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새둥지버섯 Nidula niveotomentosa

새둥지버섯 Nidula niveotomentosa (Hennings) Lloy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새둥지버섯속 2020 년 6 웟 2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에 딸린 산 북동향의 도랑변에 있던 부패가 많이 진행 된 나무토막 목질부에서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버섯들은 지난해의 버섯들이고, 금년에 새로 나온 버섯은 아직 유균단계 이었다. 다음 의 내용은 네이버 버섯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의 내용을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의 외형은 어릴때는 위쪽이 뚜껑을 덮어놓은 듯 두리뭉실 한 컵 모양을 하고, 바깥면은 백색의 작은 털로 덮여있다가 성숙하면 위의 덮개(입)를 열어 밑바닦이 넓은 견고한 컵모양이 되며, 높이는 약 1 cm 정도이며, 열린 입 ..

털작은입술잔버섯 의심버섯 20200623 - 14

털작은입술잔버섯 의심버섯 20200623 - 14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술잔버섯과 2020 년 6 월 2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계룡산에 딸린 산, 북동향의 큰 잡목림 이래에 있는 도랑변 물이 흐른 흔적이 있는 곳에 돌 위에 걸려있던 작은 나뭇가지에 털작은입술잔버섯 1 송이와 함께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털작은입술잔버섯으로 보았는데, 필자는 자루가 많이 길고, 자낭반 주변의 털이 적으며 꽃잎같은 구조로 볼 때, 변형이거나 다른 버섯이 의심되었다. 좀 더 살펴보아야 할 것 같다. 첫번째 사진에는 2 개의 버섯이 나와있고, 끝의 사진 2장은 같은 숙주에 발생하였던 털작은입술잔버섯이다.

미 동정 버섯 20200623 - 02

미 동정 버섯 20200623 - 02 담자균문 2020 년 6 월 2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에 딸린 산, 북동향의 도랑변 물기를 머금고 있는 부요물들이 지저분하게 있고 이끼가 낀 곳에 있던 낙엽 사이에 3 송이가 속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담자균에 속한다고 보았다. 필자는 아직 이런 모습의 버섯은 인터넷 상에서도 구경을 하지 못 하였다. 아마도 국내에서는 이 버섯에 관한 자료가 발표된 것이 없는것으로 추측 된다. 어쩌면 세계) 최초의 발견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녹황색송편버섯(임시명) Trametes strumosa

녹황색송편버섯(임시명) Trametes strumosa 20200623 - 08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2020 년 6 월 2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계룡산에 딸린 산, 동향의 도랑변에 떨어져 있던 나뭇가지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과 혼동할 수 있는 담갈색미로벗서은 발생이 수피가 없는 목질부에서 발생하며, 관공부도 미로 같은 모습을 하는것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은 버섯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내용이다. 갓은 지름이 3~5 cm 정도로 반원모양 ~ 조개껍질 모양이다. 갓의 표면은 황색이 가미 된 녹갈색으로 매끄럽고 약간 융기 된 테 모양과 방사상의 주름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성장할 때는 백색이다. 살(조직)은 가죽같은 질감으로 질기다. 자실층인 갓..

점균 Comatricha pulchella (C. Bab) Rostaf

점균 Comatricha pulchella (C. Bab) Rostaf 점균문 점균강 자주색솔점균목 자주색솔점균과 Comatricha 속 2020 년 6 월 21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야산, 북향의 물이 부분적으로 보이는 도랑변에 걸려있던 죽어 부패가 진행 된 활엽수목의 목질부에 다수의 균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조금 옆에는 자수색솔점균속 의 균들도 다수가 함께 발생하고 있었다. 이 점균은 전형적인 모습보다 자루가 짧고, 색도 어두운 색감이 많아 의문이 남기도 한다. 이 점균 역시 적당 한 설명내용을 얻지 못하여 설명은 보류하기로 한다.

가는대애주름버섯 Mycena adscendens

가는대애주름버섯 Mycena adscendens Mass Geest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2020 년 6 월 21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북향의 산자락부 물이 있는듯 없는들 한 도랑에 있던 물기를 머금고 있는 돌 위에 걸려있던 나무껍질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사진의 형태를 보고 동정을 한 것인데, 오류 일 수도 있다. 다음 의 내용은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백두산의 버섯도감 1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균모의 지름은 2~5mm로 반구형에서 종모양 또는 원추형이고 표면은 밋밋하며 미세한 가루에서 드물게 솜털상이며 투명한 줄무늬가 중앙까지 발달하고 투명한 백색으로 전체가 크림색이다. 가장자리는 물결형-주름진 줄무늬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며 막질이..

검정대밤가죽버섯 Picipes badius

검정대밤가죽버섯 Picipes badius (Pers.) Zmitr. & Kovalenko.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Picipes 속 의 버섯 2020 년 6 월 21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금남면 성강리 야산, 북향의 물이 있는듯 없는듯 한 도랑변에 걸려있던 나뭇가지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2016 년 속명이 Polyporus(밤가죽버섯속) 에서 Picipes(미기록 속) 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국명도 변경되어야 하겠으나 아직 변경되지 않아 이름은 종전의 이름을 임시로 그대로 쓰기로 한다. 다음의 내용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4~15 cm 정도로 어릴때는 낮은 반원모양에서 점차 편평해 진 후 깔때기모양이 된다. 갓의 표면은 ..

석류신그물버섯 Aureoboletus shichianus

석류신그물버섯(구 석류밤그물버섯) Aureoboletus shichianus (Teng & L. Ling) G.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신그물버섯속 2020 년 6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안산동 산자락부의 큰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특이하게도 깔대기큰솔버섯과 또 다른 무당버섯속으로 보이는 버섯이 함께 발생하였는데, 사진을 담느라고 버섯을 캐어보지는 못하였기에 기부에서 부착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다음은 석류밤그물버섯에 대한 국립수목원의 설명이다. 자실체는 원추형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서 편평하게 되는데, 얇고 담황~담갈색이며 절단하면 변색하지않지만 때로는 희미하게 청변한다. 관공은 넓고 바른~약간 내린관공이고 황색에서 올리브색으로 된..

미 동정 버섯 200617 - 01

미 동정 버섯 20200617 - 01 미 동정 2020 년 6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안산동 야산 산자락부근의 산길변에 있던 물이 조금 있는 물길부에 있던 지난해의 죽은 고마리로 보이는 풀줄기에 다수 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물길에 있던 큰 나무등컬을 들어내자 그 아래에서 나왔기 때문에 이 버섯이 물 속에서 발생했는지, 물 밖에서인지 알 수가 없었다. 이 버섯은 아마도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추정되는데, 구글 검색에서도 비슷 한 버섯을 찾지 못하였다. 숙주는 네모로 각이 져 있었으며 까실까실 한 작은 가시가 있는느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