勿勿子 語錄 7) 나 에게서 구하라 나 에게서 구하라 옛 부터 지금까지 정신精神을 수련하느니, 무슨 비전법秘傳法을 배우느니 하는 인사들이 항상 그 비법이 전수傳授해 주는 사도師道에게 있으려니 생각한다. 물론 무無에서 유有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라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스승이라는 것은 어디서 어디까.. 동양학/단학 2012.01.22
勿勿子 語錄 6) 나의 한계 나의 한계 세상 사람들이 흔히 말하기를 나는 어떻다느니, 나는 무슨 일을 하겠다느니, 나의 장래 일을 위하여 내 과거 일은 이랬어야 하느니, 나와 남을 비교하느니 하는데 대체 '나'라는 것의 한계를 잘 알 수 없다. '나'의 한계는 무엇인가? 세상에 나온 후부터 나라고 이름 붙여 .. 동양학/단학 2012.01.22
勿勿子 語錄 5) 우리나라 고유의 체술 우리나라 고유의 체술 우리나라에 옛 부터 전해오는 무술의 비밀이 있는 것은 사실인데, 이것이 구체적으로 문자화 되어서 전하는 것은 보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흩어진 가운데 야담으로 전해지고 설화로서 그 지방에 전해질 뿐이다. 이것은 당시의 정치가 그것을 전하도록 허용.. 동양학/단학 2012.01.22
勿勿子 語錄 4) 역사에 가리워진 우리의 고대 문화 역사에 가리워진 우리의 고대 문화 세상에는 겉으로 드러난 일이 있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일도 많다. 또 겉으로 드러난 표현만으로는 알 수 없는 일도 많다. 우리나라 역사를 보자. 상고사는 잘 알 수 없으니 접어두고, 중고역사(中古歷史)에서 을지문덕이 수나라 병사 백만을 청.. 동양학/단학 2012.01.22
勿勿子 語錄 3) 物極必返 사물은 극에 달하면 반드시 되돌아온다 사물은 극에 달하면 반드시 되돌아온다 우리가 유년시대부터 노년시대까지 걸어온 발자취를 거울삼아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상을 예측해 보면 어떤 일정한 동일궤도에서 벗어나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비단 나 혼자만의 문제일 뿐 아니라 주변의 여러 사람들을 돌아.. 동양학/단학 2012.01.22
勿勿子 語錄 2) 만세(萬世)大丈夫의 출현 만세(萬世)大丈夫의 출현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이 세계 현상으로 보아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 인류가 거의 동일한 문제에 의문점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의식주에 관한 문제는 전 인류의 공통된 문제이니 이는 제외하고, 그밖에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은 자본주의 국가와 공산주.. 동양학/단학 2012.01.22
勿勿子 語錄 1) 황백전환기(黃白轉換期)와 정신문명의 도래(到來) 황백전환기(黃白轉換期)와 정신문명의 도래(到來) 황백전환기라 함은 바로 백산대운(白山大運)이 열릴 시기를 말한다. 백인들이 주축이 되어온 서구문명의 선구적 역할은 이제 한 세대 안에 끝나고, 황인종-특히 한국, 인도,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세계적 문명권이 열리고.. 동양학/단학 2012.01.22
仙道功夫 18) 요순이나 공자 단군할아버지 하신 말씀 똑같아 18. 요순이나 공자 단군할아버지 하신 말씀 똑같아 (402쪽) 공자님이 말씀하시기를 학자님더러 배우는 도리를 애기 할 적에 내가 열다섯에 이제 처음 공부에 뜻을 두어 가지고 나이 조금 더 먹어서 조금 깨닫게 되고, 그 다음에 조금씩 늘고 이렇게 했다고, 죽 해서 나이 七十而從心.. 동양학/단학 2012.01.22
仙道功夫 17) 도덕, 용호결은 대학 중용과 안팍 17. 도덕, 용호결은 대학 중용과 안팍 (400쪽) 道라는 것은 相生之謂也상생지위야오, 도라는 것은 자꾸 생겨나는 것, 생명을 죽이려는 게 아니고 자꾸 살리는 게 주된 뜻이여. 德이라는 것은 相生相剋상생상극 往來不窮왕래불궁, 서로 살리고 죽이고 끝없이 오고 감 해서, 우리 세상 .. 동양학/단학 2012.01.22
仙道功夫 16) 대학 삼강령 본래의 의미 16. 대학 삼강령 본래의 의미 (397쪽) 유가에서 공자님 직법으로 나오는 것은 『大學대학』과 『中庸중용』 이 두 가지인데, 대학에 이게 조금 둔감한 소리를 하는 것이, 주자께서 大學之道대학지도, 在明明德재명명덕, 在新民재신민, 在止於至善재지어지선, 이라고 구절을 찍으셨.. 동양학/단학 201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