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 동정 무당버섯속 200615-09

미 동정 무당버섯속 20200615 - 09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2020 년 6 월 1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식장산 입구 도로변 잡목림에서 낙엽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다. 아직 흰꽃무당버섯(목련무당버섯) 도 보이지 않는 이른 시기에 발생한 점과, 주름살이나 자루의 색이 옅은 황토색인 점이 특징인것 같다.

점균 Metatrichia horrida

점균 Metatrichia horrida 20200615 점균문 점균강 갈적색털점균목 갈적색털점균과 Metatrichia속 2020 년 6 월 15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식장산 입구 큰 잡목림 아래 그늘이 많은곳에 죽어 누워있던 이름을 알 수 없는 활엽수목 껍질에 발생하고 있었다. 유균상태의 모습이 보이지를 않아 조금은 서운다다. 이 점균도 적당 한 설명이 보이지 않는다.

격자체먼지 Cribraria cancellata

격자체먼지 Cribraria cancellata (Batsch) Nann -Bremek 20200615 - 07 점균문 점균강 자주색솔점균목 체먼지과 체먼지속 2020 년 6 월 15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식장산 휴양림 입구의 그늘이 많은 큰 잡목림 아래에 죽어 부패가 많이 진행 된 참나무의 목질부에 다수의 점균들이 넓게 발생하고 있었다. 이 점균에 관한 설명을 아직 찾지 못하였다.

미 동정 점균 200610 - 01

미 동정 점균 20200610 - 01 점균문 점균강 망사점균목 자루먼지과 백색먼지속 추정 2020 년 6 월 10 일에 보았던 점균이다. 보통 크기의 야산, 혼합림으로 된 작은 능선부에 있던 살아있는 소나무의 지면부근 껍질에 발생하고 있었다. 균군을 손으로 살짝 문질러 보았더니, 부드럽게 고운 가루로 부서져 내렸다. 이 균은 자루먼지과 백색먼지속의 점균 Fuligo septica으로 추정이 되기는 하는데, 의문점이 많이 남는다. Fuligo septica는 보통 여름철 습기가 많은 시기에 잠깐 발생하는데, 이 균은 여름 장마가 오기 전 건조 한 환경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 만약 지난 해 발생하였었다면 이렇게 뚜렸하게 형체를 유지하며 남아있는 점 등. 백색먼지속의 아직 알려지지 않은 또 다..

버들애주름버섯(임시명) Phloeomana speirea

버들애주름버섯(임시명) Phloeomana speirea (Fr.) Redhea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2020 년 6 월 4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반포면 상신리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산자락부 큰 잡목림 아래의 그늘이 많고 물이 조금 스며나와 질척이는 곳에 떨어져 있던 나뭇가지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갓의 크기는 지름이 약 3~5 mm 정도로 보였느며, 주변에는 버드나무가 있었다. 이 버섯은 아직 국내에서는 이름을 얻지 못하고 있는 버섯으로, 버섯카페 최호필님이 임시명으로 버들애주름버섯 이란 임시명을 쓰고있는 버섯으로 아직 국내에는 별다른 자료가 없다. 이 버섯은 버섯의 이름대로 버드나무 아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최호필님은 알려주셨다.

미 동정 술잔고무버섯속의 버섯 200601 - 04

미 동정 술잔고무버섯속 의 버섯 200601 - 04 Hymenoscyphus caudatus (P.Karst.) Dennis 꼬리술잔고무버섯(조덕현) 추정 버섯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술잔고무버섯속 2020 년 6 월 1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반포면 봉곡리 동남향의 야산, 자락부의 크지않은 잡목들이 어거져 그늘이 많고, 부분적으로 물이 조금 씩 스며나와 조금 고여있는 듯 한 곳에 떨어져 있던 낙엽에 다수의 버섯들이 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하기는 하겠으나 나뭇잎에 발생하는 점으로 보아 조덕현 박사가 으름하고 있는 꼬리술잔고무버섯 Hymenoscyphus caudatus (P.Karst.) Dennis 으로 보인다.

가는아교고약버섯 Phlebia rufa

가는아교고약버섯 Phlebia rufa (Pers.) M. P. Christ.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아교고약버섯속 의 버섯 2020 년 5 월 2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계룡면 신흥리의 보통 크기의 야산, 남향의 작은 잡목들로 그늘이 많은, 물이 스며나와서 도랑을 이루는 곳에 있던 고주백이를 들추워 보니, 지면 쪽으로 2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버섯카페 '한국야생버서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버섯은 배착성으로 어릴때는 원 모양으로 시작해서 다른 개체와 서로 합쳐지며, 점차 기주 위에 밀착 한 상태로 넓게 퍼져나간다. 표면의 자실층은 어릴때는 백색에서 백황색 ~ 옅은 황갈색을 거쳐 오래되면 적갈색으로 되고, 어릴때는 어느정도 규칙적인 무늬를 나타내지만, 많..

미 동정 버섯 20200525 - 08

미 동정 버섯 20200525 - 08 미 동정 2020 년 5 월 2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 모 아파트 단지 내의 밝은 빈 공간의 작은 풀들과 이끼가 있는 곳에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노란이끼버섯을 사진 담다가 옆에서 우연히 발견이 된 버섯이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이 되지 않았다. 국내 미기록 버섯의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미 동정 버섯 200523-16

미 동정 버섯 20200523-16 미 동정 2020 년 5 월 2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장태산휴양림 막다른길 안쪽의 그늘이 많은 북향 계곡부에 죽어 누워있던 참나무로 보이는 숙주목 윗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담자균문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의 버섯으로 추정이 된다. 이 버섯도 아직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