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미동정 버섯 20220625 - 05 - 01

관찰일시 : 2022년 6월 2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햇님공원 자생 환경 : 남쪽으로 높은 아파트 건물이 있어 그늘이 지는 공원 관찰 사항 : 나무조각등의 부숙물이 있는곳에 다음 올린 버섯들과 함께 2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모르는종이다. 눈물버섯 같지만 주름살색이 변하지 않는점도 특이하다. 라는 답변을 주셨다. 필자로써는 다음에 올릴 미동정버섯 20220625-05-11 과도 같은 종인지 다른 종인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

국내자료 없는 버섯 20220620 - 03

관찰 일시 : 2022년 6월 2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북향의 절개지면 아래 그늘이 많고 습기가 있는곳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낙엽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였는데 낙엽을 헤쳐보니 버섯은 때죽나무로 보이는 열매를 감싸고 발생하고 있었는데, 필자로써는 도무지 열매에서 발생한것인지 낙엽과 열매 주변에서 발생한 것인지 구분을 할 수 없었다. 버섯카페에서도 이 버섯은 보았던 버섯인데 아직 국내에서는 연구된 자료가 없다는 의견을 주었다. 애주름버섯속의 버섯으로 추정된다.

소똥환각버섯 유사버섯 220619-06

미 동정 버섯 220619-06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2년 6월 1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북향의 큰 나무들 아래도 난 산길 옆 경사가 있는 절개지 관찰 사항 : 낙엽 사이와 낙엽 등을 모아 둔 퇴비덤 같은 2 군데에 여러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스는 의견을 보류하였으나, 필자는 이 버섯을 소똥환각버섯이 아닌가 의심하여 본다. 자생환경이나 발생시기 주름살의 모습 등에서 매우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소똥환각버섯은 독청버섯과(포도버섯과 Strophariaceae) 에서 최근 분리된 막질버섯과(Hymenogastraceae 임시명) Deconica속(아직 국내명 없음) 의 소똥환각버섯(속이 환각버섯속에서 바뀌었으므로 당연히 버섯 이름도 ..

미동정 털컵버섯과의 버섯 20220619 - 18

미동정 털컵버섯과의 버섯 자낭균문 주발버섯아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털컵버섯과 관찰 일시 : 2022년 6월 1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북향의 산자락부 물이 흐르는 도랑변 경사가 있는 절개지부근에 낙엽 등을 모아놓은 곳 관찰 사항 : 육식성 동물의 배설물로 추정되는 곳에 여러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털컵버섯과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였는데, 필자의 검색에서도 국내에서는 물론 자료를 찾을수 없었고, 구글 검색에서도 찾을수가 없었다. 같은 종으로 보이는 버섯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4826 비슷한 미동정 들주발버섯속의 버섯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4745

미동정 긴꼬리버섯속의 버섯 220619-17

관찰 일시 : 2022년 6월 1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물이 흐르는 도랑변에 낙엽과 죽은 화초 등의 폐기물을 버려둔 그늘이 많은 곳 관찰 사항 : 풀들의 부패가 된 곳의 부유물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뽕나무버섯과 긴꼬리버섯속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였는데, 필자가 긴꼬리버섯속에 관한 자료를 찾아보아도 이와같은 버섯은 찾을수가 없었다. 비슷한 버섯으로 뽕나무버섯과에 긴뿌리버섯도 있는데 역시 자료를 찾지 못하였다. 구글 검색에서도 찾을수는 없었다. 아마도 국내에는 이 버섯에 관한 자료가 없는것 같다.

미 동정 버섯 20220529 - 06

관찰 일시 : 2022년 5월 29일 관찰 장소 :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산, 동남향의 도랑변 물기가 있는 곳 관찰 사항 : 낙엽과 낙지들이 몰려 있던곳의 작은 나뭇가지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 보는 버섯으로 속의 추정도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었다. 아마도 국내에서는 전혀 자료가 없는 최초의 발견으로 생각이 된다.

긴포자코털버섯 (임시명) Vibrissea leptospora

관찰 일시 : 2022년 5월 15일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구왕리자생 환경 : 그늘이 많은 북향의 도랑물에 잠겨있던 활엽수 나뭇가지관찰 사항 : 주변에서 4개의 나뭇가지에서 발생하는 것을 보았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자실체는 지름 1~3mm 정도로 볼록렌즈모양으로 기질에 밀착되어 있다. 포자가 형성되는 자실층인 안(위)쪽 표면은 처음에는 녹색이 가미 된 노란색이다가 성숙하면 밝은 노란색이 된다. 외면은 검은색이고 신선할때는 원형의 곡선을 만들지만 노균에서는 물결모양으로 된다. 살(조직)은 말랑말랑한 쿠션이 있다. 젖어있을때는 모르지만 말려보면 방출된 포자가 자실층 표면에 흰색의 미세한 솜털처럼 올라오는 것이 보인다. 자낭은 크기 300~320 ×..

부들눈물버섯(예명) Psathyrella 220513 - 02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5월 13일 관찰 장소 : 종 보존을 위하여 기록을 유보한다. 자생 환경 : 부들 사이에 갈대가 조금 있는 습원 관찰 사항 : 오랜 가뭄으로 물이 마른 부들습원 가장자리에 7~8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연구가 최호필님은 눈물버섯속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셨다. 필자는 그글에서 눈물버섯속의 버섯들을 검색하여 보았으나 이와같은 버섯을 찾지 못하였다. 아마도 아직 국내에서는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필자는 예명으로 부들눈물버섯으로 한다. 필자가 검색하여 본 이 버섯은 아닌것으로 보이는 버섯 들 Psathyrella bipellis 껍질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eana 족제비눈물버섯 Ps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