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학/단학

丹學人物考. 의상대사 義湘大師

검은바람현풍 2025. 2. 2. 10:10

丹學人物考.

   의상대사 義湘大師

                                                             硏精會報 27에서

 

 

[ 625~702, 속명은 김일지(金日之). 는 신라 진골귀족 김한신 장군. 시호는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 고려 숙종).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시조, 신라십성(新羅十聖) 중 한 명. ]

 

법사 의상(法師 義湘)의 아버지는 한신(韓信)으로 서울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씨 혹은 박씨이다.

의상은 20 이 넘어 집을 떠나 황복사(皇福寺)로 가서 머리를 깎았다. 사문이 된 그는 이 땅에 큰 이익을 주는 승려가 될 것을 결심하고 이왕이면 당나라로 가서 좀 더 넓고 깊게 많이 배우고저 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라가 백제와 사이가 좋지 않아 서쪽바다로 해서 당나라로 가는 길이 막혀 있었고 육로는 고구려 또한 신라와 싸우던 중이라 육로도 막혀 의상의 당나라 유학은 어려웠다. 그러던 중 자신의 뜻과 같은 원효스님을 만나 몰래 국경을 넘어 당나라로 유학하려 했으나 국경 근처에서 고구려군 순라꾼에게 잡혀 감옥살이까지 하고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이로부터 10 여년 후인 태종무열왕 7(AD 660)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킴으로써 백제에 의해 막혔던 뱃길이 열리고 의상 또한 원효와 함께 당나라 유학의 길을 떠날 수 있게 되었다. 두 사람은 함께 뱃길을 따라 유학하기 위해 이듬해인 태종무열왕 8년에 항구에 닿을 무렵에 비가 몹시 내려 어느 땅굴 속에 몸을 피하고 잠을 자게 되었는데 이곳에서 원효스님은 대각을 하여 마음이 있으면 가지가지 일이 다 생기고, 마음이 없으면 모든 일이 다 없어지니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 있나니라고 깨닫고 홀로 서라벌로 되돌아가고 의상만이 배를 타고 당나라로 유학하게 되었다. 당나라의 등주 바닷가에 도착한 의상은 어느 불교신도 집에 머물러 쉬게 되었다. 그 신도에게는 선묘(善妙)라는 예쁜 딸이 하나 있었는데 의상이 그 집에 며칠 머무는 동안 선묘는 의상스님을 흠모하게 되어 사랑을 고백하였다. 이에 의상은 자비롭고 슬기로운 마음으로 선묘아가씨의 마음을 일깨워 스스로의 어리석음을 뉘우쳤고 의상의 공부를 영원히 돕겠다고 맹세하였다. 그리하여 의상이 학업을 끝마칠 때 까지 어디에 있던 공부에 필요한 물건을 어김없이 마련해서 보내주었다.

선묘의 집을 떠나 양주를 거쳐서 당대에 가장 이름 높은 고승을 찾아 종남산(終南山)으로 갔다. 그곳의 지상사(至相寺)에는 당시 당나라에서 이름 높은 고승이요 학자인 지엄화상(智儼和尙)이 있었던 것이다. 의상이 지엄화상을 찾아간 전날 밤 지엄은 꿈을 꾸었다. 그 꿈은 한그루의 커다란 나무가 해동(海東:신라)에서 생겨나더니 번성하게 지엽이 퍼져 나와 온 중국을 덮었다. 그리고 그 나무 위엔 봉새의 보금자리가 있었는데, 올라가 보니 한 개의 마니보주(磨尼寶珠)가 멀리에까지 그 광명을 던졌다. 지엄은 꿈을 깨어 놀랍고 이상한 일이라 절을 말끔히 청소하고 귀한 손님이 올 것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과연 의상이 그곳에 도착하였다. 의상을 본 지엄은 특별한 예로 의상을 맞아 조용히 말했다. “어젯밤 꿈이 그대가 내게 올 징조 였구나그리고는 의상을 방으로 들이어 지엄의 제자로 삼았다. 그로부터 의상은 열심히 공부하여 드디어 스승을 능가하는 학문을 터득하게까지 되었다.

의상이 종남산 지상사에 있을 때의 일로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의상이 있던 지상사의 이웃에 도선율사(道宣律師)가 살고 있었다. 도선은 언제나 끼니때가 되면 하늘에서 보내주는 음식을 먹었다. 그러므로 그는 절에서 지은 밥은 먹지 않았다. 그러한 도선이 하루는 의상에게 음식을 대접하려고 청했다. 의상은 그의 초대를 받고 가서 끼니때가 되자 하늘의 음식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음식이 오지 않았다. 의상은 할 수없이 굶고 돌아갔다. 의상이 가고나자 천사가 도선율사에게 음식을 가지고 왔다. 도선은 음식이 늦은 이유를 천사에게 물으니 천사는 대답하기를 신병(神兵)이 온통 골짜기에 가득차서 길이 막혔으므로 들어올 수가 없었습니다.” 하였다. 그때서야 도선은 의상의 도와 덕이 높아서 신병들이 호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의상의 도력(道力)은 도선보다 위였던 것이다.

 

의상은 꾸준히 노력하여 스승으로부터 가장 신임 받는 제자가 되고 지엄의 뒤를 이어 중국 화엄종의 제3조가 되는 현수(賢首)와 더불어 화엄의 깊은 이치를 깨달았다. 그러던 중 의상은 문무왕 11(671)에 신라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가 귀국을 하게 된 까닭은 당나라가 신라를 칠 계획을 하고 쳐들어왔다가 패한 뒤에 또다시 재침하려는 것을 당시 사신으로 갔다가 옥에 갇혀있던 김흠순, 김인문 등이 알고 몰래 사람을 시켜 의상에게 연락을 하였던 까닭에 의상은 귀국하게 되었던 것이다.

귀국하는 길에 의상은 그동안 자신의 공부에 도움을 많이 주었던 선묘의 집에 들렀다. 그러나 갈 길이 바쁜지라 문밖에서 인사만 하고 선창가로 달려갔다. 선묘는 그동안 의상이 귀국할 때는 자신의 집으로 들릴 것으로 믿고 의상에게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여 상자에 담아놓고 기다렸는데 의상이 밖에서 인사만 하고 가버려서 상자를 선창까지 직접 가지고 갔다. 그러나 선묘가 바닷가에 이르렀을 때 의상이 탄 배는 벌써 물결을 헤치고 저만치 떠난 뒤였다. 선묘는 낙담하고 섰다가 기운을 차려 상자를 들고 내가 스님을 위하는 마음이 진실하고 조금도 불순함이 없다면 이 상자가 스님에게 전하여 질 것이다하고 배를 향해 던졌다. 그러자 갑자기 바람이 휘몰아쳐 그 상자는 배까지 운반되어 의상이 받을 수 있었다. 그것을 본 선묘는 또 원()을 세워 이 몸이 용()이 되어 스님이 탄 배를 보호하여 신라까지 잘 모시고 가서 스님의 불사(佛事)를 도와드리겠습니다.’하고 바다로 뛰어드니 과연 용이 되어 의상을 무사히 건너가게 하였다.

 

신라로 돌아온 의상은 곧 국왕에게 위급을 알려 미리 막게 하였다. 그리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전쟁으로 시달렸던 백성들을 위로하고 힘을 불어 넣어 주었다. 또 강원도의 바닷가에 신라 관음의 성지인 낙산사(落山寺)를 마련하였다.

문무왕 16(676)에 의상은 조정의 도움을 받아 태백산 아래 영주에 부석사를 세웠다. 그는 여기서 화엄을 강술하여 해동화엄종(海東華嚴宗)의 시조가 되었다. 이 절을 지을 때에 어려운 일이 많았는데 언제나 그를 보호하며 따라다니는 선묘용(선묘가 변하여 된 용)이 지켜주어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특히 큰 절이 세워지자 소인배들이 들끓어 의상의 큰 뜻을 펴는데 많은 방해가 되었을 때 선묘용이 신통력을 발휘하여 넓이가 1리가 되는 큰 바위로 변하여 공중에 떠서 절위에 떨어질 듯 하다가 떠오르곤 하여 소인배들은 모두 도망을 갔다. 또 큰 바위가 공중에 떠있는 것은 의상의 신통력이라 하여 많은 사람들이 감복하였다 한다. 돌이 공중에 절하며 떴다고 하여 절 이름을 부석사(浮石寺)라 하며 지금도 절 옆에 부석(浮石)이 있고 절 안의 법당 밑 땅에는 돌용(石龍)이 묻혀있다고 한다.

 

의상은 제자들이 무척 많았다. 그 중에서 오진(悟眞), 지통(智通), 표훈(表訓), 진정(眞定), 진장(進臟), 도융(道融), 양원(良圓), 상원(相原), 능인(能仁), 의적(義寂) 이 열사람의 고승들이 모두 영수(領首)가 되었으니 모두 아성(亞聖)들이다. 이분들은 각기 전기가 있다.

오진은 일찍이 하가산의 골암사에 있으면서 매일 저녁 팔을 뻗혀 부석사의 석등에 불을 켰다. 지통은 추동기를 저술하였으며 표훈은 불국사에 머물면서 천궁을 왕래하였다.

의상대사가 황복사에 머물러 있을 때다. 제자들과 함께 탑돌이를 할 때 계단을 밟지 않고 매양 허공을 딛고 오르내렸다. 그 제자들 또한 계단에서 석자나 떠서 허공을 밟고 돌았다. 의상대사는 제자들을 돌아보며 세상사람들이 이것을 보면 반드시 괴이하게 여길테니 세상에는 가르치지 못 할 짓이다하였다.

의상과 함께 지엄화상 밑에서 공부하던 현수는 지엄의 뒤를 이어 중국 화엄종의 제3조가 되었다.

892(효소왕 1)에 현수는 승전(勝詮)이 귀국할 때 그의 저술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와 그 비판을 구하는 서신을 의상에게 보냈는데 그 친필 서신이 오늘까지 전해지고 있다. 의상은 문하에게 이것을 나누어 강술하면서 전교에 힘쓰다가 78세 로 입적하였다.

 

고려 숙종은 의상에게 해동 화엄시조 원교국사(海東 華嚴始祖 圓敎國師) 라는 시호를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