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우수단기 4. 원상혹문장 (原象或問章) (3) ☆ 原象修鍊 要領 1. 調息呼吸에 專念하여 心波가 至極히 安定 되고 諸現象이 出現하게 되면 修鍊의 進展을 圖謀하여 原象修鍊을 試圖한다. 2. 調息의 길이가 한 呼吸에 約 一分以上이 된 後에 始作하는 것이 效果的이다. 3. 原象修鍊을 始作하기 前에 먼저 黙坐息想하여 呼吸修鍊.. 동양학/단학 2012.01.20
봉우수단기 4. 원상혹문장 (原象或問章) (2) 하루는 물물자가 정사에 홀로 앉아 문을 닫고 정양하고 있는데 혹인이 기쁜 빛을 얼굴 가득히 하고 곧장 물물자의 집에 들어와서 몸을 던져 절을 하고 말했다. “선생님의 가르치심이 참으로 지극하고 빠짐이 없었습니다. 제자로 하여금 무난히 12절을 관통하여 삼생을 환히 깨닫.. 동양학/단학 2012.01.20
봉우수단기 4. 원상혹문장 (原象或問章) (1) 4. 원상혹문장 (原象或問章) 혹인이 물물자에게 물었다. 어느 사람이 이 주문을 전해주면서 “상재는 칠일, 중재는 2칠일, 하재는 3칠일 동안 낭송하여 생각을 모은 즉 통령通靈(정신이 신령과 서로 통함)하지 못하는 사람이 없다하니 참으로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배 이다”라고 하.. 동양학/단학 2012.01.20
봉우수단기 3. 원상법요 (原象法要) 3. 원상법요 (原象法要) 天地는 陰陽之至요 천지는 음양의 지극함(至極)이요 日月은 光明之至요 일월은 광명의 지극함이요 五行은 萬物之至요 오행은 만물의 지극함이요 呼吸은 生死之至요 호흡은 생사의 지극함이요 聖人은 人倫之至요 성인은 인륜의 지극함이요 規矩는 方圓之.. 동양학/단학 2012.01.20
봉우수단기 2. 원 상 ( 原 象 ) 2. 원 상 ( 原 象 ) 首乾腹坤 天地定位 수건복곤에 천지정위하고 耳坎目离 日月明光 이감목리에 일월명광하고 口兌手艮 山澤通氣 구태수간에 산택통기하고 股巽足震 雷風動作 고손족진에 뇌풍동작하니 實是 乾坤之造化而 禀氣於人也 실시 건곤지조화이 품기어인야라 大哉 人乎 .. 동양학/단학 2012.01.20
봉우수단기 1. 法分十六 (硏精十六法) (2) ▣ 제 8 - 1 법 推引法 不脫定規 雖間間 或左或右 或上或下例也 추인법 불탈정규 수간간 혹좌혹우 혹상혹하예야 推引法은 정규행로를 이탈하지 않게 한다. 간간이 좌우상하로 이탈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보통 있는 일이다. 수련 시 마음이 급해지든가, 답답한 마음이 들든가 하.. 동양학/단학 2012.01.20
봉우수단기 1. 法分十六 (硏精十六法) (1) 1. 法分十六 (硏精十六法) 다음에 소개하는 [연정16법]은 봉우 선생님께서 서기 1928년 戊辰年 5월 5일에 작성하신 백두산족 고유의 정신수련법 입문으로서 학인學人 지도 양성을 위한 교안 중 가장 최초의 원본이 되는 매우 뜻 깊은 저술입니다. 내용 중에 나타나는 호흡시간 수는 ..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11. 연정 도인법 8. 연정 도인법 (硏精導引法) 단학을 수련하려면 먼저 온몸의 氣와 血의 유통을 돕기 위하여 도인법을 행하여야 한다. 옛 先人들께서도 수련의 자리에 들기 전에 연정도인법이라고 하여 근대인이 하는 간단한 체조 같은 운동을 하여 몸의 건강을 유지하고자 했다. 체조가 막연히 ..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10. 단학수련의 실제 (4) 4) 현빈일규 (玄牝一窺) ① 단전호흡을 계속 해 가면 단전부위가 차츰 팽만해지고 따뜻한 열기를 느끼게 된다. 더욱 수련을 계속할 때 팽만의 정도가 심해져서 호흡하기도 거북해진다. 그렇다고 하여 무리하게 힘을 주어서는 그르치기 쉬우니 각별히 조심해야한다. ② 단전이 극도.. 동양학/단학 2012.01.20
연정원 9. 단학 수련의 실제 (3) 마. 호흡 법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호흡을 함으로써 생을 영위하고 있는 것인데 새삼 무슨 호흡법을 운운하는가하고 의아해 할 것이다. 그러나 일상으로 하는 호흡이라도 숨이 순조롭고 자연스러우며 고르게 하는가, 그렇지 않고 거칠고 자연스럽지 못하고 힘이 들어가게 하느냐.. 동양학/단학 201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