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 동정 버섯 20201017 - 02 (가칭 서리버섯)

미 동정 버섯 20201017 - 02 (가칭 서리버섯) 미 동정 2020 년 10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작지 않은 산(장태산) 북향의 경사가 완만 한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변 경사명에 있던 죽은 나무그루터기 안쪽으로 파여들어간 흙에 덩이를 이루고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일단 균류로 보이기는 하는데, 도무지 분류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버섯 카페 에서도 아무런 도움의 말을 들을 수 없었으며, 서리 같다는 의견만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가칭으로 서리버섯 으로 부르기로 한다. 이 버섯 역시 연구하여야 할 과제로 남기는 수 밖에 없을것 같다.

꽃동충하초 Cordyceps farinosa

꽃동충하초 Cordyceps farinosa (Holmsk.) Kepler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동충하초목 동충하초과 꽃동충하초속 의 버섯 2020 년 10 월 1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전시 유성구 안산동 보통 크기의 산, 경사가 완만 한 북향의 계곡부, 물이 흐르는 도랑변 물기가 있는 낙엽 사이에 발생하고 있었다. 나방꽃동충하초는 캐어보면 질기고 물렁 한 섬유질의 고치 속에 번데기나 유충이 들어있는데, 이 버섯은 캐어보니 껍질부가 견과류와 같은 딱딱 한 감촉이었으며, 섬유질의 고치가 아니라 매끈 한 각질로 되어있었다. 껍질을 칼로 잘라보니, 그 속에는 살짝 부패가 시작되어 물컹 한 콩과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좀 더 살펴보니, 벌레의 머리로 판단되는 부분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이 버섯은 나방꽃동충하..

능이버섯 (향버섯) Sarcodon imbricatus

능이버섯 (향버섯) Sarcodon imbricatus (L.) Karst.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사마귀버섯목 능이과 능이속 의 버섯 2020 년 10 월 9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 외곽에 있는 작지 않은 산, 능선 가까운 북향의 참나무들이 듬성듬성 있던곳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해설은 최호필 저 '버섯대도감' 과 조덕현 박사의 '백두산의 버섯 도감' 을 종합 한 것이다. 자실체는 높이 10~20 cm 정도이고 갓은 지름 10~20 cm 정도로, 어릴때는 낮은 둥근모양이다가 곧 편평하게 된 후, 가운데가 오목해지며 깔때기모양~나팔모양이 되고, 오래되면 가운데가 깊게뚫린 깔때기모양이 되기도 한다. 갓 표면은 연한 갈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해가고, 거칠고 큰 인편으로 덮여있다. 살(조직)은 연한..

미 동정 비단털버섯속의 버섯 추정버섯

미 동정 비단털버섯속의 버섯 추정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비단털버섯속 추정버섯 2020 년 10 월 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장태산, 서북향의 경사가 급 한 곳의 물이 있는듯 한 도랑에 누워있던 활엽수목의 이끼가 담뿍 낀 곳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지극히 희귀한 버섯으로 보여지는데, 갓 윗면에 섬유성 털 같은 구조가 있고, 자루에는 작은 가시같은 구조가 빽빽히 밀생하는 점 등이 비난털버섯속의 버섯 특징과 비슷하게 보여 막연히나마 비단털버섯속 의 버섯으로 추정을 하여 본다. 귀한 버섯 같아 보이는데, 표본을 분실하여 안타깝다.

점균 Trichia varia

점균 Trichia varia 점균문 점균강 갈적색털점균목 갈적색털점균과 Trichia속 의 점균 2020 년 10 월 7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경사가 있어 그늘이 심하고 습기가 유지되는 북향의 계곡 도랑에 가까운 잡목림 아래에 죽어 누워있던 참나무의 껍질부위 이끼가 조금 낀 곳에 몇 군데에 발생하고 있었는데, 껍질을 벋기어 보니 안쪽으로 부패가 심하게 진행되어 흙과 같이 된 곳에는 더욱 많은 점균들이 군생하고 있었다. 이 점균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여 해설은 차 후에 쓰기로 한다. 다른 점균 Trichia varia 보러 가기 : blog.daum.net/aks125/5423028

점균 Trichia affinis

점균 Trichia affinis 점균문 점균강 갈적색털점균목 갈적색털점균과 Trichia 속의 점균 2020 년 10 월 7 일, 장태산에서 보았던 점균이다. 경사가 있어 그늘이 심하고 습기가 유지되는 북향의 계곡 도랑에 가까운 잡목림 아래에 죽어 누워있던 참나무의 껍질부위에 몇 군데 군생하고 있었다. 이 점균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여 해설은 차 후에 쓰기로 한다. 다른 점균 Trichia affinis 보러 가기 : blog.daum.net/aks125/5422566

미 동정 겨우살이버섯속의 버섯 200930 - 01

미 동정 겨우살이버섯속의 버섯 200930 - 01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겨우살이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9 월 30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야산 (도솔산), 서향의 능선부근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1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갓의 윗면 만 볼 때는 톱니겨우살이버섯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관공부를 보면 얕으나마 벌집 같은 관공이 엉성하게 보야야 하는데 이 버섯은 거의 관공의 구조가 없고 비슷 한 구조가 조금 있는 듯 하여 톱니겨우살이버섯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혹시 톱니겨우살이버섯의 유균 단계에서 건조 된 상태가 아닌가 의심이 가기도 하는데, 버섯카페에서는 처음 보는 버섯이라고 하였다. 일단은 새로운종 또는 톱니겨우살이버섯의 변종으로 생각하여 본다...

방울주황단추지의 추정 Caloplaca flavovirescens

방울주황단추지의 추정 Caloplaca flavovirescens (Wulfen) Dalla Torre & Sarnth. Coenogonium sp. (아산조아 님) 2020 년 9 월 27 일에 보았던 지의류 이다. 계룡산 북동향의 계곡, 그늘이 많고,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있던 큰 바위 위에 발생하고 있던 다른 지의류 위에 발생하고 있었다. 네이버의 '들꽃 카페' 에서 기쁜소식님과 늘산들님의 안내에 따라 주황단추지의 를 소개받고, 인터넷을 검색하여 본 결과, 해설에서는 나무의 껍질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오고 사진 역시 수피에 발생한 것만 나와 좀 더 검색을 하여 본 결과, 해설에서의 언급은 없었으나 방울주황단추지의 라는 이름이 나오는데 이 지의의 사진은 모두 돌 또는 바위로 되어있어, 필자는 이 지..

알보리수버섯 Nectria cinnabarina

알보리수버섯 Nectria cinnabarina (Tode.) Fr.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동충하초목 알보리수버섯과 알보리수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9 월 2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계룡산, 북동향의 계곡,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걸려있던 활엽수 나뭇가지에 발생하고 있었다. 식독 불명의 버섯이다. 다음 의 해설은 기쁜소식님의 네이버 블로그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버섯은 2가지의 단계를 갖는 버섯으로 그 첫 단계는 크기 1mm 내외의 반구형 또는 아구형으로 방석모양 수피 표면에 부착되는데, 연한 오렌지색∼연한 분홍색을 띤다. 이것은 포자낭이 발전되어서 자좌(子座)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두번 째 단계는 직경 0.2∼0.4mm의 구형∼아구형의 적갈색 좁쌀 같은 수많은 알갱이가 다닥다닥 십여 개씩 엉겨 ..

흰주름만가닥버섯 (밀만가닥버섯) Lyophyllum connatum 

흰주름만가닥버섯 (밀만가닥버섯) Lyophyllum connatum (Schum.) Singe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만가닥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9 월 22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작지않은 산 (장태산), 북향의 계곡 변 산책로변 낙엽 사이에 몇 덩이의 버섯들이 속생하고 있었다. 여기에 올린 사진은 노균상태 이어서 혹시 다른 버섯으로 오인 될 염려까지 있는 모습이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자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4~8 cm 정도로, 어릴때는 둥근산 모양에서 점차 편평한 모양으로 되며 가운데가 오목 해 진다. 가장자리는 어릴때는 안으로 말려있다가 오래 되면 물결모양으로 된다. 갓 표면의 색은 어릴때는 가운데가 회백색이고 주변으로는 백색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