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 동정 주름버섯과 의 버섯 20210829 - 05

미 동정 주름버섯과 의 버섯 20210829 - 05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선사공원 자생 환경 : 공원의 높은 부위에 인공으로 평탄하게 하여놓은곳 동남향 경계면 그늘이 많은곳 관찰 사항 : 큰나무 그늘아래의 또 작은 나무 아래인 곳에 다루의 버섯들이 군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서는 순백의 버섯으로 보였었다. 버섯카페에서는 주름버섯과의 버섯으로 보았다.

미 동정 버섯 20210829 - 07

미 동정 버섯 20210829 - 07 미 동정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선사공원 자생 환경 : 작은 산 윗부분에 평지를 만들어 놓은 곳의 동향 경계면의 그늘이 있는곳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동남쪽으로 큰나무들의 그늘이 있고 다시 작은 나무 아래의 낙엽 사이에 발생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답변을 보류하였다.

여우갓버섯속의 버섯 20210828 - 02

여우갓버섯속의 버섯 20210828 - 02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여우갓버섯속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8일, 3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자생 환경 : 도로변 정원수 나무 아래의 풀이 거의 없는 곳 관찰 사항 : 버섯의 유균시절에 턱받이가 자루의 아래쪽에 링 모양으로 있는 개체도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여우갓버섯속 의 버서으로 동정을 하였다.

나방꽃동충하초속 Isaria cicadae 20210826 - 05

나방꽃동충하초속 Isaria cicadae 20210826 - 05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동충하초목 동충하초과 꽃동충하초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6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자생 환경 : 북향의 물이 흐르는 도랑변 경사면 흙에 관찰 사항 : 작은 관목 아래의 그늘이 많고 습한곳에 2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함께 발생한 2 덩이 중 1 덩이는 꽃동충하초로 보았고, 다른 1 덩이는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꽃동충하초로 버섯카페에서는 보았다. 2021년 12월 11일, 황소조아님으로 부터의 DNA 분석 결과는 Isaria cicadae 로 나왔다는 통보를 받았다. 다음은 구글에서 복사하여 온 것이다 매미과 에 속하는 Isaria 속에 속하는 Isaria cicadae는 매미의..

미 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210826 - 01

미 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210826 - 01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6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산, 산자락을 지나는 차도변 경사면 풀이 약간 있던 곳 관찰 사항 : 갓의 윗면과 자루는 옅은 갈색이 더해진 황색이었으며, 턱받이 아랫쪽의 색도 동일한 색이었다. 자루의 기부 모양은 애광대버섯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었다. 애광대버섯의 변종이 의심 되는 버섯으로, 국내 최초의 발견이 예상된다.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다.

미 동정 큰갓버섯속의 버섯 20210826 - 09

미 동정 큰갓버섯속의 버섯 20210826 - 09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큰갓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6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작지 않은 산, 북동향의 능선에 가까운 경사가 있는 활엽수림 내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갓 윗면의 인편이나 무늬는 보이지 않았으며 자루의 길이에 비하여 갓의 크기는 매우 작게 보였으며, 자루의 기부는 크게 부풀어 있고, 그 주변에는 짧은 흰색의 털들로 싸여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큰갓버섯속 의 버섯으로 동정을 한 것인데, 우리나라의 2016년 자료에서 큰갓버섯속의 버섯으로는 Macrolepiota excoriata 흰솜털큰갓버섯, Macrolepiota mastoidea 젖꼭..

미 동정 버섯 20210822 - 03

미 동정 버섯 20210822 - 03 미 동정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작은 연못의 가장자리 풀들이 우거진 곳에 걸려있던 단자엽식물로 보이는 죽은 잎 관찰 사항 : 숙주는 물에 가까운 곳 풀줄기에 걸려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 보는 버섯 같다는 의견만 주었다. 필자로써는 자낭균문의 버섯이 아닌가 하는 정도이다. 물론 인터넷에서도 비슷 한 버섯의 사진은 보지 못하였다. 이 버섯도 국내에서는 물론 세계 최초의 발견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었다.

눈물바퀴버섯(임시명) Orbilia epipora

눈물바퀴버섯 Orbilia epipora (Nyl.) P. Karst 자낭균문 바퀴버섯강 바퀴버섯목 바퀴버섯과 바퀴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북향의 그늘이 지고 경사가 있고 물기가 있는 작은 골탕에 결려있던 나무도막 관찰 사항 : 버섯이 임시명 눈물바퀴버섯으로 보기에는 불투명하며 매우 크게 보였다. 이 버섯과 유사 한 버섯으로 부푼투명바퀴버섯이 있는데 부푼투명바퀴버섯은 유균 단계일때는 뚜렸한 자루가 보이며, 성균에서는 자실체의 가장자리가 얕지않은 요철이 생기는 차이를 보이는것 같다. 이 버섯에 관한 적당 한 해설은 아직 찾지를 못하였다.

미 동정 버섯 20210820-04

미 동정 버섯 20210820-04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추정 관찰 일시 : 2021년 8월 2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작지 않은 산, 북향의 그늘이 많고 물기가 있는 정도의 경사가 있는 골탕변 관찰 사항 : 발생은 흙에, 자갈에 붙어서, 나무뿌리에 붙어서, 등 다양하였으며 버섯의 발생 시기도 조금 씩 다르게 보였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보는 버섯으로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의 버섯으로 추정된다는 의견이었다.

흰갈대버섯 Chlorophyllum molybdites

흰갈대버섯 Chlorophyllum molybdites (G. Mey.) Massee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흰갈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8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자생 환경 : 동서로 난 대로변 가로수를 식재한 남향의 잔디밭 가장자리 풀 사이. 관찰 사항 : 4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는데 주름살 색이 회록색을 머금은 백색으로 보였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흰갈대버섯으로 보여진다는 의견이 있고, 국내에서는 별다른 비슷 한 버섯을 찾을수가 없어 일단 흰갈대버섯으로 동정을 하기는 하였으나 필자의 견해로는 아마도 국내에서는 최근들어 발견되어지는 버섯으로 보여지는데, 외국의 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자루의 길이가 짧고, 굵기도 많이 가늘며, 표면의 색갈도 턱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