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이 만난 버섯 246

뽕나무버섯부치(붙이) Armillaria tabescens

뽕나무버섯부치(뽕나무버섯붙이) Armillaria tabescens (Scop.) Emel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9 월 8 일에 보았다.계룡산에 딸린 산, 북향의 작은 능선 부근의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몇 송이 씩 속생하고 있었다.식용버섯 이다. 턱받이가 있는 같은 속의 다른 종과는 달리 턱받이가 없어 쉽게 구분된다. 갓은 지름 4~6㎝정도로 작은 편이며, 어릴 때는 낮은 반원모양에서 점차 편평해지고 나중에는 가운데가 오목해진 후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오랫동안 안쪽으로 말려있다. 갓 표면은 황색에서 옅은 황갈색이 되고 가운데에 갈색의 가는 인편이 밀집되어 있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갈색의 얼룩이 생기고, 자루에 내려 붙은 주름..

구슬광대버섯 Amanita sychnopyramis

구슬광대버섯 Amanita sychnopyramis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8 월 29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둔산 북향의 계곡 경사가 완만 한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사진의 버섯은 유균에 가까운 모습이다. 갓은 지름 3~9㎝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가운데가 약간 오목한 편평한 모양으로 된다. 갓 표면은 습하면 다소 끈적거리고 회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백색 또는 옅은 회갈색의 작고 각진 외피막 조각이 다수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홈파진 선이 있다. 살(조직)은 백색으로 얇다. 주름살은 백색으로 자루에서 떨어져 붙은 주름살이며, 주름살 간격은 촘촘하다. 자루는 4~12㎝정도로 위쪽으로 ..

붉은점박이광대버섯 Amanita rubescens

붉은점박이광대버섯 Amanita rubescens Pers. var. rubescens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017 년 8 월 22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야산, 동향의 물이 흐르는 도랑변 관목 아래의 땅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식용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 된다. 이 버섯의 특징은 이름에 들어난 대로 주름 등 곳곳에 상처를 입었을 때 적갈색의 얼룩 반점이 생기는 점이 특징이다. * 중형∼대형. 붉은 색(rubẻscens) 버섯. 갓은 적갈색, 담갈색 사마귀가 점 모양 부착. 대는 연한 적갈색. 위쪽에 막질의 고리가 있는데, 백색 또는 황색을 띤다. 갓 : 폭 5∼15c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반구형 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부가 약..

미동정 광대버섯속의 버섯(흰달걀버섯)

미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흰달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017 년 7 월 2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보통 크기의 야산, 서향의 계곡 경사면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몇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식용 버섯이다. 이 버섯은 대주머니가 특별히도 크게 느껴지는 대형버섯이라는 느낌이 드는 버섯으로 갓의 가장자리로 홈선이 있다. 다음은 흰달걀버섯에 대한 설명이다. 유명한 "달걀버섯"을 대입시켜 비교해서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갓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는 것이 비슷하게 보이는 맹독버섯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꼭 기억해야할 특징이다. 갓은 지름 5~15㎝정도로 큰 편이며 어릴 때는 종 모양에 가까운 반원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운..

애기방귀버섯 Geastrum mirabile

애기방귀버섯 Geastrum mirabile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방귀버섯목 방귀버섯과 방귀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2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보통 크기의 야산, 서북향의 산자락 숲이 우거진 낙엽 사이에 10 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식 독 불명의 버섯이다. * 1cm 이하, 매우 작고, 유균은 적갈색 작은 공 모양, 후에 각피가 5∼7쪽으로 갈라지고 허연색∼담갈색 주머니 돌출. 자실체는 유균 때 낙엽층 내에 0.5∼1.0cm 정도의 작은 공 모양으로 형성되고, 표면은 적갈색∼담황색의 면모상 균사가 피복되어 있다. 후에 각피의 위쪽이 5∼7쪽으로 별 모양으로 갈라지면서 내피에 싸인 복숭아형의 기본체가 들어난다. 지름 1.4∼2.2cm, 열개된 외피는 완전히 열개되지 않으며, 바깥쪽으로 휜다. ..

유리버섯 Delicatula integrella

유리버섯 Delicatula integrella (Pers.) Fayo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송이과 유리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18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아파트단지 내의 그늘이 있는 화단의 이끼 사이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 식용 불가의 버섯이다. * 극소형. 전체가 반투명한 백색의 특징이 있고, 후에 가운데가 배꼽모양 들어간다. 주름살은 성기고 폭은 좁은 편. 대는 백색, 반투명. 갓 : 폭 0.3∼1.2(2)cm 정도의 극소형. 어릴 때는 다소 종형이다가 둥근산 모양,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배꼽모양 쏙 들어간 모양이 된다. 표면은 평활, 백색. 습기가 있을 때는 방사상으로 반투명의 줄무늬가 보인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무딘 톱니꼴, 불규칙하게 물결모양 굴..

적갈색유관버섯 Abortiporus biennis

적갈색유관버섯 Abortiporus biennis (Bull.) Sing.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유관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6일 부터 7 월 19 일 까지에 관찰 되었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북향의 대로변에 죽은 나무의 그루터기와 아파트단지 내의 공간에 있던 죽은 나무의 그루터기에 발생하고 있었다. 다행히도 여러 모습을 볼 수 있어 다행스럽다. * 소형∼거대형. 갓은 얕은 깔때기모양, 부채꼴, 반원형 등, 허연색, 황토색, 갈색, 적갈색 등. 하면은 미로상 관공. 미로버섯부치라고도 하였고, 유관버섯이 비기준종이어서 바뀜. 자실체 : 일반적으로 대가 있으나, 드물게 대가 없는 것도 있다. 대는 갓의 중심부 또는 일측에 생긴다. 대에 따라서 갓은 얕은 깔때기모양 또는 부..

과림여우갓버섯 Leucoagaricus americanus

과립여우갓버섯 Leucoagaricus americanus (Peck) Velligna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여우갓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19 일과 21 일에 걸쳐 관찰 된 버섯이다. (미동정1707-19) 시내의 모 아파트 단지 내의 동북향 작은 정원에 있던 히말라야시타 로 보이는 그루터기와 주변 몇 곳에 속생하고 있었다. 숙주목이 침엽수이어서 솔버섯을 생각하기도 하였는데, 뚜렸한 자색의 턱받이를 하는 등, 솔버섯은 아니다. 이 버섯도 필자로써는 처음 접하는 버섯 같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나 생식하면 위장계 중독을 일으킬 수도 있다. * 중형. 허연색 바탕에 담갈색∼암갈색 비늘, 중앙이 진하다. 살은 백색, 자르면 적변. 과립각시버섯이 속이 달라져서 개칭됨. 갓 : 폭 ..

산골물두건버섯 Cudoniella clavus

학 명 : Cudoniella clavus (Alb. & Schw.) dennis var. clavus분 류 :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물두건버섯속 관찰 일시 : 2017 년 4 월 24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관찰 장소 : 충남 계룡면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크지않은 야산의 동향 골탕의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관찰 사항 : 낙엽과 함께 걸려있어 튀는 물방울로 흠뻑 젖여있던 작은 나뭇가지의 목질부에 다수가 군생하고 있었다. 버섯은 전체가 물에 잠겼다는 느낌이 맞을 것 같았다.필자는 이 버섯을 산골물두건버섯 또는 물두건버섯 1 로 기록하고, 반포면 마암리 큰치골의 버섯을 물두건버섯 2로, 그리고 가장 작고 자루도 팽이처럼 짧은 버섯을 물두건버섯 3 으로 쓰기로 한다. 자실체의 머리부는 ..

흰무당버섯(푸른주름무당버섯) Russula delica

흰무당버섯(푸른주름무당버섯) Russula delica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의 버섯 2016 년 10 월 1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야산, 능선을 따라 난 등산로 옆의 묘 마당 가의 솔잎이 조금 떨어진 잔디 사이에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식용버섯이나 독버섯인 흰주름무당버섯과 혼동 될 우려가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다음의 해설은 기쁜소식 최호필 님의 브러그 에서 담아 온 내용이다. 갓은 지름 5~15㎝정도로 어릴 때는 원 모양에서 반원모양을 거쳐 가운데가 오목한 둥근 모양을 이루다가 오래되면 깔때기모양이 된다. 갓 표면은 어릴 때는 백색에서 탁한 크림색을 거쳐 연한 황토색으로 변해가며, 털이 없이 약간 투박한 편이고 흙이 묻어 있을 때가 많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