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6 22

丹學人物考. 봉우 권태훈 鳳宇 權泰勳 선생님

丹學人物考.   봉우 권태훈    鳳宇 權泰勳 선생님                                                                              글  鄭 在 乘   봉우 권태훈(鳳宇 權泰勳 1900-1994) 선생은 국조(國祖) 한배검의 정신적 뿌리에서 비롯한 민족선가(仙家) 즉 상고현풍(上古玄風)의 20세기 마지막 종장(宗匠)이었다. 선생은 1900년 서울 재동(齋洞)에서 출생, 6세때 어머니로부터 정신수련의 근간(根幹)인 조식법(調息法)을 배웠다. 8세에 이미 사서삼경(四書三經)과 수 백권의 경서(經書)들을 독파하였으며 10세때 민족종교인 대종교(大倧敎 : 당시 단군교)의 창시자인 나철(羅喆) 대종사를 만나 가르침을 받고 입교(入敎)했다. 19세에는 당시..

동양학/단학 2025.01.16

丹學人物考. 구봉 송익필 龜峯 宋翼弼

丹學人物考.   구봉 송익필  龜峯 宋翼弼                                                           硏精會報 5호 에서  구봉 송익필 (宋翼弼 1534년 중종29년~1599년 선조32년) 선생님은 부 송사련(宋祀蓮1496-1575)의 사남일녀 중 삼남으로 字는 운장(雲長), 號는 구봉(龜峯), 諡號는 문경(文敬),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학문과 식견. 문장. 재략이 뛰어났으며 그의 형제 인필. 부필. 한필 등도 학문과 문장에 뛰어났는데, 특히 아우 한필은 백미였다. 그러나 그의 조모가 전 성균관 사례 안돈후의 비첩 출신 첩(중금)의 소생인 甘丁이라는 것에서 신분적 제한이 많았다. 이조시대는 성리학에 이념을 두고 이로써 과거시험을 쳐서 출사(出仕)하는 사대부..

동양학/단학 2025.01.16

丹學人物考. 고운 최치원 孤雲 崔致遠

丹學人物考.   고운 최치원  孤雲 崔致遠                                                          硏精會報 4호 에서  최치원(崔致遠 AD 857~?),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運), 시호(諡號)는 문창후(文昌侯), 경주의 사량부(沙梁部) 사람이라 전한다.신라의 육두품(六頭品) 출신의 경주최씨(崔氏)의 문중에서 태어났다. 원래 신라는 엄격한 골품제도에 의하여 사회를 이끌어 나간 시대이다. 즉 골품에 따라 벼슬의 한계가 정해져 있던 것이다. 제1위관인 이벌찬(伊伐湌)에서 제5위관인 대아찬(大阿湌) 까지는 성, 진골(聖 眞骨)에 한하게 되어있고, 따라서 육두품 출신은 제6위관인 아찬(阿湌) 이상으로는 올라갈 수가 없었던 때이다. 신라 말기에 이르러 육두품의 상..

동양학/단학 2025.01.16

丹學人物考. 권진인 權眞人

丹學人物考.   권진인  權眞人                                                           硏精會報 3호 에서  권진인(權眞人)은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시조(始祖) 태사공(太師公) 행(幸)의 증손이라고 전하나 안동권씨 족보에는 전혀 기록된 바 없다. 홍만종(洪萬宗 1643~1725)이 1666년에 탈고 한 ‘해동이적(海東異蹟)’과 허균(許筠 1569~1618)의 ‘사부고(四部稿)’, 이수광(李수光 1563~1629) 의 ‘지봉유설(之峯類說)’또 허균의 단학 스승인 한무외(韓無畏 1507~1610)가 저술한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 등을 참고하여 보면 호를 치상(雉裳=赤裳의 와전인 듯) 이라 하고, 상락(上洛=지금의 상주) 대성(大姓)의 아들이라 한다.송나라 ..

동양학/단학 2025.01.16

丹學人物考. 국창 박엽 菊窓 朴燁

丹學人物考. 국창 박엽  菊窓 朴燁                                                          硏精會報 2호 에서  1570년 (宣祖 3년)에 태어나 1623년 (仁祖 1년)에 卒 하였다. 文官으로 字는 숙야(叔夜), 號는 菊窓, 本貫은 반남이다. 1597년 (宣祖 30년)에 文科에 급제, 內外職을 歷任하여 가는 곳마다 治積을 올렸다. 咸鏡南道兵司가 되어 城池를 수축(修築)하여 北西의 防備를 확고히 했고 黃海道兵史를 거쳐 平安道觀察司가 도어 6년동안에 治積이 나타나서 名聲이 높았다. 北胡들의 動靜을 잘 알고 防備하였으므로 그들이 감히 沿邊을 侵犯하지 못하였다. 당대의 權臣 이이첨(李爾瞻)을 모욕하고도 無事하리 만큼 名聲을 떨쳤다. 仁祖反正 後 그의 夫人이 光海君..

동양학/단학 2025.01.16

삼혼칠백설(三魂七魄說)과 취기응신설(聚氣凝神說)

삼혼칠백설(三魂七魄說)과 취기응신설(聚氣凝神說)                                                                          무속 애동제자 연대   이해를 돕기 위해 동양 무속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자 한다. 물론 필자만의 분류법이다. 이 내용 중 일부학설은 국내 처음으로 내가 소개하는 것임을 밝혀둔다.동방무가(한국), 서방무가(티벳,납서족), 남방무가(중국 남부,묘족,백족,여족 등 제민족), 북방무가(만주,러시아 일대의 샤만), 중방무가(중국,특히 양자강 유역)이다. 기령과 귀의 형성 과정에는 몇가지 설이 있다.1) 물로성정설(物老成精說)2) 삼혼칠백설(三魂七魄說)3) 굴사원혼설(屈死怨魂說)4) 취기응신설(聚氣凝神說) 물로성정설은.... 고래로부터 ..

동양학/단학 2025.01.16

부정( 不淨 ) 에 대하여

부정( 不淨 ) 에 대하여                                                                   출처  미상  부정이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무속에서 사용됐는지는 불분명합니다. 하지만 기축년(1889년) 별기은(別祈恩:나라에서 행한 산천제)에 부정거리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조 말기에는 부정을 치는 의식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고려사에서는 부정거리라는 용어가 보이지 않습니다.부정(不淨)의 참뜻은 청정치 못하다는 뜻입니다.청정한 기운이 존재한다면 부정한 기운도 존재하는 것입니다.불교에서도 부정을 치는 의식인 도량게가 있습니다.영산제나 각종 재를 올릴 때 주위의 부정을 가시게 하고 청정하게 만드는 의식입니다. 범패에 맞춰 춤을 추면서 혹은 경문만으로 도량..

동양학/단학 2025.01.16

북두칠성과 태을천이 우주에 미치는 역할

북두칠성과 태을천이 우주에 미치는 역할                                                                        블로그 > 연듸모루   하늘의 중심에는 북극성과 북두칠성이 있는 자미원(태을천)이 있고, 그 밖으로 28수(宿) 안의 태미원과 28수 밖의 천시원이 있다.우리 조상들은 천문의 분포를 3원, 28수 그리고 300의 성좌(별자리)와 1,460개의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자미궁은 하늘의 핵심으로 상제가 머무는 곳이며, 이러한 자미궁은 제후격인 28수(동서남북 각 7개)의 호위를 받고, 28수는 28수대로 해와 달, 목, 화, 토, 금, 수성의 7개 별인 칠정(七政)의 호위를 받고 있다.하늘이 구천까지 전개되어 있다고 보았기에 자미궁을 구천..

동양학/단학 2025.01.16

좌도 수련 주문. 태을보신경문 해석

좌도 수련 주문.    태을보신경문 해석                                                            블로그 http://blog.daum.net/sjpark1225/12648645   태을보신경신선들이 나를 보호하는 경문 태상왈 황천생아 황지재아태상노군이 가로되 하늘님이 나를 낳으시고 땅 위에 내가 있으니일월조아 성신영아해와 달이 나를 도우시고 별이 나를 비쳐주시고제선거아 사명여아모든 신선들이 나를 키워주시고, 사명 노인성(별)이 나를 이끌어 주시고태을임아 옥신도아태을성이 나에게 임하고, 신은 나를 옥과 같이 여기시며삼관보아 오제우아천관 지관 수관 3대제관이 나를 도와주시며, 동방청화대제 남방장생대제 중앙무량대제 서방호풍대제 북방자미대제가 나를 도와주시고북진..

동양학/단학 2025.01.16

좌도 수련 주문. 칠성경 해설

좌도 수련 주문.    칠성경 해설                                   출처 : http://blog.empas.com/ilsimjo/ 일심조님  칠성경의 의미칠성경은 북두칠성을 근본으로 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칠성경은 무병장수와 관련이 있다. 칠성경에 `원황정기 내합아신`이라는 구절이 있다.이것을 따로 떼어서 읽기도(원정주) 하며 이 주문을 많이 읽으면 백병이 퇴한다. 원원한 우주 안에 있는 그 정기가 내 몸에 와서 합한다는 뜻이다.북두칠성의 자세한 사항을 통해 칠성경의 근본정신이 무엇인가를 보기로 한다. "북두칠성의 괴 위에 있는 6개의 별을 문창궁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각각 상장(上將), 차장(次將), 귀상(貴相), 사명(司命), 사중(司中), 사록(司綠)이라고 한다."여기에..

동양학/단학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