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이 만난 버섯 246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Zhu L. Yang & Yoshim. Doi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9월 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북동향 혼합림 내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갓의 윗면에는 내피막이 남아있고, 턱받이는 위(바깥)쪽은 백색이나 아래(안)쪽은 옅은 황색으로 자루 윗쪽에 붙어있으며, 자루의 기부는 크게 불풀지 않고 자루주머니는 백색으로 약간 갸름한 편이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는 흰주머니광대버섯으로 보았는데, 네이처링에서 최석영은 학명만 등재를 하면서 독우산광대버섯 같은데, KOH에 황색의 변화가 없고 갓이 녹아내린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국립농업과학원 에서는 사진 자료..

미동정 외대버섯속 의 버섯 20210710 - 12

미 동정 외대버섯속 의 버섯 20210710 - 12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보라매공원 자생 환경 : 평지에 조성 된 모 기관의 정원의 잔디밭 관찰 사항 : 잔디밭 가장자리 이끼가 낀 곳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외대버섯속 까지만 동정을 하였다. 모습이 예뻐 보였다. 같은 버섯 다른자료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4768

예쁜이외대버섯 Entoloma pulchellum

예쁜이외대버섯 Entoloma pulchellum (Hongo) Hongo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보라매공원 자생 환경 :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잔디밭 가장자리 관찰 사항 : 잔디밭 가장자리 잔디 사이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요즈음 외대버섯속의 버섯들이 자주 보인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1~2cm 정도로 작고, 어릴때는 반원모양 이다가 점차 편평해지지만 가운데가 약간 오목 한 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갓의 표면은 오렌지갈색인데 섬유상이며 성숙해도 색은 변하지 않고, 가운데는 흑갈색으로 미세한 섬유모양이며, 건조해지면..

맑은대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longistipitatus

학명 : Dacrymyces longistipitatus Shirouzu 분류 : 담자균문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주발목이속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걸려있던 나무토막에 발생 관찰 사항 : 도랑변에 걸려있던 부패가 진행 활엽수목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오래 전 부터 관찰이 되어오던 버섯인데, 이번에 버섯카페에서 학명 만 얻었다. 2023년 7월 11일, 버섯카페에서 임시명으로 맑은대붉은목이 란 이름을 주었다. 속명이 주발목이속 이기때문에 맑은대주발목이 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성이 높을것 같은데,,, 다음 은 네이버 카페 " 한국야생버섯분류회 " 에서 옮겨 온 것이다...

밤자갈버섯 Hebeloma vinosophyllum

밤자갈버섯 Hebeloma vinosophyllum Hong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막질버서과(임시명) 자갈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9 월 1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작지 않은 야산, 능선부 잡목림 아래에 멧돼지의 배설물이 흩어져 있던 곳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과거에는 독청버섯과로 분류가 되었었는데 잘못이 확인되어 임시명으로 막질버섯과 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이 버섯은 필자의 경험으로는 멧돼지의 배설물 흩어진 곳에서 관찰이 되었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버섯은 죽은 동물의 사체를 분해하는 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는 버섯으로, 갓은 지름 1.5~4 cm 정도로, 어릴 때는 둥근산 모양이다가 점차 편평한 모양으로 된다...

망태말뚝버섯 Hymenophallus indusiatus

망태말뚝버섯 Hymenophallus indusiatus (Vent.) Nees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7 월 30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나무밭에 10 여 송이의 버섯들이 산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내용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버섯의 유균은 지름이 약 3~4 cm 정도로 알모양이고, 외피 표면은 하부는 백색, 회백색이고 윗부분은 옅은 적자갈색이다. 표면은 매끄럽고 기부에는 뿌리모양의 균사속이 있다. 어린 자실체를 잘라보면 내부에 갓과 자루, 망태가 될 부분이 들어있다. 유균이 자라면서 외피막이 찢어져 갓, 자루, 망태 부분이 돌출되고 알 모양의 부분은 주머니모양으로 된다. 갓 부분은 2.5~4 cm 정도로 종모양이..

턱수염버섯 Hydnum repandum

턱수염버섯 Hydnum repandum 20200725 - 15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턱수염버섯과 턱수엽버섯속의 버섯 2020 년 7 월 2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한밭수목원의 참나무숲 아래에 많은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실 한 꾀꼬리버섯 인 줄로 알았는데 어쩌다 갓의 밑면을 보게 되었는데, 돌기가 보였다. 어느곳은 꼬꼬리버섯 처럼 균환을 이루는 곳도 있었다. 자생지에서 잘 관찰을 하지 않으면 꾀꼬리버섯으로 넘어가기 쉽상일 것 같았다. 균학계에서는 이 버섯과 흰턱수염버섯을 같은 버섯으로 취급하고 있는데, 필자의 관찰로는 다른 버섯으로 생각된다. 우선 턱수염 모양은 동일하나 이 버섯은 자루의 모습이 갓의 중심부에 부착되는데 반하여 흰턱수염버섯은 대체로 갓의 가장자리로 붙으며,..

회색주름광대버섯 Amanita grisefolia

회색주름광대버섯 Amanita grisefolia Zhu L. Yang 담자균문 주름버서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서속 의 버섯 2020 년 7 월 21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무주구천동 입구, 빈 공간의 잡초 사이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약 4~8cm 정도로 어릴때는 종모양에서 반원모양이 되고, 성숙하면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결국 편평하게 된다. 갓의 표면은 황갈색에서 어두운갈색으로 변해가고 습할때는 끈적거리며, 암회색 섬유 내지 가루모양의 인편으로 덮이나 때로는 탈락하여 일부만 보일때도 있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홈선이 있으면서 가운데 보다 옅은색이다. 주름살은 백색으로 자루에서 떨어져붙은 모양이고 주름살 간격은 약..

검은무당버섯 Russula albonigra 

검은무당버섯 Russula albonigra (Krombh.) F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7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조성 된 한밭수목원 참나무숲 아래의 흙에 몇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사진의 자료는 표준에 비하여 초대형의 모습이다. 다음 의 내용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약 4.5~10cm 정도로 어릴때는 낮은반원모양이다가 성숙하면서 가운데가 오목 한 편평한 모양 또는 깔때기모양이 된다. 갓의 표면은 대체로 평활하며 어릴때는 백색이지만 곧 흑갈색을 거쳐 흑색으로 변해가고 습할때는 약간 끈적거린다. 살(조직)은 백색이나 상처가 나면 연한 자주색이 가미 된 흑색을 거쳐 흑색으로 변해가며 박하..

회색귀신광대버섯 Amanita onusta 

회색귀신광대버섯 Amanita onusta (Howe) Sacc, Syll.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020 년 7 월 1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반포면 상신리 계룡산 산자락부의 그늘이 심 한 곳의 이끼 낀 돌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약 4~7cm 정도로 어릴때는 반원모양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의 표면은 회색 솜털모양의 물질과 각진 회백색의 인편이 혼재되어있는 형태로 갓 전면에 덮여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솜털~거미집 모양의 외피막 조각이 붙어있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백색에서 크림색으로 변해가고, 자루에 떨어져붙은모양이며 주름살 간격은 촘촘하고 주름살 날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