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051

丹學 관련 글. 율곡 의 심법 栗谷 의 心法

丹學 관련 글     율곡 의 심법  栗谷 의 心法 『성학집요(聖學輯要)』중에서 박산   신이 살피건대 마음의 본체는 담연히 비고 밝아서 빈 거울과도 같고, 사물에 감응되어 동하면 칠정(七情)이 응하는 것이니, 이것은 마음의 작용입니다. 다만 기(氣)에 구속되고 욕망에 가려져서 본체가 능히 서지 못하므로 그 작용이 혹시 그 바른 것을 잃기도 하는 것이니, 그 병통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어두움(昏)이요 다른 하나는 어지러움(亂)이다.(마음의 혼란昏亂이 바로 병통이니, 어두운 마음은 무기공이고 어지러운 마음은 산란심이다. 어두움은 지혜로 닦고 어지러움은 선정으로 닦는다)어두운(昏) 병통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그 하나는 지혼(智昏: 지혜의 어두움)이란 것으로 이는 궁리(窮理)를 못하여 시비(..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남명 조식의 호흡법

丹學 관련 글     남명 조식의 호흡법                                                          신명사도神明舍圖 > 병오본 부주, 봉우학당/ 피터팬  1. 도가에서 말하는 수은(汞: 수은은 신神 상징, 납은 기氣 상징)은 바로 신령한 단(丹)으로서 현주(玄珠: 사리)이니, 이는 움직이는 구슬 인 바 달아나기 쉬우니 잘 간직해야 한다. 2. 밤낮 주천이 돌아 잠시도 멈추지 않으니, 묵묵히 천지자연과 하나가 되어 함께 운행한다. 3. 용이 여의주를 보살피듯 마음에 잊지 말며, 닭이 알을 품듯 기운이 끊어지게 하지 말며, 고양이가 쥐구멍을 지키듯 정신을 흩트리지 말라. 4. 요점은 마음과 숨 쉬는 것이 항상 서로를 돌아보는데 달려 있다. 한 번 숨 쉬는 것이라도 ..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김시습 의 용호론

丹學 관련 글     김시습의 용호론                                                                   ~  불불회 홈페이지 에서  ~  或又問曰 修練龍虎可以化神仙乎 淸寒子曰 雖非至理 有是驗也어떤 이가 또 묻기를 "용호를 수련하면 가히 신선으로 화할 수 있는가?" 하기에 청한자가 답하기를 "비록 지극한 경지에 이른 것은 아니지만 이런 증험(證驗)이 있었다"하니 曰請詳敎之 昔神禹鑄鼎而罔象莫得逃其情 溫嶠燃서(犀+走) 而水怪不能遁其形상세하게 그것을 가르쳐주기를 청했다. "옛적에 신우(神禹)가 솥을 주조하니 허깨비가 자기 정을 도피시키지 못하여 사실을 드러내었고, 온교가 코뿔소의 뿔을 불태워 물속을 들여다보니 물속의 괴물이 그 형상을 드러내어 도망치지 못하였다..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해석문 3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해석문  3                                                                             ~  대안 블로그에서 ~  水木火土金의 오행은 서로 상생상극, 상부상조하여 근본으로 돌아오게 하느니, 精氣神 三寶를 煉丹하여 나아가 대주천 단계에 이르면 이윽고 頭頂(두정)에 오장의 다섯 가지의 순화된 기운인 청황적백흑의 5氣가 한데 뭉쳐 모이게 되어 인신 팔방과 우주 팔방을 주재하여 관통하는 중앙통로인 九宮에 들게 되고 이윽고 인신과 우주를 주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니, 몸에 은밀히 감춰진 三寶를 이용하여 팔괘 팔방에 걸림 없게 수행을 함에 유궐에 깊이 갈무리된 眞種子의 핵심재료인 腎精(신정)을 정련하여 수련해 나가면, 과정..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해석문 2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해석문   2                                                                             ~  대안 블로그에서 ~  담은 대장, 소장, 위장, 방광 삼초 등 육부에서 모이는 깨끗하고 청정한 기가 (삼초-無形의 장부이며, 각 장부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기능의 통로로서 상초, 중초, 하초로 인체를 3등분하여 존재합니다.) 갈무리되어 있는 곳으로 그 가운데에는 담신동자가 있으니, 神名은 龍曜(용요)요, 자는 威明(위명)이다.心神章 참조>번개와 우뢰를 팔방에 떨치듯 용감하고 과단성이 있어야 기혈이 끊임없이 순환되는데(雷電八振), 이러한 정신활동과 결부되는 장부가 곧, 담이라.몸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해석문 1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해석문  1.                                                                              ~ 대안 블로그에서 ~  상청 자하의 옥황상제님 전에 태상대도 옥신군께서 한가로이 예주궁에서 칠언절구로 된 경을 말씀하시니, 오행의 기운이 시방(十方)으로 분화되어 만신만상(萬神萬象)으로 천변만화(千變萬化)되는 이치를 설하여 주셨으니, 이 경이 곧, 황정경 내편이라. 마음을 순전히 모아 자주 묵송하면 각자에게 깃들어 있는 태선(胎仙)이 한 없이 즐거워 춤을 출 것이며, 묵송자에게는 구천의 영명(靈明)한 기운이 밝게 비추어져서 구천과 연결된 지극히 높고 밝은 진기가 쏟아져 들어오게 될 것이다.눈동자로 내관(內觀)하면 곧, 자줏빛 ..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 黃庭內經 )

丹學 관련 글   황정내경 ( 黃庭內經 )                                                                            ~  대안 블로그에서 ~  Ⅰ 황정경 (黃庭經) 이란?  1. 중국 동진(東晉)시대의 도교경전(道敎經典)이다. 비장(脾臟)을 상징하는 황정(黃庭)을 중심으로 도교적 신체구조론에 바탕하여, 오장신(五臟神)을 비롯한 인체에 머무르는 800만 신들의 관상(觀想)과 호흡법을 실천하면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얻어 신선이 된다는 설교며, 왕희지(王羲之)의 필적으로 된 유명한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과 상청파(上淸派) 도교신도가 그것을 바탕으로 개작하여 종교적 가치가 보다 높다는 주장을 담아 이름붙인 황정내경경이 있다.  2. 중국 위·진(魏晉)..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팔자 결 ( 八字 訣 )

丹學 관련 글    팔자 결 ( 八字訣 )       ○   悠 유 : 유연하게      ○   細 세 : 가 늘 게      ○   均 균 : 고 르 게      ○   靜 정 : 고요하게      ○   綿 면 : 부드럽게      ○   緩 완 : 완만하게      ○   深 심 : 깊 게      ○   長 장 : 길 게   ○ 入息綿綿하고 出息微微하라. 常有一寸餘氣라.○ 無聲無臭로 不粗하며 不滑하여 不涉하라.- 입식면면 출식미미하고 상유일촌여기하라는 말과 유 세 완 균 정 면 심 장 의 팔자결 원리는 무려 7,8천년도 더 되는 호흡법의 기본원리이므로 설명을 피하겠습니다. 무성무취 : 소리가 나지 않아야 하고 냄새도 맡을 수 없을 만치 순일하게 하고... 부 조 : 거칠어서 조잡하게 진행해서는 안..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학인 이십사 요 學人 二十四 要

丹學 관련 글    학인 이십사 요  學人 二十四 要                                                        ( 學人二十四要 당 조사 吳元子 劉一明 )  1. 간파세사 (看破世事) 세상일을 잘 살펴 깨트리지 않으면 몸이 고해(苦海)에 빠져 벗어나지 못하리라. 2. 참단견전 (斬斷牽纏) 얽매인 것을 잘라 버리지 않으면 육도(六道) 윤회가 눈앞에 있다. 3. 궁구리의 (窮究理義) 몸과 마음의 이치를 판별할 줄 모르면 정(正)과 사(邪)를 구분하지 못하여 잘못된 길에 빠진다. 4. 심사방우 (尋師訪友) 스승을 찾고 도반을 만나라. 마음이 허한즉 배가 불러질 수 있다. 혼자서 만족하여 늙어 간다면 하나도 좋을 것이 없다 5. 입지장구 (立志長久) 오래도록 수행을 쌓는..

동양학/단학 2025.01.13

丹學 관련 글. 단법 이십사 요결 丹法 二十四 要訣

丹學 관련 글    단법 이십사 요결  丹法 二十四 要訣                                                                       당나라 때 진인 오원자 유일명 지음 제 1 결 수보단방 (修補丹房) 후천 기(氣)를 배양하여 색신(色身)을 견강(堅剛)하게 할 것.후천 기를 배양하는 것이 제일의 급선무이니 정기신(精氣神)이 왕성하면 배고픔과 추위를 견딜 수 있다. 색신을 수련하여 견강해지면 비를 피하고 바람을 막을 수 있어 연단하기가 좋아진다. 제 2 결 연기축기 (煉己築基) 분노를 징계하고 욕심을 죽여 극기복례할 것.연기하여 마음을 지키는 것이 곧 축기이니 티끌 같은 감정과 망념을 모조리 털어 없애면 과연 단련한 효과가 온몸에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요..

동양학/단학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