丹學人物考 (13) 강감찬(姜邯贊) 丹學人物考 (13) 강감찬(姜邯贊) 연 대 : 948(정종3) ~ 1031(현종22) 본 관 : 금주(衿州) 父 - 삼한벽상공신 궁진(三韓壁上功臣 弓珍) 시 호 : 인헌(仁憲) 강감찬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지략이 뛰어나 고려성종때 갑과(甲科)에 장원급제하고 예부시랑이 되었다. 일찍이 한양부 판관..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12) 연개소문(淵蓋蘇文) 丹學人物考 (12) 연개소문(淵蓋蘇文) 연 대 : 7~666(보장왕 25) 성 : 淵 주요업적 : 唐 太宗의 大軍을 막아냄(道敎를 중흥시킴?) 중국의 군림(君臨)과 방자(放恣)함에 대항하여 나라를 굳건히 지키고 자주민족의 기개를 온 천하에 떨치어 문화를 찬란하게 꽃피웠던 고구려가 제28대 보장..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11) 정염(鄭?) 丹學人物考 (11) 정염(鄭?) 연 대 : 1506(중종1)~1549(명종4) 본 관 : 溫陽 父 : 鄭順朋 자 : 士潔 호 : 北窓 주요저서 : 龍虎秘訣, 東垣珍珠囊, 劉氏脈訣 북창(北窓) 정염 선생은 중종 원년(1506) 3월 갑신(甲申)에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백제 탕정현(湯井縣, 오늘의 온양) 사람이며 그의 아..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10) 이 이(李 珥) 丹學人物考 (10) 이 이(李 珥) 연대 : 1536(중종31)~1584(선조17) 출생지 : 江原 본관 : 德水 父-李元秀 자 : 叔獻 호 : 栗谷 시호 : 文成公 주요저서 : 聖學輯要, 격몽요결(擊蒙要訣) 等 이이의 아버지는 강평공(康平公) 명신(明晨)의 5대손인 이원수(李元秀)로 일찍이 사헌부의 감찰과 의정..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9) 정희량(鄭希良) 丹學人物考 (9) 정희량(鄭希良) 연 대 : 1469(예종1)~? 본 관 : 해주 父 : 정연경(鄭延慶) 호 : 허암(虛庵) 자 : 순부(淳夫) 주요저서 : 공식적인 기록없음. 해동이적에 의하면 명경수를 지었다고 함. 허암(虛庵) 정희량은 이조 연산군 때의 문관으로 성격이 강건하고 문장과 시에 능하며 ..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8) 곽재우(郭再祐) 丹學人物考 (8) 곽재우(郭再祐) 연대 : 1552(명종7)~1617(광해군9) 본관 : 玄風 父 : 郭越 호 : 忘憂堂 자 : 季綏 시호 : 忠翼 임진난 때 홍의장군으로 이름이 높았던 망우당 곽재우장군은 황해도 觀察使 곽월의 아들이다. 어렸을 때에는 文으로 이름이 났으나 자라면서 武를 취하여 병서..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7) 곽종석(郭鍾錫) 丹學人物考 (7) 곽종석(郭鍾錫) 연 대 : 1846(헌종12)~1919 출생지 : 山淸(경남) 본 관 : 玄風 父-郭源兆(곽원조) 자 : 鳴遠(명원) 호 : ?宇(면우), 幼石(유석) 면우 곽종석 선생은 구한말의 대표적 유학자이시다. 선생은 평거에 단정하게 꿇어 않아 글을 읽었는데 그 모양은 고송(孤松)이 절..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6) 박지화(朴枝華 ) 丹學人物考 (6) 박지화(朴枝華 ; 1513 - 1592) 박지화의 子는 君實이요, 號는 守菴(수암)이니 旌善(정선)이 본관이다. 일찌기 易을 서화담(徐花潭)에게 배웠고, 精神修鍊의 술법을 좋아하여 금강산에 들어가 7년만에 돌아왔다. 제자가 그 술법을 가르쳐 달라고 물으면 守菴이 말하기를 ..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5) 서경덕(徐敬德) 丹學人物考 (5) 서경덕(徐敬德) 서경덕은 송도의 화담 서간정(花潭 逝間亭)에 집을 짓고 살았기 때문에 그를 사람들이 화담이라 불렀다. 서경덕의 아버지는 수의부위(修義副尉) 호번(好蕃)으로서 대대로 풍덕에 살았으나 송경(松京)사람 한(韓)씨를 부인으로 맞이하게 되면서부터 .. 동양학/단학 2012.02.23
丹學人物考 (4) 송익필(宋翼弼) 丹學人物考 (4) 송익필(宋翼弼) 연대 : 1534(중종29)~1599(선조32) 출생지 : 서울 본관 : 여산(礪山) 父-宋祀連(송사련) 자(字):雲長 호(號):龜峯 시호;文敬 주요저서 : 구봉집(龜峯集) 이조시대는 성리학에 이념을 두고 이로써 과거 시험을 쳐서 출사(出仕)하는 사대부 정치시대로서 사대.. 동양학/단학 201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