丹學人物考 (26) 송시열(宋時烈) 丹學人物考 (26) 송시열(宋時烈) 우암 송시열은 인조(仁祖) 때부터 숙종에 이르는 四대에 걸쳐 벼슬한 주자학의 거유이다. 또한 노론(老論)의 개조(開祖)로서 당쟁의 중추적 존재이기도 했으며 명나라를 존숭하고 청나라를 배격한 정치가이기도 했다. 八八八책으로 된 조선왕조 역..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25) 허난설헌(許蘭雪軒) 丹學人物考 (25) 허난설헌(許蘭雪軒) 이조 시대에도 역시 여성은 전체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자는 얼마 없었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족보를 보더라도 여성을 모셔온 쪽에는 그 여성의 본관과 성씨만이 기재되어 있을 뿐이고, 여성의 친정 쪽은 그 남편의..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24) 김종직(金宗直) 丹學人物考 (24) 김종직(金宗直) 김종직은 문장중심?정치중심인 한당류(漢唐類)의 학풍과, 철학의 이론 부문을 치중하던 송학류(宋學類)의 학풍이 혼합된 시대에 살았다. 이 시기에는 변계량?윤희?정인지?신숙주?서거정?양성지(梁誠之) 등 많은 거유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순유(醇..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23) 유형진(柳亨進) 丹學人物考 (23) 유형진(柳亨進) 유형진(柳亨進) : 조선 선조 때 사람. 찬성(贊成) 오겸(吳謙)의 사위. 어려서부터 도서(道書)를 좋아하여 항상 <참동계>와 <오진편(悟眞篇)> 등을 지니고 다니며 도가의 말에 매우 밝았다. 나이가 60이 되어서도 안색이 쇠하지 않았다. 정유재..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22) 정도전(鄭道傳) 丹學人物考 (22) 정도전(鄭道傳) 연대 : ?~1398(태조7) 본관 : 奉化 - 父 : 鄭云敬 자 : 宗之 호 : 三峰 시호 : 文憲 주요저서 : 三峰集 정도전(鄭道傳)은 여말?선초(鮮初)의 시대를 인도한 사상가요, 유학자요 위대한 정치가였다. 형부상서(刑部尙書) 정운경(鄭云敬)의 장남으로서 1337년(충..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21) 의상대사 丹學人物考 (21) 의상대사 연대 : 625(진평왕47)~702(성덕왕1) 속명 : 김(혹은 박씨라고도 함) 법명 : 義湘 시호 : 海東華嚴始祖 圓敎國師 주요저서 :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 십문간법관 (十門看法觀), 입법계품초기(立法界品?記), 소아미타경..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20) 김시습(金時習) 丹學人物考 (20) 김시습(金時習) 연 대 : 1435(세종17)~1493(성종24) 본 관 : 江陵 父- 金日省 字 : 悅卿 號 : 梅月堂 東峯(淸寒子 碧山淸隱) 주요저서 : 금오신화 十玄談要解 外 多數 매월당 김시습은 고려의 시중(侍中) 태현(台鉉)의 후손인 충순위(忠順尉) 김일성(金日省)의 아들로 세종17..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19) 김가기(金可記) 丹學人物考 (19) 김가기(金可記) 연 대 : ~867~? 본 관 : 미상 호 : 미상 자 : 미상 주요저서 : 미상 김가기는 신라 때 사람으로 당(唐)나라로 건너가 그 곳의 빈공과(貧貢科)에 급제하여 진사를 지냈던 사람으로 성품이 침착하고 도(道)를 좋아하였으며 사치스러운 것은 거들떠 보지도 ..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18) 권진인과 남궁두 丹學人物考 (18) 권진인과 남궁두 권진인 : 안동권씨 시조 태사공 권행(權幸)의 증손이라 함. 남궁두 : 생년월일과 죽은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서기 1555년 과거에 합격한 일이 있고 오늘의 전라북도 옥구군의 임피(臨陂)에서 살았었다고 전해짐. 남궁두는 가정(嘉靖) 을묘(乙卯)..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17) 이지함(李之?) 丹學人物考 (17) 이지함(李之?) 연 대 : 宋1517(중종12)~1578(선조11) 본 관 : 한산(韓山), 父 : 李穉 자 : 형백(馨伯), 형중(馨仲) 호 : 토정(土亭), 수산(水山) 시 호 : 문강(文康) 주요저서 : 토정유고 한 해가 저물어 새 해가 시작될 즈음이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재미로 보던, 믿고 보던.. 동양학/단학 201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