仙道功夫 16) 대학 삼강령 본래의 의미 16. 대학 삼강령 본래의 의미 (397쪽) 유가에서 공자님 직법으로 나오는 것은 『大學대학』과 『中庸중용』 이 두 가지인데, 대학에 이게 조금 둔감한 소리를 하는 것이, 주자께서 大學之道대학지도, 在明明德재명명덕, 在新民재신민, 在止於至善재지어지선, 이라고 구절을 찍으셨..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15) 주역 공부는 형이하에서 형이상으로 통해야 15. 주역 공부는 형이하에서 형이상으로 통해야 (531쪽) 그러니까 이건 역이라는 게 성인의 네 가지 도가 있다고 해도 끄트머리 가서 극지점에 가서는 神이 주장이야. 정신이 주장이다 그러죠. 형이상이 주장이지 형이하는 밑에서 그걸 보고 만들어 놓은 거지, 따라가는 거지 별게 ..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14) 역에있는 성인의 네가지 도 14. 역에있는 성인의 네가지 도 (530쪽) 주역이 日 月인데, 해와 달, 그걸 가지고 음과 양을 만든 건데, 이제 여기 딴 건 다 얘기 하는 거고 계사전에 와서 易有聖人之道四역유성인지도사라는 것이 주장입니다. 易有聖人之道四 하나니 以言者이언자는 尙其辭상기사하고, 즉 “말을 ..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13) 공자가 주역 계사전에 복희씨를 등장시킨 이유 13. 공자가 주역 계사전에 복희씨를 등장시킨 이유 (529쪽) 주역 본 바닥은 문왕과 주공이 만들어 놨지만 이 계사전은 공자께서 계사를 하신 거죠. 여기다가 이제 堯舜禹湯文武周公요순우탕문무주공이 중국의 역대 제일 시작으로부터 해놨거든요. 해 놓으면서 그럼 그 요순임금 전..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12) 주역의 속알은 전부 정신철학이다 12. 주역의 속알은 전부 정신철학이다 (528쪽) 역학易學, 주역周易이 남들은 이게 점占하는 책으로 보는데 속에는 전부 정신철학이예요. 주역 전체로 보면 神字신자를 꽤 여러 번 썼습니다. 즉 역학이란 정신방면의 전체를 주장해서 쓴 것이란 소리예요. 이게 易有聖人之道四역유성..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11) 삼일신고 신훈의 진정한 의미 - 自性求子 11. 삼일신고 신훈의 진정한 의미 - 自性求子 (789쪽) 신훈 ... 성기원도면, 소리와 기운으로 원도하면 절친현 이니 친히 뵈는걸, 이 끊을 절자絶가 보이지 않는다는 절이 아니고 볼 수가 있으니, 그러니까 자성구자 하라. 누구한테서 구하지 말고 자기 성품을 자기에게서 구하라 하는..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10) 단군의 가르침 삼일신고 10. 단군의 가르침 삼일신고 (784쪽) 三一神誥가 본디 단군이 백성들한테 가르치던 책이라고 하는데, 고구려 없어진 뒤에 발해에서 대야발大野勃이 그걸 전했어요. 예전부터 우리 단군할아버지께서 전했다 이러는데 그 전에는 어디에서 전해졌는지 잘 몰라요. 천부경天符經은 그전..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09) 심인경 상약삼품도 옥추경 유래와 본 뜻 9. 심인경 상약삼품도 옥추경 유래와 본 뜻 (385쪽) 여기 마음심자 心 그런 게 있지요. 그것도 호흡하는 법입니다. 오른쪽에도 뭐가 있고요. 그건 딴 거 볼 거 없고 남들이 해 놓은 거니까 보기 좋게 한 것인데 다 떼고 이것이 주장입니다. 심인경, 심인경을 일만 번 읽으면 묘리자명(..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08) 삼재주는 주역 계사전에서 나왔다 8. 삼재주는 주역 계사전에서 나왔다 (717쪽) 색동지상형은 춘하추동 사철을 얘기하는 거고, 변화의의기는 금목수화토 오행을 얘기 하는 거고, 법극도리명은 인의예지신 도덕의 행위 하는 것을 얘기하는 것이지. 그렇다고 그걸 뭐 “어떤 책에든 다 있는 소리인데, 이게 뭣일까?” .. 동양학/단학 2012.01.21
仙道功夫 07) 입산 신고 삼재주 7. 입산 신고 삼재주 (715쪽) 그런데 거기서 한 가지 중요한 것은 그 끄트머리여. 심경 끄트머리에 삼재주三才呪라고 있어. 삼재주라고. 삼재주 이거 글자로 봐서는 아무것도 아니고 말도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를 소리여. 근데 이거 주역 계사전에서 빼 놓은 겁니다. 賾動志象形색동.. 동양학/단학 201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