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 동정 붉은목이속 의 버섯 240516 - 04

학 명 : Dacrymyces -분 류 : 자낭균문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붉은목이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그늘이 많은 잡목림 아래관찰 사항 : 산책로변 경사가 없는 곳에 죽어 누워있던 소나무의 껍질이 없는 목질부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어제의 비에 형체를 되찾은것이자 이번에 새로 발생한것 같지는 않아 보였다.이와 비슷 한 버섯들이 보이기는 하나 침엽수인 소나무에 발생하는 이런 모양은 처음인 것 같다.

미 동정 버섯 240517 - 04

학 명 :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7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산직동 자생 환경 : 2023년 4월 2일 산불이 났던 그늘이 서북향의 잡목림 아래관찰 사항 : 산불로 많은 나무들이 타죽었으나 그늘이 있고, 습기가 느껴지며 약간의 낙엽이 있는 곳에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도 답변을 보류하였다.

미 동정 물두건버섯과 의 버섯 240516 - 09

학 명 : Cudoniella -분 류 :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물두건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그늘이 많은 잡목림 아래의 물이 조금 있는 도랑관찰 사항 : 물이 거의 흐름이 없는 곳에 떨어져 물에 잠겨있던 활엽수 낙엽의 옆맥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보통 관찰이 되는 나뭇잎에서 발생하는 물두건버섯과의 버섯들에 비하여 오직 1 송이 만 발생하고 있었으며, 버섯의 색감도 분홍자주식감이 느껴졌으며, 자루가 특히 길은점이 특이하게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마도 최초의 관찰이 아닌가 예상 된다. 버섯카페에서도 미동정으로 보았다.

미 동정 난버섯속 의 버섯 240516 - 05

학명 : Pluteus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그늘이 많은 잡목림 아래의 이끼가 낀 곳관찰 사항 : 죽어 누워있던 활엽수 숙주목에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홀로 있던 유균은 필자로써는 지금까지는 만나비 못 한 색감과 모습을 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도 미동정으로 보았다.

미 동정 청담자기버섯속 의 버섯 2, 240513 - 04

학명 : Tephrocybe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청담자기버섯속 (곱추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기성동 자생 환경 :  2023년 4월 2일에 산불이 난 산의 산봉우리 가까운 정 남향의 능선 부관찰 사항 : 지난 해 산불이 나서 대부분의 나무들이 타 죽어 빛이 있는 산 정상에 가까운 남향의 경사가 있는 곳의 약간의 솔잎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버섯카페에서는 만가닥버섯과 곱추버섯속 의 버섯으로 동정을 주셨으나 국가표준버섯목록에 따라 필자는 청담자기버섯속 으로 쓴다. 청담자기버섯속의 버섯으로 2023년 7월 28일에 관찰 되었던 버섯과 는 차이가 있는것으로 판단하여 지난해의 버섯을 "청담자기버섯속의 버섯 1"로,..

미 동정 갈색먹물버섯속 의 버섯 240513 - 03

학명 : Coprinellus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갈색먹물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기성동 자생 환경 :  2023년 4월 2일에 산불이 난 산의 산봉우리 가까운 정 남향의 능선 부관찰 사항 : 지난 해 산불이 나서 대부분의 나무들이 타 죽어 빛이 있는 산 정상에 가까운 남향의 능선부에 있던 산불로 일부가 타다남은 활엽수 그루터기 아래에서 몇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의 크기는 갓의 지름이 약 2cm 정도로 보였으며, 주름살은 회흑색으로 노균이어서 잘 보이지 않았다.필자는 자생지에서 조금 전에 보았던 미동정버섯 240513-01로 생각도 하였으며, 양산버섯을 연상 하기도 하였으나 사진을 살펴 본 결과 모두 다른 버섯으로 판..

미 동정 버섯 240413 - 01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기성동 자생 환경 :  2023년 4월 2일에 산불이 난 산의 산봉우리 가까운 북향의 잡목림 아래관찰 사항 : 지난해 4월 2일 산불이 나서 대부분의 나무들이 타 죽어 빛이 있는 산 정상에 가까운 북향의 경사가 있는 곳에 있던 일부가 타다 남은 나무토막 아래 재가 많은 흙에서 1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양산버섯을 연상케 하나 필자가 본 양산버섯은 평지였지 이렇게 산 정상에 가까운 곳은 아니었다.버섯카페 에서는 아마도 방울갈색먹물버섯 노균 인것 같다는 의견을 주셨다.

미 동정 눈물버섯과 의 버섯 240511 - 05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유성구 갑동 갑하산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큰 잡목림으로 된 북향의 물이 흐르는 도랑 가까운 곳관찰 사항 : 그늘이 많고 습기가 많은 곳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갓 바로 아래의 자루부분이 흰색을 하는 특징은 보였는데, 갓의 모양도 좀 이상스럽고, 갓 윗면에 살짝 아주 가늘은 솜털 같은 섬유가 보이는것 같아 혼란스럽습니다.이 버섯은 버섯카페 기쁜소식님도 금년에 처음 본 버섯으로, 눈물버섯과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셨다.

미 확인 비늘버섯속의 버섯 240508 - 07

학명 : Pholiota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구 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갈마공원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작은산에 조성 된 공원의 북향 그늘이 많은 곳관찰 사항 : 그늘이 많은 정원수 아래의 잡초들이 조금 있는 곳에 수십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이 버섯은 한때는 땅비늘버섯으로 오인되기도 하였었는데, 버섯카페에서 연구 결과 아직 등록이 되지 않은 미 확인 비늘버섯속 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였다.

미 동정 버섯 240510 - 07

학명 : 분류 :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유성구 갑동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큰 잡목림으로 된 서북향의 도랑변 물이 조금 있는 곳관찰 사항 : 그늘이 많고 물이 지짐거리는 곳에 떨어져 있던 솔방울에 2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서의 느낌은 어떤 버섯의 유균은 아니고 본 모습의 어린 상태 인 것으로 생각 되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