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 동정 째진귀버섯속 의 버섯 210531 - 07

미 동정 째진귀버섯속 의 버섯 20210531 - 07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째진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5월 3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아파트단지 내 자생 환경 : 건물 그림자가 많은 북동향의 화단 이끼 낀 곳 관찰 사항 : 이끼 속에 들어있어서 잘 보이지 않았다. 여러개의 자낭반이 기부에는 1개로 연결 되어있다. 째진귀의 모습인지 조차 어렵다. 자낭반의 아래쪽(뒤쪽)에는 두드러기성 돌기는 보이지 않는다. 아직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추정된다. 학명도 찾지 못하였다.

미 동정 버섯 20210526 - 01

미 동정 버섯 20210526 - 01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북향의 산자락부, 도랑변 편평 한 곳에 버려져 있던 부패가 진행 된 활엽수목의 지면 쪽 관찰 사항 : 굵은 나무토막을 들추워보니 지면과 접하였던 곳에 유균 포함 3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다. 작은 버섯이다.

미 동정 무당버섯속의 버섯 20210526 - 11

미 동정 무당버섯속의 버섯 20210526 - 11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동향의 산책로변 그늘이 많은곳에 오직 1 송이가 발생 관찰 사항 : 언뜻 보기에는 혈색무당버섯을 의심할 수도 있으나 버섯카페에서는 다른 무당버섯에 비하여 일찍 발생하는 미동정 무당버섯속 의 버섯이라 하였다. 주름살은 백색이며 자루는 짧고 기부쪽이 굵으며 홍자색이 물들어 있다. 이 버섯은 동년 6월 2일, 한밭수목원에서 관찰 한 일찍 발생하는 적홍색의 무당버섯과는 또 다른것으로 보인다. 2021년 6월 2일에 보았던 버섯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3759

미 동정 난버섯속 의 버섯 20210526 - 08

미 동정 난버섯속 의 버섯 20210526 - 08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월평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남향의 산자락부, 도랑변에 부러져 줄기 일부가 땅에 닿은곳 부근에 1송이 발생 관찰 사항 : 버섯카페에서도 난버섯속의 버섯으로 짐작만 한다. 난버섯속 은 맞는것으로 보인다.

미 동정 주발버섯속의 버섯 20210526 - 06

미 동정 주발버섯속의 버섯 20210526 - 06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주발버섯과 주발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북향의 산자락부, 도랑변에 베어 버려져 부패가 진행 된 버드나무로 보이는 습한 곳에 2송이 관찰 사항 : 자낭반의 뒷(아래)면에는 두드러기 같은 돌기가 있어 갈색주발버섯을 연상하게 하는데, 뚜렸 한 자루가 있는점이 의아스럽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버드나무에 발생하는 미동정 주발버섯속의 버섯으로 보았다. 당연히 국명은 없다.

광택볏짚버섯 Agrocybe dura

광택볏짚버섯 Agrocybe dura (Bolton) Singe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볏짚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경사가 거의 없는 북동향의 정원, 크지 않은 정원수를 식재하여 놓은 곳 아래 잡초 사이에 관찰 사항 : 발생 시기가 조금 씩 다른 5~6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해설은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3~8 cm 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의 표면은 평활하고 습할때는 약간 끈적거리며, 어리거나 신선 할 때는 황토색이 가미 된 연 한 황색에서 성숙하고 건조해지면서 크림색 내지는 좀 더 밝은색으로 변해가고, 팽창되..

리트머스털컵버섯(단풍털컵버섯) Lachnum rhytismatis

리트머스털컵버섯(단풍털컵버섯) Lachnum rhytismatis (W. Phillips) Nannf.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거미줄종지버섯과 털컵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5월 1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서북향의 물이 조금 있는 도랑에 떨어져 있던 물기가 없는 낙엽 관찰 사항 : 일반적으로 리트머스털컵버섯으로 동정되는 낙엽에 발생하는 버섯에서는 머리부의 아래쪽에 물방울을 흔히 볼 수 있고, 크기가 0.5~1 mm 정도인데 반하여 이 버섯은 낙엽이 말라 있고 물방울도 없으며 크기는 0.2~0,5 mm 정도로 이 버섯이 올바른 리트머스털컵버섯으로 판단 하였다. 다음은 '한국의 균류 1'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는 0.2-0.4㎜의 컵 모양으로..

물두건버섯 Cudoniella acicularis (Bull.) Schröt.

자낭균문 주발버섯아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물두건버섯속 관찰 일시 : 2021년 5월 12일 관찰 장소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자생 환경 : 냇물로 물이 스며나오는 바위 아래의 낙엽에 다수가 발생 다음의 해설은 '한국의 균류 1'(조덕현박사) 에서 옮겨 온 것이다. 형태 자실체의 지름이 1~3㎜인 매우 작은 버섯이다. 자실체는 어릴 때는 팽이 모양이나 방석 모양의 두부와 원주형의 자루로 구분이 된다. 자실체 전체는 백색에서 회색-갈색으로 되며 표면은 밋밋하고 가장자리는 때때로 아래쪽으로 말린다. 자루의 길이는 2~10㎜로 원주형이다. 포자의 크기는 15~20×4~5㎛로 불규칙한 방추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며 기름방울은 없다. 간혹 중간에 1개의 격막이 있다. 자낭의 크기는 10..

소나무줄기녹균(임시명) Cronartium quercuum

소나무줄기녹균(임시명) 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소나무혹병균) 담자균문 녹균아문 녹균강 녹균목 줄기녹균과 줄기녹균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4월 21일 관찰 장소 : 충남 논산시 벌곡면 수락리 대둔산 자생 환경 : 냇물 둑에 있던 드러난 소나무 뿌리에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균은 처음에 소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작은 혹이 생기며, 이것이 비대해져서 나중에는 직경 20~30cm 또는 그 이상에 달하기도 하며, 눈에 잘 뜨이게 된다. 12월~2월경 혹의 표면에 황갈색~오렌지색의 물엿 같은 점액(녹병 포자 정이)이 흘러나오며, 4~5월경에는 혹의 표면이 거칠게 갈라지면서 갈..

버들체관버섯(임시명) Phloeomana speirea

버들체관버섯(임시명) Phloeomana speirea (Fr.) Redhea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서목 우무버섯과(가칭) 체관버섯속(가칭)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4월 21일 관찰 장소 : 충남 논산시 벌곡면 수락리 대둔산 자생 환경 : 산의 아랫부분의 부분적으로 편평하며 물이 스며나와 작은 물줄기를 이루는 곳의 버드나무 아래의 낙엽 속에서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해설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 0.2~1cm 정도로 어릴때는 반원모양에서 점차 편평하게 되고 가운데가 젖꼭지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갓의 표면은 가운데는 흑갈색이고 주변으로 갈수록 회갈색을 띠며 옅어지고, 성장하면서 가운데는 연한갈색, 주변으로는 베이지색으로 변해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