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버섯 149

자갈색쟁반버섯 Pachyella celtica ( = Peziza celtica ) 추정

학 명 : Pachyella celtica (Boud.) Häffner분 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주발버섯과 쟁반버섯속(주발버섯속) 관찰 일시 : 2025년 5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아파트단지 내자생 환경 : 아파트단지 내의 건물 북쪽 화단의 철쭉, 큰 비비추포기 아래의 그늘이 많은 곳, 관찰 사항 : 습기가 있고, 그늘이 특히 심하게 지며 풀이 없고 이끼가 있기도 한 곳에서 30 여 송이 정도가 산생하고 있었는데 노균의 모양이나 크기는 흰흑안장버섯 같다는 느낌이었다. 버섯 발생 장소에는 철쭉꽃이 피고있는 또는 큰 비비추포기 아래의 좀 어둡고 그늘이 많으며 이끼가 있거나 없는곳에 다수의 버섯들이 산생하고 있었다.버섯카페에서는 처음에는 깜보라주발버섯(임시명 Peziza su..

미 동정 주발버섯속 의 버섯 20250505 - 05

학 명 : Peziza 분 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주발버섯과 주발버섯속 관찰 일시 : 2025년 5월 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아파트단지 내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아파트단지 내의 건물 북쪽 화단의 철쭉 아래의 그늘이 많은 곳, 관찰 사항 : 습기가 있고, 그늘이 특히 심하게 지며 풀이 없는 곳에서 10~20 송이 정도가 발생하고 있었는데 노균의 모양이나 크기는 흰흑안장버섯 같다는 느낌도 들었다. 버섯 발생 장소에는 철쭉꽃이 피고있는 좀 어두운 그늘이어서 혹시 철쭉꽃과 관계가 있을까 하는 의문조 들었다.버섯카페에서는 깜보라주발버섯(임시명 Peziza subviolacea Svrcek)의 느낌이 있느나 주발버섯속의 버섯들은 유사종이 많다는 것을 유념하라며 유사종으로는 보라주발..

미 동정 에밀종버섯속 의 버섯 20250505 - 02

2025년 5월 5, 6일에 보았던 버섯이다.대전시 서구 갈마동 경성큰마을아파트 단지 내의 건물 북쪽 그늘이 많고 이끼가 낀 빈 공터에 1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사진의 4번째 이하는 핸드폰 사진이어서 색상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다음 날 1~3번의 사진을 카메라로 다시 담은 것이다.그 장소에서는 해마다 이 버섯의 발생을 볼 수 있었으나 아직 정확한 동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미 동정 주발버섯속 의 버섯 20250505 - 01

2025년 5월 5, 6일에 보았던 버섯이다.대전시 서구 갈마동 경성큰마을아파트 단지 내의 건물 북쪽 그늘이 많고 살짝 이끼가 낀 빈 공터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사진의 5번째 이하는 핸드폰 사진이어서 색상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다음 날 1~4번의 사진을 카메라로 다시 담은 것이다.필자는 갈색주발버섯을 의심하였는데, 버섯카페에서는 색상도 정상이 아니며 특징이 잘 보이지 않는다며 갈색주발버섯 같지는 않다는 의견이었다. 같은 장소에서 이때쯤 이면 이 버섯은 가끔 보였다.

물두건버섯과 의 버섯 240531 - 04

관찰 일시 : 2024년 5월 3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동향의 잡목림 아래로 난 물이 조금 있는 도랑 관찰 사항 : 부분적으로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살짝 물에 잠기어 있던 작은 나뭇가지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앞의 물두건버섯과 240531-03과 같은장소였는데 같은 종류인지는 판단이 서지 않는다.

미 동정 물두건버섯과 의 버섯 240531 - 03

관찰 일시 : 2024년 5월 3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동향의 잡목림 아래로 난 물이 조금 있는 도랑 관찰 사항 : 부분적으로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살짝 물에 잠기어 있던 작은 나뭇가지에 2개의 버섯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도 흔히 보이는 버섯 같은데, 발생 수가 적고, 1 개체는 자루부위가 회흑색으로 되어 있고 다른 개체는 흰색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아마도 어릴때에는 그대로 흰색이었다가 노균이 되면서 변하는 것으로 판단이 되었다. 이번의 관찰로 자루나 머리부위의 변화를 찾은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