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 동정 졸각버섯속의 버섯 20210903 - 08

미 동정 졸각버섯속의 버섯 20210908 - 08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졸각버섯과 졸각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9월 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유성구 안산동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서북향의 큰 잡목림 아래의 작은 바위 아래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작은 바위 아래의 낙엽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는 자주졸각버섯으로 보았는데, 필자의 관점에서 볼 때, 버섯은 성균인데도 크기가 많이 작았으며, 자루는 가늘고 구불구불하며 길었고, 갓 윗면에는 흰색의 인편 같은 구조가 나타난 점 등으로 볼 때, 자주졸각버섯과는 다른 버섯으로 판단 된다. 조금 떨어진 곳에서 자주졸각버섯도 발견되었다.

큰버섯점균(임시명) Hypocrea grandis

큰버섯점균(임시명) Hypocrea grandis S. Imai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동충하초목 점버섯과 점버섯균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9월 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공원 자생 환경 : 공원 잔디밭에 베어버려진 활엽수 그루터기 관찰 사항 : 그루터기 절단면 목질부에 다수가 발새으 곰팡이인지, 포자의 분출인지 하는 흰 점도 보였다. 이 버섯에 임시명을 붙인 분은 버섯 이름을 큰점버섯(임시명) 으로 하고 있으나 필자는 버섯의 이름 속성 상, 속명을 사용해서 큰점버섯균으로 이름을 사용하였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는 지름 0.5~3cm 정도로 활엽수의 죽은나무 위에 붙어서 발생하는데,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가장자리가 물결모양..

백조갓버섯

학명 : Lepiota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갓버섯과 갓버섯속 관찰 일시 : 2021년 8월 3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모 기관의 정원, 그늘이 있고 이끼가 낀 곳 관찰 사항 : 그늘이 있는 서북향의 이끼 사이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연구를 좀 더 하여 보아야 될 것 같다. 다음백과의 버섯사전에서는 백조갓버섯=흰주름갓버섯=흰주름각시버섯 으로 하고 있는데, 갓버섯속과 각시버섯속은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또 필자가 관찰 한 흰주름각시버섯과는 갓 윗면의 인편이나, 주름살의 모습에서 확연히 달라 보인다. 따라서 필지는 이 버섯을 갓버섯속의 백조갓버섯으로 보고 그에 따른 자료를 살펴본다. 다음의 해설은 다음 버섯사전에 기록된 흰주름갓..

미 동정 버섯 20210831 - 10

관찰 일시 : 2021년 8월 3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공원 자생 환경 : 작은 정원수 아래의 그늘이 조금 있는 잔디 사이에 이끼도 살짝 낀 곳 관찰 사항 : 갓의 윗면 중앙에 작은 돌기가 있고, 자루는 뒤틀려 꼬여있으며 짧은 섬유무늬가 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보는 버섯이라며 아마도 벚꽃버섯과의 버섯일 것으로 보았다.

끈적노랑꽃버섯 (가칭) 20210831 - 15

끈적노랑꽃버섯 (가칭) 20210831 - 15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꽃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31일, 동년 9월 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공원 자생 환경 : 공원의 벚나무와 단풍나무가 식재된 곳의 이끼가 살짝 낀 곳 관찰 사항 : 20여 송이에 가까운 버섯들이 좀 지저분하다는 느낌으로 발생을 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임시명 끈적주황꽃버섯 이 변색된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었으나 필자의 관찰로는 이 버섯은 유균에서부터 노균까지 함께 발생하고 있었는데 색에서 탈색된것으로는 보이지 않았으며, 끈적주황꽃버섯에 비하여 크기도 작았고, 발생 형태도 다수의 버섯들이 쫘-악 깔려있는 형태로 다른 버섯으로 보였다. 조금 옆에서는 끈적주황꽃버섯도 함께..

미 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20210902 - 12

미 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20210902 - 12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꽃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9월 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보라매공원 자생 환경 : 공원에 조성 된 화단의 잡초 사이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관찰 사항 : 꽃버섯속 의 버섯은 확실한데, 정확한 학명 동정이 아직은 되지 않고 있다. 버섯의 자루에 상처가 있어도 색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것으로 보였다. 같은 버섯으로 보이는 자료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3065

라일락각시버섯 Leucocoprinus

라일락각시버섯 Leucocoprinus 20210831 - 04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각시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31일, 동년 9월 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자생 환경 : 도로변 화단의 크지않은 나무 아래 관찰 사항 : 이 버섯은 유균과 노균이 함께 발생하고 있었는데, 환경에 따라 모습이 많이 변하는것 같다. 라일락각시버섯 이란 동정은 버섯카페에서 한 것인데, 필자가 검색을 하여 보니 국가표준버섯목록에도 라일락각시버섯이란 이름은 검색이 되지를 않고, 인터넷상에서는 상토에서 발생하는 버섯으로 이름이 올라와 있는데, 도무지 어디에서 그런 이름이 시작하였는지를 찾을수가 없다. 모 카페에서는 라일락각시버섯의 학명을 "Leucocoprinus lanzon..

밤색갓버섯 유사버섯 20210902 - 14

밤색갓버섯 유사버섯 20210902 - 14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갓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9월 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보라매공원 자생 환경 : 공원내의 화단에 식재 된 작은 꽃나무 아래의 그늘이 많은 곳 관찰 사항 : 약간의 낙엽 사이에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는데, 밤색갓버섯에 비하여 갓과 자루의 덩이성 인편 구조와 색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인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밤색갓버섯 유사종으로 보았다.

흰꼭지외대버섯 유사버섯 20210830 - 16

흰꼭지외대버섯 유사버섯 20210830 - 16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30일, 9월 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공원 자생 환경 :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작은 나무가 듬성히 있는 잔디밭 관찰 사항 : 잔디 사이에 30여 송이가 군생하였는데, 갓 윗면에는 돌기가 튀어나온 것과, 그렇지 않은 것 두가지 모양이 관찰 되었다. 버서카페에서는 흰꼭지외대버섯으로 보아야 하겠다는 의견과 함께 발생 장소가 너무 차이를 보인다는 의견도 함께 하였다. 필자는 지난 해 에도 동일 장소에사 다수의 버섯들이 관찰되었는데, 발생환경이 흰꼭지외대버섯과는 너무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았더니, 주름살에서 흰꼭지외대버섯은 날부분이..

미 동정 버섯 20210830 - 05

미 동정 버섯 20210830 - 05 미 동정 관찰 일시 : 2021년 8월 3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작은 산, 거의 평탄 한 능선부의 그늘이 많아 이끼가 살짝 끼는곳 관찰 사항 : 오직 1 장소에만 몇 송이가 이끼 사이의 흙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동정되지 않은 버섯 이라는 동정이 있었다. 어쩌면 아직 자료가 없는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