易學 과 生物 論 易學 과 生物 論 易 이란 이 세상 모든 것이 바뀐다는 것이니, 바뀌기 위하여는 움직여야 할 것이고, 움직이기 위하여는 힘(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에너지는 이세상 모든 것의 근본 인, 음과 양의 절대적인 전하에 의하여 일어나고 있다. 즉 서로 다른 전하가 함께 있으면 두 전하 간에는 ..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5.05.13
易學 과 陰陽 論 易學 과 陰陽 論 易 은 ‘쉬울 이’ 또는 ‘바뀔 역’ 으로 읽는다. 周易, 易學 에서의 易은, 역 으로 읽으니 그 뜻은 바뀐다는 의미다. 그러면 무엇이 바뀐다는 말 인가? 세상만사가 끊임없이 다 바뀐다는 말이다. 끊임없이 바뀌는 것을 알기 위하여 먼저 ‘易’ 字를 살펴보자. 易 은 日 ..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5.05.13
인연(因緣)의 법칙(法則) 인연(因緣)의 법칙(法則) 세상의 모든 일 들이 드러나기 위 하여는 반드시 인(因) 과 연(緣)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인(因) 이란 원인이 되는 요인을 말하며, 연(緣) 이란 인(因)이 나타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한 포기의 풀이 태어났을 때의 경우를 비교하여 보자. 먼저 씨..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4.09.24
神 과 科學 神 과 科學 요즈음에는 일기예보를 듣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가끔 예보가 잘 못 되어 된통 욕을 먹는 일도 없지는 않지만, 불과 200년 전의 사람이 오늘날의 일기예보를 듣는다면 귀신같다 고 할 것이다. 그러나 요즈음의 일기예보는 귀신이 아니라 과학이다. 즉 어느 지역을 중..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4.02.01
홍익인간 (弘益人間) 홍익인간(弘益人間) ‘弘益人間’ 이란 단어는 적지 않게 들어왔을 것이다, 직역하여 본다면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단군 시조님의 가르치심 이셨다 한다. 그렇다면 과연 홍익인간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요즈음 그런 생각이 문뜩문뜩 떠오르는 것은 나도 나이가 들어가..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4.02.01
性, 道, 敎, 中, 和. 지나간 자료들을 정리하다 보니 언제인가 적어 두었던 글귀가 새롭게 눈에 들어온다. 중용(中庸) 제 1장 天命之謂性 (천명지위성 ) : 하늘이 만물에게 부여하여 준 것을 소위 性 이라 하고, 率性之謂道 (솔성지위도) : 性을 다스리는것을 소위 道 라 하며, 修道之謂敎 (수도지위교) : 道를 닥..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4.01.07
윤집궐중(允執厥中) 윤집궐중(允執厥中) < 논어 > 마지막 부분 ‘요임금’ 편을 보면 윤집기중(允執其中)이란 말이 나온다. 고대 중국의 성군 요임금이 순임금한테 왕위를 물려주면서 “하늘이 내린 차례가 당신에게 있으니 진실로(允) 그 중심(其中)을 잡으라(執)”고 말한 대목이다. < 서경 우서 대우..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3.09.25
☆ 하늘이 나를 이 땅에 보낸 이유 ☆ 하늘이 나를 이 땅에 보낸 이유 하늘이 나를 이 땅에 보낸 이유는 마음을 맑고 밝게 정화시키고, 덕을 쌓고, 착한 일 많이 하여 조금이라도 한울님에게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하라고 보낸 것이다. 마음을 정화시키기 위하여 는 어려운 일들을 견디어내야 한다. 그런데 그 고통을 참지 못..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2.06.25
횡설수설 120404 ☆ 精一集中 이 말은 열 번 스무번을 죽었다 환생한다 해도 듣기 어려운 말이니 명심하라. 수도(修道)의 행(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집중(精神執中)이다. 정신이 집중 된 후에야 무념무상(無念無想)의 단계로 들어갈 수 있고, 그러면 모든 것이 고요해 져서, 소우주(小宇宙)에서는 오..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2.04.04
천어(天語) 천어(天語) 카페 바른말 바른사회 http://cafe.daum.net/moxoom 에서 지나가는 개가 컹 하고 짖는다. 차 속에서 두 사람이 지꺼린다. 어떤 사람이 지나가며 혼자 무어라고 말한다. 무언가 의미 없는 소리가 내 귀에 들려온다. 그 순간, 아! 하며 문득 무언가를 깨닫게 된다. 그냥 무심히 듣고 지나쳤.. 사는 이야기/횡설수설 201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