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원 5. 단학 수련의 마음가짐 5. 단학 수련의 마음가짐 가. 스스로 지나치게 믿고 자만하지 말아야 한다. 누구에게나 본인이 알지 못하는 큰 결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음을 명심하고 남보다 월등히 좋은 성과, 빠른 성과를 기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나. 성질이 급한 사람이나 마음이 여린 사람 중에 시작..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4. 단학 수련의 목적 4. 단학 수련의 목적 단학수련은 간단히 말하여 지혜(性)와 건강(命)을 아울러 닦는 쌍수(雙修)의 道이다. 그 방법은 매우 쉽지만 결과는 지극히 오묘하여 헤아리기 어려운 것이다. 현 사회가 극도로 발달한 물질문명으로 말미암아 모든 가치의 척도가 옛날과 달라져 인간은 그 존..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3. 단학의 뜻 3. 단학의 뜻 단(丹)이란 밝다는 뜻으로 일찍이 은나라 갑골문자로부터 전해져 왔으며 해(日)와 달(月)을 상징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이다. 고로 丹學이란 밝은 학문, 밝았던 것을 밝히는(明明) 학문 또는 밝은 것을 배우는 학문이라 하겠으며, 좀더 뜻을 넓히자면 살아있는 사람이..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2. 단학의 시원 2. 단학의 시원 우리민족의 역사가 어느 하나도 올바르게 전해지지 못한 마당에 우리 민족과 더불어 성쇄부침을 갗이 하여 온 단학의 내력을 어찌 상세히 알 수 있으랴마는, 다만 구구상전하여 오는 말에 의하면 멀고 먼 옛날(약 만여년 전) 대황조 한배검님께서 홍익인간의 이념..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1. 단학의 필요성 1. 단학의 필요성 자고이래로 인간의 욕망과 희구하는 바는 개인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다고 하지만 대체로 보아서 건강과 지혜라고 생각 할 수 있다. 무병하게 오래 살며 남보다 더 우월한 신체적인 능력의 소유자가 되고자 개인은 개인대로, 국가는 국가대로 국민의 건강과 체.. 동양학/단학 2012.01.20
[스크랩] 송구봉의 태극문(太極問) 팔십일 문답, 원문과 해석 全文 송구봉의 태극문(太極問) 팔십일 문답, 원문과 해석 全文 편집자의 말. 송구봉의 태극문(太極問)은 태극으로 비롯되는 우주관을 글로서 압축시킨 내용으로서 대단히 중요한 문답형식의 차원 높은 글이다. 태극의 이치는 곳 주역 경문의 이치요, 성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서 .. 동양학/단학 2011.12.09
[스크랩] 양명학의 등장과 분화 양명학의 등장과 분화 명대에 들어 현실과의 긴장 관계를 상실하고 경색된 학문태도를 보인 관학으로서의 주자학자들은 자신들은 주희의 이론을 철저히 따르기만 하면 된다는 생각에서 실천 중심주의나 교조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에 대한 반발이 진헌장과 담약수를 통해 리학(理學)에.. 동양학/종교 2011.09.10
[스크랩] 주자학의 성립과 전개 주자학의 성립과 전개 주희(朱熹)는 남송 초기 양자강 이북을 이민족이 지배하던 시기를 살았다. 젊어서는 노자와 불교 등에 두루 관심을 두다가 이동에게서 성리학을 배웠다. 만년에 ‘거짓 학문(僞學)’으로 몰렸지만 북송 성리학의 집대성하여 동아시아의 보편적 세계관을 세웠다. 대표적인 성리학.. 동양학/종교 2011.09.10
[스크랩] 도가(道家)사상의 전개, 노자와 장자 도가(道家)사상의 전개, 노자와 장자 1. 노자의 사상 중국에서 처음으로 도(道) 개념을 통해 천지만물의 존재와 운동을 설명한 사상가는 노자(老子)이다. 이 사고는 무신론과 범신론적 사고, 그리고 만물평등의 이론으로 연결되며, 봉건제를 타파하려는 진보적인 사상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노자는.. 동양학/종교 2011.09.10
[스크랩] 유가(儒家)사상의 전개, 맹자와 순자 유가(儒家)사상의 전개, 맹자와 순자 1. 맹자의 사상 맹자(孟子, 기원전 372~298)는 공자 죽고 100여 년 지난 전국시대에 태어났다.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유명한 고사이다. 맹자는 스스로 공자를 이었다고 자부하였다. 맹자가 당시 많은 호응.. 동양학/종교 201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