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버드나무균핵접시버섯 (가칭)

버드나무균핵접시버섯(가칭) 20210418 - 01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고무버섯목 균핵버섯과 균핵접시버섯속 의 버섯 추정 관찰 일시 : 2021년 4월 18일 관찰 장소 : 논산시 벌곡면 덕곡리 자생 환경 : 냇물가 오래 된 버드나루가 여러그루 있는곳의 부분적으로 물이 질척거리는 곳 관찰 사항 : 지난 4월 9일, 계룡시 정장면에서 양주잔버섯을 관찰 할 때에도 이 버섯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당시에는 양주잔버섯도 함께 보여 이 버섯의 존재는 약간 의심 만 하였었는데 이번의 관찰에서 양주잔버섯과는 전혀 별개의 버섯으로 판단하게 되었다. 이 버섯은 필자가 양주잔버섯을 찾는 과정에서 양주잔버섯보다 더 많이 관찰이 되었었는데 두번 째 관찰에서는 지인의 조언에 따라 양주잔버섯과는 다른 버섯으로 판단하였다. 자생 ..

꼬마털컵버섯 Lachnum pygmaeum

꼬마털컵버섯 Lachnum pygmaeum (Fr.) Bres. 20210414 - 03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고무버섯목 거친털버섯과 털컵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4월 14일 관찰 장소 :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남향의 산 중턱쯤에 부분적으로 물이 스며아와 작은 도랑 형태를 이루고 있고 그늘이 많이지는 곳에 떨어져 있던 작은 나뭇가지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관찰 특징 : 요즈음에는 털컵버섯속 의 버섯들이 많이 관찰 되는데 이 버섯은 첫눈에 노란색이 들어왔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와 '한국의 균류 1'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는 지름 2~4㎜ 정도로 어릴때는 컵 모양에서 성숙하면서 점차 편평하게 된다. 포자가 형성..

굵은대곰보버섯 Morchella crassipes

굵은대곰보버섯 Morchella crassipes (Vent.) Pers. 20210414 - 01 자낭균문 주발버섯아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곰보버섯과 곰보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4월 14일 관찰 장소 :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자생 환경 : 은행나무 아래의 낙엽과 잡초가 있는 곳에 20송이 가까운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관찰 사항 : 이 버섯은 자루가 특히 굵다는 느낌이 들었고, 머리부와 자루부의 연결부위도 색다르다는 느낌이 있었다. 조금 떨어진 도로변 낙엽이 없는 곳에서는 일반적인 곰보버섯도 몇 송이가 보였다. 다음의 해설은 '한국의 균류 1' 에서 옮겨 온 것이다. 분포 지역 :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서식지 : 숲 속의 땅 발생 시기 : 봄 발생 형태 : 단생..

양주잔버섯 Ciboria amentacea

양주잔버섯 Ciboria amentacea (Balb.) Fuckel 20210409 - 01 자낭균문(Ascomycota)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살갗버섯목(Helotiales)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양주잔버섯속(Ciboria) 관찰 일시 : 2021년 4월 9일. 관찰 장소 :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정장리 자생 환경 : 평지로 된 30~40년 생 된 버드나무가 있는 녹지의 부분적으로 웅덩이 형태가 되어 물이 말라가는 가장자리부분의 낙엽을 헤쳐 보니 10여개의 버섯들이 산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의 균류 1' 에서 옮겨 온 것이다. • 형태 자실체의 지름은 3~10mm이며 두부와 자루로 구분된다. 두..

치마버섯 Schizophyllum commune

치마버섯 Schizophyllum commune F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치마버섯과 치마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11 월 23 일 및 1월 10일, 4월 20일, 6월 15일 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조성 된 녹지원에 버려진 폐목더미의 나뭇가지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1~3 cm 정도로 자루 없이 갓의 일부분이 기주에 붙어 부채모양 또는 원 모양을 이루고, 때로는 손바닥 같이 갈라지기도 한다. 갓의 표면은 거친 털이 덮여있고, 백색에서 회색 또는 회갈색이 된다. 주름살은 어릴때는 백색 또는 연한 회색이다가 분홍빛이 있는 연한 주황색에서 자주색으로 변해가며, 간격은 약간 촘촘하고 주변부는 세로..

좀목이 Exidia glandulosa

좀목이 Exidia glandulosa (Bull.) F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목이목 목이과 좀목이속 의 버섯 2020 년 11 월 2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조성 된 한밭수목원 남향의 풀밭에 떨어져있던 활엽수 나뭇가지에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버섯은 초봄부터 초겨울까지 비가 오면 나타나는 단골손님으로 발생 빈도가 많은 버섯중의 하나이다. 버섯의 크기는 기주의 표면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서 애매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0.5~2 cm 정도가 되며, 두께는 0.5~2cm 정도로 일정한 편이다. 외형을 살펴보면 어릴때는 바람빠진 공 모양으로 시작해서 점차 주름지고 합쳐져 기주 위에 뇌 모양으로 넓게 퍼져나간다. 표면 색은..

큰말불버섯 Lycoperdon colossus

큰말불버섯 Lycoperdon colossus Kawam.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11 월 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야산(도솔산) 북향의 산자락과 연접 한 밭둑의 풀 사이에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사진의 자료는 노균의 상태로 성균의 모습은 많이 달라서, 작은 말징버섯의 모습에 섬유성 가시같은 구조물이 버섯 윗면 전체를 덮고 있으며 색상은 좀 옅은 살색을 하고있다. 이 버섯의 학명도 '한국균학회' 의 자료에서는 Lycoperdon colossum 으로 되어있는데, 구글 검색을 하여 보니 Lycoperdon colossus 가 맞는것 같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는 높이 7~11cm,..

꼬챙이콩꼬투리버섯 Xylaria sanchezii

꼬챙이콩꼬투리버섯 Xylaria sanchezii Lloyd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아강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콩꼬투리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11 월 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야산, 산자락과 논의 연접부에 있는 북향의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있던 활엽수목의 껍질부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해설은 조덕현 박사의 '한국의 균류 1'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의 높이는 8~12㎝로 원주형이며 분지하지 않는다. 꼭대기는 예리한 꼬챙이 모양으로 길이가 1㎝에 달하는 것도 있다. 표면은 회갈색이고 백색의 무늬가 있으며 결절상에 속은 차있으며 색은 옅다. 자루의 기부는 휘어지고 가근이 있다. 포자의 크기는 6~9×4~4.6㎛로 부등의 타원형에 암갈색..

때죽조개껍질버섯(때죽도장버섯) Lenzites styracina

때죽조개껍질버섯(때죽도장버섯) Lenzites styracina (Henn. & Shirai) Lloy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조개껍질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11 월 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야산, 북향의 잡목림 아래에 죽어 걸쳐있던 때죽나무에 다수의 버섯들이 군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2~4 cm 정도로, 반원모양 내지 조개껍질 모양이다. 갓의 표면은 회백색, 적갈색, 자갈색 등의 색으로 홈 패인 테 무늬를 만들고, 테 무늬 간격은 좁은 편이며, 주름져 있다. 살(조직)은 백색으로 가죽같은 질감이다. 자실층인 갓 아랫면과 기주에 부착된 면 모두 불완전한 주름살로 되어있고, 어..

개암다발버섯(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개암다발버섯(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Schaeff.) P. Kumme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다발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10 월 17 일과 20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작지않은 산 (장태산) 둘레길변 경사가 완만하고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변 경사면에 있던 죽은 나무의 그루터기 주변에 많은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사진의 자료는 17일에 처음 보았고, 다시 20 일에 찾아 사진을 담은 모습이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3~8 cm 정도로, 어릴때는 반원 모양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의 표면은 다갈색에서 진한 벽돌색으로 되며, 가장자리에는 백색의 얇은 내피막 조각이 붙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