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맛솔방울버섯(작은맛솔방울버섯) Strobilurus stephanocystis

맛솔방울버섯(작은맛솔방울버섯) Strobilurus stephanocystis (Hora) Singe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맛솔방울버섯속 의 버섯 2018 년 11 월 1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조성 된 수목원의 소나무숲 습기가 유지되는 곳에 다수가 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지난 봄, 3 월 18 일에도 보았던 버섯인데 가을에도 발생하고 있었다. 솔방울에 발생하는 버섯으로는 크게 3가지 무리가 있다. (1) 무당버섯목 솔방울털버섯과 솔방울털버섯속Auriscalpium (솔방울털버섯), (2)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솔방울버섯속Baeospora(솔방울버섯, 연보라솔방울버섯), (3)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맛솔방울버섯속Strobilurus (맛솔방울버섯, 요리맛솔방울버섯,..

가시맛솔방울버섯 Strobilurus ohshimae 추정

가시맛솔방울버섯 Strobilurus ohshimae (Hongo & I. Matsuda) Hongo ex Katum. 추정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맛솔방울버섯속 의 버섯 2018 년 11 월 1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수목원의 소나무 아래에 다수의 맛솔방울버섯이 발생하고 있던 곳에 오직 1 송이가 풀 사이애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을 뽑아보는 과정에서 풀뿌리와 엉켜 솔방울 까지는 찾지를 못하였으나 자루의 땅 속 모습이 맛솔방울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어 맛솔방울버섯속 의 버섯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국내 인터넷상에서 가시맛솔방울버섯을 찾으면 솔방울에 직접 올라온 버섯 사진이 올라오는데 이 버섯은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솔방울버섯속 의 버섯으로 보이는데 가시맛솔방울버섯이란 이..

끈적벚꽃버섯 Hygrophorus hypothejus

끈적벚꽃버섯 Hygrophorus hypothejus (Fr.) Fr.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벚꽃버섯속 의 버섯 2018 11 월 15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계룡산에 딸린 크지 않은 산, 북동향의 크지 않은 혼합림으로 된 경사가 약간 있는 곳의 빗물이 흘러내린 작은 도랑 형태인 곳에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서 버섯에 티끌이 붙어있서서 잡아떼었더니 맨 끝 사진처럼 갓 윗면의 껍질이 떨어져 버리는 불상사가 있었다. 필자는 이 버섯을 노란털벚꽃버섯이 아닐까 추정 하였는데, 버섯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최호필님은 노란털벚꽃버섯은 낙엽송림하에서만 발생하며 이 버섯은 발생시기로 보아서 끈적벚꽃버섯의 가능성을 말하였으나, 끈적벚꽃버섯에 관한 국내 자료로써는 '아름다운버서나라'의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