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지 符都 誌 제 3 장 : 배달국 시대 제 3 장 : 배달국 시대 第十一章 환인씨의 아들 환웅씨는 태여날 때부터 큰 뜻을 가지고 있었다. 천부 삼인을 계승하여, 수계제불 (修계除불) 하였다. 천웅(天熊)의 도를 수립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그 유래한 바를 알게 하였다. 어느덧 인세(人世)가 의식(衣食)의 일(業)에만 편중하므로, .. 동양학/민족학 2012.03.02
부도지 符都 誌 제 2장 : 부도(不渡)의 시대 제 2장 : 부도(不渡)의 시대 第五章 백소씨족(白巢氏族)의 지소(支巢)씨가, 여러 사람과 함께 젖을 마시려고 유천(乳泉)에 갔는데, 사람은 많고 샘은 작으므로, 여러 사람에게 양보하고, 자기는 마시지 못하였다. 이렇게 하기를 다섯 차례나 되었다. 곧 돌아와 소(巢)에 오르니, 배가 고파 어.. 동양학/민족학 2012.03.02
부도지 符都 誌 제 1장 : 마고(麻故)의 시대 부도지 符都 誌 http://www.bluecabin.com.ne.kr/ 역사광복운동분부에서 부도지는 징심록 상교 제1지라고 하며, 우리의 상고사를 기술한 사서 중에 가장 오래전의 역사를 비교적 자세히 기술한 문헌으로 서기 1953 년(단기 4286년) 박금선생의 프린트본으로 세상에 알려진 책이라 전하고 있습니다. .. 동양학/민족학 2012.03.02
화 (化) ☆ 화 (化) 화학반응에서는 본래의 성질이 없어지고 전혀 다른 성질로의 변화이다. 중화반응이란 산의 수소이온(H+)과 염기의 수산화이온(OH-)이 전기적인 인력으로 만나서 원래의 성질들을 버리고 전혀 다른 성질의 물(H2O)이 되는 반응이다. 적정중화란 산의 수소이온(H+)과 염기의 수산화.. 동양학/단학 2012.03.01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1) 놀이 속의 역경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1. 놀이 속의 역경 ( 1 ) '도리도리'와 '짝짜꿍' 역경을 교육시키는 놀이들을 다 쓰려면 책을 한 권 따로 써야하지만,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몇 개 있다. 아기가 머리를 자기 목의 힘으로 들고 있을 때쯤 되면 도리 도리라고 명령을 하면 아기는 머리를 좌우로 회전시..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0) 맛 속의 역경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0. 맛 속의 역경 ( 1 ) 음식의 음양 이 세상에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이 있다.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과 비슷한 것을 먹을 수 있고 비슷하지 않고 전혀 다른 것은 먹을 수 없다. 원소로 말하자면 탄소(carbon), 수소(hydrogen), 산소(oxide), 질소(nitrogen)..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9) 소리 속의 역경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9. 소리 속의 易經 - 황종과 율려 ( 1 ) 율려(律呂)와 황종(黃鍾) 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높고, 빠른 템포의 음악을 들으면 사람은 흥분하고 낮고, 느린 템포의 음악을 들으면 사람이 조용해진다. 음의 높고 낮음, 빠르고 느림을 역경의 이론에 맞추어 한 번은..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8) 色 속의 易經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8. 색 속의 역경 ( 1 ) 5색 색깔에는 靑, 赤, 黃 三元色과 명도가 높을 때 나타나는 색, 백색과 명도가 어두울 때 나타나는 색, 흑색이 있다. 동물에게는 물체의 색깔을 보고 그 물체의 작용을 예측하는 본능이 있다. 붉은 것을 보면, 불과 피의 이미지를 보며 흥분을 한..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7) 64 괘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7. 64 괘 1) 건 乾 乾 건( 하늘-마르다 ) 에너지 덩어리인 하늘을 뜻한다. 양효로만 되어 있어 그 팽창력은 강력하다. white hole의 폭발 작용을 주도한다. 쾌 ( 결함이 있다 ) 주역의 괘에 대한 설명은 양 위주로 설명한다. 5개가 양이나 겉의 하나가 음이기 때문에 '모자란..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6) 8괘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6. 8괘 ( 1 ) 八卦의 뜻 괘를 그릴 때는 밑에서부터 그린다. 태괘(兌)를 그린다면 가장 밑 괘인 양을 먼저 그리고 다음에 중간 괘인 양을 두 번째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윗괘인 음을 그린다. 괘를 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한자처럼 괘가 이루는 형상을 보는 것..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