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땀버섯속 신종 추정 버섯 20200910 - 08

땀버섯속 신종 추정 버섯 20200910 - 08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땀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9 월 10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보라매공원의 잔디밭에 부분적으로 식재 된 영산홍 무더기 아래에서 국수버섯, 주름볏싸리버섯 등과 함께 다수의 버섯들이 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을 버섯카페에서는 땀버섯속 새로운 종 또는 변종의 버섯으로 추정하였다. 좀 더 살펴 보아야 할 것 같다.

미 동정 버섯 20200909 - 10

미 동정 버섯 20200909 - 10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2020 년 9 월 9 일에 봏았던 버섯이다. 시내 평지에 조성 된 녹지정원의 큰 푸라타나스나무 아래의 그늘이 심 한 곳에 버려진 부패가 진행 횐 나무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도 도무지 소속의 방향도 헤아려지지를 않는다. 버섯카페에서도 아무런 답을 얻지 못하였다.

신종 추정버섯 20200909 - 17

신종 추정버섯 20200909 - 17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2020 년 9 월 9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평지에 조성 된 녹지공원의 이끼가 조금 낀 잔디 사이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신종 또는 변종의 출현으로 추정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아직은 과나 속명도 어렵다. 앞으로 좀 더 연구를 할 과제로 두기로 한다.

미 동정 점균 20200824 - 01.

미 동정 점균 20200824 - 01. 점균문 점균강 갈적색털점균목 갈적색털점균과 의 점균 추정 2020 년 8 월 24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계룡산에 딸린 보통 크기의 산, 북향의 산자락부에 난 산길 옆 절개면에 뿌리가 드러나 죽은 껍질의 지면쪽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이 점균을 관찰한 시각이 오전 11시 경 이었는데, 하산하면서 오후 3시경 다시 찾아보니 보이지를 않았다. 필자의 잘 못 된 관찰, 또는 이 점균의 수명을 생각케 되었다. 이 점균은 갈적색털점균과의 Hemitrichia calyculata(그물점균속), 또는 Trichia botrytis(Trichia속), Trichia decipiens(Trichia속), 의 점균과 유사해 보이기는 하지만 이들과는 다른 점균으로 보인다. 벗서카페 에..

미 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200824 - 07

미 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200824 - 07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8 월 24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계룡산에 딸린 보통 크기의 산, 북동향의 중간 능선에 멀지않은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 보는 버섯이라고 하였다. 금년에 유독 종래에 보여왔던 버섯과 다른 모습의 버섯들이 보이는 것 같았다. 이 버섯도 연구의 과제로 남겨둔다.

점균 Stemonitis smithii sp.

점균 Stemonitis smithii sp. 점균문 점균강 자주색속점균목 자주색솔점균과 자주색솔점균속 의 점균 2020 년 8 월 18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보통 크기의 야산, 동향의 불이 난 혼합림에 반쯤 타서 겉 부분은 숯과 같은 형태로 된 소나무숙주에 약각의 점균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발견 당시는 50여일의 긴 장마가 끝나고 난 후 3 일이 경과 한 시기였다. 같은 숙주목의 조금 떨어진 곳에는 같은속의 점균 Stemonitis smithii 도 다수가 함께 발생하고 있었는데, 필자는 이 점균은 같은속의 다른 점균으로 보아서 임시로 Stemonitis smithii sp. 으로 하였다. 같이 있던 Stemonitis smithii 보러 가기 : blog.daum.net/aks125/5423196

점균 Stemonitis smithii

점균 Stemonitis smithii 점균문 점균강 자주색솔점균목 자주색솔점균과 자주색솔점균속 2020 년 8 월 18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보통 크기의 야산, 동향의 불이 난 혼합림에 반쯤 타서 겉 부분은 숯과 같은 형태로 된 소나무숙주에 약각의 점균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발견 당시는 50여일의 긴 장마가 끝나고 난 후 3 일이 경과 한 시기였다. 같은 숙주목에는 역시 같은속의 점균도 다수가 함께 발생하고 있었는데, 버섯카페에서는 같은 점균 Stemonitis smithii 으로 동정을 하였으나 필자는 발생 모양이 다라보여 다른 점균으로 보았다. 다른 점균 Stemonitis smithii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3817 점균 Stemonitis sm..

두모양꽃애기버섯(임시명) Gymnopus biformis

두모양꽃애기버섯(두모양밀버섯, 임시명) Gymnopus biformis (Peck) Halling,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꽃애기(밀)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8 월 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잔디밭에 다수의 버섯들이 군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내용은 네이버 카페 '한국자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약 1~2cm 정도로 어릴때는 반원모양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는데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다. 갓의 표면은 어리거나 습할때는 갈색에서 성장하거나 마르면서 점차 짚색으로 변해가고, 가운데 오목 한 부분은 백색을 띠며, 미세한 섬유상 줄무늬가 있고, 다소 주름져 있다. 살(조직)은 히끄무레 하고 얇으며 연 한 가죽질이다. 주름살은 ..

미 동정 배꽃버섯속 의 버섯 20200801 - 05

미 동정 배꽃버섯속 의 버섯 20200801 - 05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배꽃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8 월 1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녹지공원의 잔디 사이에 베어버린 그루터기 주변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금년 7 월 11 일에도 보았던 버섯인데 오늘은 제법 성장이 된 모습이다.

두건마귀숟갈버섯(가칭) Trichoglossum sp.

두건마귀숟갈버섯(가칭) Trichoglossum sp. 자낭균문 콩나물버섯강 콩나물버섯목 콩나물버섯과 마귀숟갈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8 월 1 일, 시내 모처의 콩나물버섯이 발생한 곳에서 20 여 송이 정도가 군생하고 있었다. 8 월 8 일, 자생지를 확인 한 결과 버섯들이 완전히 성균화 한 느낌이었으나 모습은 전혀 무너지지 않았다. 8 월 23 일에 다시 찾았을 때는 흔적조차 찾을 수 없었다. 이 버섯은 주름이 없는것을 확인하고, 머리부와 자루부에 털이 밀생한것과 자생지에서 콩나물버섯이 함께 발생한 것을 보아서 마귀숟갈버섯속 의 버섯으로 생각하고 구글 검색을 하였던 바, 오직 한 사람이 이와 비슷 한 사진을 올려놓고 이름을 물어보는 것이 있었을 뿐이다. 그렇다면 국내에서는 당연히 최초의 관찰이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