹은 ‘지골경’은 신라 말기 승려인 도선국사가 당나라의 일행선사로부터 전수 받은 것인데, 도선 국사는 이 주문을 후학에게 전하기 위해 산 속 바위틈에 숨겨 두었는데, 500년 후 무학대사가 이를 찾아내었다. 비단보에 쌓여 있는 것이 너무 오래되어 만지면 부서질 것 같아 칠일칠야를 잠을 자지 않고 정성을 다하여 관법(觀法)으로 파악하여 기록한 것이, 지금 전해오는 지골경(地骨經)인 것이다. 지골경은 여자 신선들이 지도하며 전해주는 것이다.특히 신통한 능력은 남자 신선보다 여자 신선이 많이..

동양학/단학 2025.01.15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의학통령 (醫學通靈)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의학통령 (醫學通靈)                                                                               블로그 풀꽃내음  통령(通靈)이라 하면 글자 그대로 영적으로 신의 경지와 통하게 된다는 뜻이다.선계(仙界)의 천신(天神)들은 평소 자기 일을 하면서 또한 각자 궁극의 깨침을 향한 자기 수행에 정진하고 있다.그들 천신들은 나름대로 자기의 전공분야가 있는데, 의학이 전공인 천신도 있고, 무공이 전공인 천신도 있고, 지맥(地脈)에 통한 천신도 있다.그들 천신들 중 의학이 전공인 천신의 가르침을 받아 인간의 신체내부구조와 질병의 발생, 질병의 치료법 등에 통달하게 되는 것을 ‘의학통령’이라 하는 것이다우리의 역사상에서는 ..

동양학/단학 2025.01.15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원상 (原象) 수행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원상 (原象) 수행                                                                               블로그 풀꽃내음  엄밀히 말하면 원상수행은 주문수행이라 할 수 없지만, 주문수행으로 하는 방법 또한 있으므로 편의상 이 곳에서 소개하였다.원상문은 주역의 요지를 함축한 문장으로 계사전(繫辭典)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원상문은 회광반조(回光返照)를 숙련시키기 위한 원상수행에 주로 쓰이고, 한편으로는 그 자체가 각종의 신통력을 얻는 주문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주문으로서의 원상문 원상문은 다른 주문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가 주문이기도 하다.따라서 이로써 주문수행을 할 수도 있다. 원상문으로 주문수행을 하는 방법은 일반..

동양학/단학 2025.01.15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 의 주 문 수 행

좌도 수련   선도수행보감의 주 문 수 행                                                                              블로그 풀꽃내음   선도수행은 수행의 방법에 따라 주문수행(呪文修鍊)과 조식수행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조식수행과 주문을 낭송(朗誦)하며 하는 수행을 주문수행이라 하며, 좌도(左道)라고 부르기도 한다.수행은 깨달음이 목적이므로 신통력은 깨달음에 비해서 왼쪽(1차가 아닌 2차)의 자리에 있다하여 그렇게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주문수행도 엄연한 수행이며, 수행한 만큼 계제가 올라가는 것은 조식수행과 동일하다. 주문공부가 호흡보다 쉬울 것이라고 생각하나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주문수행은 조식수행보다 가리는 것도 많고 소리를 내게 되..

동양학/단학 2025.01.15

좌도 수련. 좌도 수련법

좌도 수련.  좌도 수련법                                                                      블로그 대안 우리 한국인의 도에 대한 자질과 관심은 전 세계 여러 국가의 국민들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다. 중국에서 건너온 것을 제외하고 순수한 우리 조상님들이 수련했던 도술은 무려 360여 가지나 되는 법술이 있으며, 그 중 몇 가지 술법만 가능하고 그 외의 것은 저급한 잡술에 불과하다.  ◉ 법술의 종류 ① 약차(藥借), 수차(水借), 산차(山借), 신차(神借)② 이보통령법(耳報通靈), 구천현녀이보법(九天玄女耳報法) 삼기현녀이보법(三機玄女耳報法)③ 육경신 도통법(六庚申道通法)④ 취물 취식법(取物取食法)⑤ 축지법(縮地法)⑥ 신척법(神尺法) 위의 6가지 술법..

동양학/단학 2025.01.15

丹學人 2. 봉우 권태훈 鳳宇 權泰勳 선생님

丹學人  봉우 권태훈 鳳宇 權泰勳 선생님의 생애와 사상                                                                                                    鄭 在 乘  봉우 권태훈(1900-1994) 선생은 국조(國祖) 한배검의 정신적 뿌리에서 비롯한 민족선가(仙家) 즉 상고현풍(上古玄風)의 20세기 마지막 종장(宗匠)이었다. 선생은 1900년 서울 재동(齋洞)에서 출생, 6세때 어머니로부터 정신수련의 근간(根幹)인 조식법(調息法)을 배웠다. 8세에 이미 사서삼경(四書三經)과 수 백권의 경서(經書)들을 독파하였으며 10세때 민족종교인 대종교(大倧敎 : 당시 단군교)의 창시자인 나철(羅喆) 대종사를 만나 가르침을 받고 입교(入敎)..

동양학/단학 2025.01.14

丹學人 1. 구봉 송익필 龜峰 宋翼弼 선생님

丹學人  구봉 송익필 龜峰 宋翼弼  선생님 구봉 선생님의 명은 익필(翼弼), 자는 운장(雲長), 호는 구봉(龜峯) 또는 현승(玄繩), 본관은 여산(礪山), 사련(祀連)의 아들로 중종 29년(1534)에 현 파주시 교하면 산남리 심악산하 궁동에서 생장하였으며 선생을 잉태 후 심악산에 나무들이 고갈되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동생 운곡 송한필(雲谷宋翰弼)도 문학에 이름이 높아 대학자 율곡 이이(栗谷 李珥)가 말하기를 성리학을 알 만한 사람은 오직 익필과 한필 형제뿐이라 말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당시 서출(庶出)로서 벼슬을 하지 못하였으나 이이(李珥), 성혼(成渾)등과 사우교제하면서 성리학에 통달하였고 예학 (禮學)과 문장에 뛰어나 이산해, 최경창, 백광홍, 최입, 이순인, 윤탁연, 하응임 (李山海, 崔..

동양학/단학 2025.01.14

丹學관련글. 조식호흡 이란 ( 하동인 단학비전 조식법 )

丹學 관련 글     조식호흡 이란 ( 하동인 단학비전 조식법 )註 : 본문은, 지금은 절판된 하동인 선배님의 '백두산족 단학지침'에 실린 내용입니다. 단전까지의 숨길을 되찾는 방법을 설명해 놓으셨으니 호흡에 뜻을 두신 초심자 분들은 다소 길어도 잘 살펴 정독해 보시길 바랍니다.  1-1 조식호흡이란.조식호흡이란 깊고 가늘고 고르고 긴 호흡을 언제나 여유 있게 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우리가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인 어머님의 뱃속에서 탯줄을 통하여 생명을 유지하던 시절의 호흡을 태식(胎息)이라고 한다. 쉽게 말하면 조식호흡이란 이 태아시절의 호흡 상태와 가장 비슷한 호흡을 하는 것이며, 이는 의식적인 훈련으로 가능하다. 태아시절은 성인의 전신이니, 전생이라고 말하는 것을 종종 본다. 몸은 태아로 되돌아갈..

동양학/단학 2025.01.14

丹學 관련 글. 하동인의 용호결 풀이

丹學 관련 글     하동인의 용호결 풀이                                                                                    ~  류도사  ~ 용호결[용호결]은 '북창결(北窓訣)' 또는 '용호비결'로 알려져 전해내려 오고 있다. 이조 중종(中宗) 원년(1506) 음력 3월 갑신일에 태어난 정염 선생이 남기신 글이다. 이 어른은 1490년대 중엽이후 3대에 걸쳐 벼슬하던 집안에 태어났으며, 아버지 순붕(順朋)께서 중종, 인종, 명종, 세 임금을 섬겨 벼슬자리에 있었고, 어머니는 태종(太宗)의 장왕자 양녕대군의 증손녀였다.선생은 어릴 적부터 마음을 가다듬어 신과 통할 줄 알았다고 전해온다.어렸을 때 산사(山寺)에서 선가(禪家)의 육통법(六通法..

동양학/단학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