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꼬막버섯속 Hohenbuehelia 버섯

꼬막버섯속 Hohenbuehelia 버섯 20200705 - 14.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꼬막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7 월 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장태산 자연휴양림의 도로변 흙에 5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동정을 한 버섯으로, 꼬막버섯과 비슷 하기는 하나 같은 버섯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현재 우리나라의 꼬막버섯속 버섯으로는 '꼬막버섯' '쥐털꼬막버섯' '애기꼬막버섯' 이렇게 3 종류만 나와 있으니까 이 버섯은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보인다. 그런 경우가 너무나 많다.

점균 Stemonitis fusca Roth

점균 Stemonitis fusca Roth 추정 20200704 - 08 점균문 점균강 자주색솔점균목 자주색솔점균과 자주색솔점균속 의 점균 2020 년 7 월 4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시내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잔디 사이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점균도 국내의 자료를 얻지 못하여 자세한 설명을 미루어 둔다. 이 점균은 금년 7 월 2 일 부터 6 일 까지 관찰 된 점균과 동일 점균으로 보인다. 이 점균의 특징으로는 발생 장소가 다양하여, 흙, 살아있거나 죽은 풀, 죽은 나무에도 발생을 하고있었다. 참고로 자주색솔점균속 의 점균들이 포자체는 비슷 해 보이나 유균때의 모습은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심지어는 활점균과 부들점균속의 Arcyria cinerea 와 비슷한 모양을 하며 ..

잔디말똥버섯 Panaeolus reticulatus

잔디말똥버섯 Panaeolus reticulatus Overh. 20200704 - 09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말똥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7 월 4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잔디 밭 잔디 사이에 10 여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설명은 네이버 카페 '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약 0.8~2cm 정도로 어릴때는 원추꼴을 한 원반모양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의 표면은 어릴때는 매끄러우나 성숙하면 약간 주름이 생기고 방사상 섬유로 덮여있으며, 습할때는 황갈색 ~ 적갈색이고, 옅은색의 불분명한 테무늬가 있으나 건조할 때는 무늬는 없어지고 연한 갈색이 된다. 살(조직)은 연한 회갈색이다. 주름살은 어릴때는 ..

노란불꽃버섯(노란고깔꽃버섯) Hygrocybe acutoconica

노란불꽃버섯(노란고깔꽃버섯) Hygrocybe acutoconica (Clem.) Singer 20200704 - 10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꽃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7 월 4 일과 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모 기관의 정원 화단에 10 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꽃버섯(붉은산꽃버섯)이 만지거나 상처를 입으면 검정색으로 변색을 하는데 반하여 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점에서 다르다. 비슷 한 버섯으로 고깔꽃버섯이 있는데, 고깔꽃버섯도 상처에서 색의 변화가 없는점은 동일하나, 고깔꽃버섯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갓의 중앙부가 돌출되며 주름살의 색이나 모습에서 역시 다르다. 또한 필자가 찾은 꽃버섯 노란색형도 인터넷에서는 같은 노란불꽃버섯 으로 취급하고 있다. 갓의 지..

털애주름버섯속 추정버섯 20200702 - 01.

털애주름버섯속 추정버섯 20200702 - 01.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털애주름버섯속 의 버섯 추정 2020 년 7 월 2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전시 동구 삼정동, 식장산 입구 큰 잡목림 아래에 죽어 누워있던 활엽수목의 껍질이 벋겨지는 곳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자루의 색이 특이하였으며, 자루 표면 전체적으로 작은 돌기가 붙어있는 특징을 보였다. 버섯카페 에서는 낙엽버섯과 털애주름버섯속 의 버섯으로 추정이 된다고 보았다. 이 버섯 역시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보인다. 어쩌면 국내최초의 발견일 가능성도 있다.

미 동정 버섯 20200702 - 14.

미 동정 버섯 20200702 - 14.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송곳버섯속 추정 2020 년 7 월 2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전시 동구 삼정동 식장산 입구, 큰 잡목림 아래에 죽어 누워있던 나무토막 위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하지 못 한 버섯으로, 언뜻 보기에는 노란송곳버섯 비슷하게 보여지기도 하나, 이 버섯은 자실체의 끝부분이 너부죽 하며 분지되는 모습이 다르게 보인다.

미 동정 버섯 20200702 - 13.

미 동정 버섯 20200702 - 13. 미 동정 2020 년 7 월 2 일에 보았던 균류이다, 대전시 동구 삼정동 식장산 입구의 큰 잡목림 내에 있던 낙엽 위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 균류는 필자로써는 아직 비슷 한 사진도 구경하지 못 한 특이 한 모습의 균류로, 담자균류 인지, 점균류 인지 조차도 구분이 어렵다.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못하였으며, 이 균류 역시 국내에서는 자료가 없는 초초의 발견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세계 최초의 발견일 가능성도 있어보인다.

미 동정 버섯 20200702 - 08.

미 동정 버섯 20200702 - 08. 미 동정 2020 년 7 월 2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전시 동구 삼정동 식장산 입구 서북향의 큰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 있던 2 송이의 버섯 모두가 갓의 아랫부분이 안으로 오그라든 같은 모습을 하는 특징을 보였다.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하지 못 한 버섯이다. 이 버섯 역시 아직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추정된다.

미 동정 버섯 20200702 - 03.

미 동정 버섯 20200702 - 03. 미 동정 2020 년 7 월 2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전시 동구 삼정동 식장산 입구의 큰 잡목림 아래에 죽어 누워있던 활엽수목의 껍질을 떼어보니 약간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약 0.5 mm 정도의 아주 작은 버섯이었으며,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못 한 버섯으로, 필자의 견해로는 모양으로만 보아서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은방울버섯속 의 버섯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하였다. 아마도 국내에서는 최초의 발견일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생각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