丹學人物考.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 硏精會報 16 호 에서 [ 1762년 영조 38~1836년 (헌종 2), 本貫은 나주(羅州). 字는 수시(美庸), 號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 시호는 문도(文度), 주요저서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심서(欽欽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등.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 고매한 인품과 방대한 저술, 특히 유형원(柳馨遠) 이익(李瀷)을 통해서 내려온 실학(實學) 사상을 한 몸으로 집대성(集大成)하여 실학의 체계를 이룩하신 분으로 이름이 높은 정약용 선생은 영조 38년(1762) 진주목사 정재원(鄭載遠)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