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15

丹學人物考. 삼봉 정도전 三峯 鄭道傳 ( 2 )

丹學人物考.   삼봉 정도전  三峯 鄭道傳  ( 2 )                                                             硏精會報 29, 30호 에서  정도전은 이로부터 15년 후인 1398년(태조7) 즉 그가 죽을 때 까지 변함없이 이성계를 도와 활약했으며 또한 자기의 포부를 이성계의 권력에 의하여 실현했기 때문에 만년에는 이성계 앞에서 “한나라의 고조(高祖)가 장자방(張子房)을 썼을 뿐 아니라 장자방이 또한 한고조를 쓴 것입니다”라고 서슴치 안고 말하여 자기와 태조와의 관계를 태조와 장량(張良)으로 비유했던 것이다. 정도전이 이와 같이 이성계를 찾아갔을 무렵인 1383년(우왕 9) 8월에는 이성계의 유일한 정견 내지는 국방논의라고 볼 수 있는 안변지책(安邊之策..

동양학/단학 2025.02.04

丹學人物考. 삼봉 정도전 三峯 鄭道傳 ( 1 )

丹學人物考.   삼봉 정도전 三峯 鄭道傳  ( 1 )                                                             硏精會報 28호 에서  [ 1337년~1398, 本貫은 봉화. 字는 종지(宗之). 號는 삼봉(三峯). 시호는 문헌(文憲). 이성계(李成桂)의 조선 건국을 돕고,  군사, 외교, 행정, 역사, 저술, 에 활약, 억불숭유(抑佛崇儒).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 ]   정도전(鄭道傳)은 여말 선초(鮮初)의 시대를 인도한 사상가요, 유학자요, 위대한 정치가였다. 형부상서(刑部尙書) 정운경(鄭云敬)의 장남으로 1337년(충숙왕 6)에 태어난 듯 하며 영주(榮州)에서 세거(世居) 하였다. 그는 두뇌가 매우 명민하고 도량이 크며 호탕한 기상이 있었으나 후세사..

동양학/단학 2025.02.03

丹學人物考. 의상대사 義湘大師

丹學人物考.   의상대사 義湘大師                                                              硏精會報 27호 에서  [ 625년~702년, 속명은 김일지(金日之). 父는 신라 진골귀족 김한신 장군. 시호는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 고려 숙종).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시조, 신라십성(新羅十聖) 중 한 명. ]  법사 의상(法師 義湘)의 아버지는 한신(韓信)으로 서울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씨 혹은 박씨이다. 의상은 20 이 넘어 집을 떠나 황복사(皇福寺)로 가서 머리를 깎았다. 사문이 된 그는 이 땅에 큰 이익을 주는 승려가 될 것을 결심하고 이왕이면 당나라로 가서 좀 더 넓고 깊게 많이 배우고저 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라가 백제와 사이가..

동양학/단학 2025.02.02

丹學人物考. 매월당 김시습 梅月堂 金時習 ( 2 )

丹學人物考   매월당 김시습 梅月堂 金時習 ( 2 )                                                              硏精會報 24, 25 호 에서  한번은 자신의 전답을 타인이 빼앗아 농사를 짓는데 갑자기 그 사람에게 내놓으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사람이 듣지 않자 관가에 재판을 제기하여 타두는데 마치 장사꾼이 다투는 것 같았다. 승소를 하여 문서를 받게 되자 그 문서를 품속에 소중히 넣고 문밖에 나서자 앙천대소를 하면서 그 문서를 갈기갈기 찢어 흐르는 개울물에 던졌다. 이것은 아니꼽고 추잡한 현실을 부정하는 비판의식의 발로였는지도 모른다. 높은 벼슬에 있는 자가 혹 인망(人望)에 어긋나는 자로 알려졌을때는 “이 백성이 무슨 죄가 있어서 이른 임무를 맡기셨습..

동양학/단학 2025.02.01

丹學人物考. 매월당 김시습 梅月堂 金時習 ( 1 )

丹學人物考   매월당 김시습 梅月堂 金時習 ( 1 )                                                              硏精會報 23, 24호 에서  [ 1435(세종17)~1493(성종24), 本貫은 강릉(江陵). 字는 열경(悅卿), 號는 매월당(梅月堂), 동봉(東峰),벽산(碧山). 시호는 청간공(淸簡公). 법호는 설잠(雪岑). ]  매월당 김시습은 고려의 시중(侍中) 태현(台鉉)의 후손인 충순위(忠順尉) 김일성(金日省)의 아들로 세종 17년(1435) 서울의 성균관 뒤에서 태어났다.시습은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세상 사람들이 신동이라 불렀는데 그의 이름이 시습이라 지어진 것도 그가 태어난지 여덟달 만에 글자를 깨쳐 친척이었던 집현전 학사 최치운이 그의 재주..

동양학/단학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