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동정 콩나물버섯속 의 버섯 20210808 - 05

미동정 콩나물버섯속 의 버섯 20210808 - 05 자낭균문 마귀숟갈버섯강 마귀숟갈버섯목 마귀숟갈버섯과 콩나물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8일 & 1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자생 환경 : 아파트단지 내의 건물 북쪽의 낙수물이 떨어지는 습기가 있고 어두운 우산이끼 사이 관찰 사항 : 이 곳에서는 민콩나물버섯으로 동정 된 버섯도 다수 관찰이 되던 곳이다. 이 버섯은 모 지인 께서는 주걱콩나물버섯으로 동정을 한 버섯으로 추정 되는데, 주걱콩나물버섯으로 동정을 한 점은 아마도 현미경 관찰 결과 포자낭의 구조와 크기, 격막이 15개로 관찰 된 점 인 것으로 생각이 된다. 주걱콩나물버섯에 관한 국내자료로는 조덕현박사의 자료 밖에는 찾을수가 없고, 인터넷에서도 적당 한 해설을 찾을수..

황색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arinipes

황색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arinipes Romell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20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생 환경 : 서남향으로 난 그늘이 많은 도로변 빈 공간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관찰 사항 : 버섯의 크기는 약 5~7cm 정도로 보였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3~6cm 정도로 작고, 어릴때는 반원모양에서 편평하게 되면서 가운데가 오목 한 깔때기모양이 된다. 갓의 표면은 밝고 연한 황토색으로 비슷한 종(種) 중에서 제일 밝은색이며, 황갈색의 얼룩이 생기기도 하며, 가장자리에는 알갱이 모양으로 선이 있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

국명 미지정 젖버섯 Lactifluus luteolamellatus

국명 미지정 젖버섯(210720-09) Lactifluus luteolamellatus H. Lee & Y.W. Lim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20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산, 도로변 서남향의 잡목림 아래의 풀이 없는 땅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관찰 사항 : 주름살이 진황색을 보였고, 상처에서 짙은 백색의 유액이 많이 나왔다. 갓의 크기는 약 5 cm 정도로 보였다. 동행하였던 지인께서는 새로운 종으로 생각된다는 의견이었다. 다음은 구글 검색에서의 내용이다. 어원: 'luteolamellatus'는 황색을 띤 얇은 판을 나타냅니다. 표준형: SFC 20150818-39 Pileus 4..

점버섯균속 Trichoderma flavipes

점버섯균속 Trichoderma flavipes (Peck) Seifert, Jaklitsch & Voglmayr 자낭균문 주발버섯아문 동충하초강 동충하초아강 동충하초목 점버섯과 점버섯균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9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 자생 환경 : 서북향의 물이 조금 흐르는 듯 한 그늘이 많은 도랑에 걸려있던 나뭇가지 관찰 사항 : 숙주목은 활엽수 이었다. 자생지에서는 점균 종류로 생각이 되었다. 이 버섯은 아마도 국내에서는 최초의 발견이 아닌가 생각 된다. 버섯카페에서 동정을 얻었고, 인터넷 검색에서 쉽게 확인을 할 수 있었다. 관찰 다음날에 다시 찾아보았는데 버섯의 모습이 좀 바뀌었다. 24시간이 경과 된 다음 날의 모습이다.

미 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20210718 - 02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8일 & 20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생 환경 : 동향의 산자락부 단풍나무 아래의 이끼낀 곳 관찰 사항 : 5~6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상처에도 변색은 없다. 갓 윗면의 인편이 인상적이다. 버섯카페에서는 꽃버섯속의 새로운 종으로 보았다. 어쩌면 세계 최초일 수도 있을것 같다.

미 동정 쓴맛그물버섯

미 동정 쓴맛그물버섯 20210718 - 01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Porphyrellus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8일 & 20일 관찰 장소 :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생 환경 : 동향의 산자락부 단풍나무 아래의 이끼낀곳 관찰 사항 : 몇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관공부나 조직에 상처를 주어도 색변은 보이지 않았다. 성균이 된 후에는 갓 윗면에 흰색가루 같은 것이 보이기도 하고 윗면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기도 한다. 지인 께서는 쓴맛그물버섯종류로 생각되는데, 아마도 신종인것 같다 는 의견이었다.

미 동정 무당버섯속의 버섯 20210712 - 04

미 동정 무당버섯속의 버섯 20210712 - 04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나무들이 많지 않은 참나무숲 아래 관찰 사항 : 풀이 적고 약간의 이끼가 낀 곳 몇 넓은 범위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무당버섯속의 버섯으로 신종이 추정되는 버섯으로 보았다.

예쁜이외대버섯 Entoloma pulchellum

예쁜이외대버섯 Entoloma pulchellum (Hongo) Hongo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보라매공원 자생 환경 :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잔디밭 가장자리 관찰 사항 : 잔디밭 가장자리 잔디 사이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요즈음 외대버섯속의 버섯들이 자주 보인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1~2cm 정도로 작고, 어릴때는 반원모양 이다가 점차 편평해지지만 가운데가 약간 오목 한 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갓의 표면은 오렌지갈색인데 섬유상이며 성숙해도 색은 변하지 않고, 가운데는 흑갈색으로 미세한 섬유모양이며, 건조해지면..

세계 최초 발견 추정 Gliophorus(이끼꽃버섯속-가칭)의 버섯

세계 최초 발견 추정 Gliophorus(이끼꽃버섯속-가칭) 의 버섯 20210710 - 13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이끼꽃버섯속(가칭)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0일, 12일, 2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정원수 아래의 이끼가 살짝 낀 곳 관찰 사항 : 5~7송이, 또는 20여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아직은 인터넷상에서도 비슷 한 사진을 찾을 수 없는 버섯으로, 지인께서는 벚꽃버섯과 이끼꽃버섯속(가칭)의 버섯으로 " Gliophorus viridis " 에 가까워 보인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필자의 생각으로는 속 조차 잘 못 본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오히려 버섯의 모양으로는 꽃버섯속 의 버섯을 의심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