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원 상 ( 原 象 )
首乾腹坤 天地定位 수건복곤에 천지정위하고
耳坎目离 日月明光 이감목리에 일월명광하고
口兌手艮 山澤通氣 구태수간에 산택통기하고
股巽足震 雷風動作 고손족진에 뇌풍동작하니
實是 乾坤之造化而 禀氣於人也
실시 건곤지조화이 품기어인야라
大哉 人乎 대재 인호여
至誠爲道 可以前知 지성위도에 가이전지라
一理存存 百體全全 일리존존에 백체전전하니니
是爲合德 妙用之專機也 시위합덕에 묘용지전기야라
機靜則變 機動則化 기정즉변이요 기동즉화이니
動靜之間 變化無窮 동정지간에 변화무궁이로다
是以 不疾而速 不行而至 시이로 부질이속하고 불행이지하고
致心上之精靈 치심상지정령하야
感以遂通 天下之故 감이수통 천하지고하나니
於皇上帝 降衷于下民 어황상제여 강충우하민하사
昭昭感應 降我靈旨 소소감응하사 강아영지하시고
授我 ○○ 天下之能事畢 수아 ○○하시어 천하지능사필 케 하시면
天地其永有所依賴矣 천지도기영유소의뢰의이
以況於人乎 以況於鬼神乎 이황어인호에 이황어귀신호여
三靈在身 修之則是 삼령재신에 수지즉시라
念玆在玆 日夕乾乾 염자재자하니 일석건건이라
至氣之神 感應大化 지기지신은 감응대화하소서
( 본인의 지극한 정성을 그 다음에 쓴다 )
우법右法은 역경易經의 요지要旨요 수련정요修鍊精要니 출자出自 계사전繫辭傳하니라
원문原文에 왈曰 “역易은 무사야無思也하며 무위야無爲也하야 적연부동寂然不動이라가 감이수통천하지고感以遂通天下之故하나니 비천하지지신非天下之至神이면 기숙능여어차재其孰能與於此哉리오” 하신 공부자의 말씀을 증연增衍하고 역경요지易經要旨를 종합綜合한 것이 원상수련법原象修鍊法이다.
유가儒家에서 왕왕往往이 이 형이상학形而上學을 전공專攻하시는 선배先輩들이 역학易學을 공부자孔夫子의 말씀과 같이 역유성인지도사易有聖人之道四라 하신 데에서 이 천하지지신天下之至神이란 것을 택擇하야 반조反照니 회광回光이니 하며 대학격물치지大學格物致知와 상위표리相爲表裡하야 공부工夫를 하신 것이다.
공문孔門에서도 이 법法을 전공專攻하신 분이 안자顔子이시고 일용사물지학日用事物之學을 전공專攻하신 분이 증자曾子이시다.
그러나 顔子께서는 불행不幸히 조졸早卒하시어 그 전수심법傳授心法을 다시 孔夫子의 묵시黙示에서 구求하게 되어 상세詳細를 결缺한 것은 유감遺憾이다. 孔夫子께서 이를 염려念慮하시어 부언중不言中에 이 黙示를 될 수 있으면 후인後人들이 알기 용이容易하게 하신 것이 원상법原象法이다.
유가儒家에도 교종敎宗과 심종心宗이 있는데 이 원상수련법原象修鍊法은 그 中의 心宗에 속한 것이다.
비록 유불선儒佛仙에 분파分派는 없으나 이 心宗에서는 귀착점歸着點이 두 곳이 아니요, 한곳이라는 것을 명시明示한 것이다. 즉卽 중산위만상中散爲萬象하야 말부합위일리末復合爲一理라는 불번不變의 철칙鐵則을 말 한 것이다.
우리는 공부자孔夫子 이전以前부터 이 물심양종物心兩宗을 우주인류宇宙人類에게 전傳해주시고 몸소 시범示範하신 대황조大皇祖님의 천부성경天符聖經에 一이 三이요 三이 一이며 이 모든 근본根本이 무無에서 생生하고 또 태양太陽의 앙명昻明을 주主로 한다고 하신 말씀의 참뜻을 알아야 한다. 一이 三이라는 것은 無에서 一이 生하였고 一과 대등對等하고 비등比等한 것이 三이라는, 一 이상以上의 수數라는 뜻이며, 三이 一이라는 것도 우주만유宇宙萬有에 근본根本은 귀착점歸着点이 하나요, 둘이 아니라는 뜻이다.
태양太陽의 앙명昻明을 主로 한다는 것은 우주만물宇宙萬物이 혼암昏暗에서는 동動인지 정靜인지 유宥인지 무無인지를 알 수 없는 연고然故로 太陽의 昻明을 本으로 해야만 비로소 宇宙에 萬有가 있는 줄을 알게 되고, 생양수장生養收藏의 원리原理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황조大皇祖님의 교훈敎訓을 우리 조선祖先들은 전통적傳統的으로 받아 온지 유구悠久한 세월歲月을 가졌고 또한 孔夫子님의 敎訓을 거듭 받게 된 것은 우리민족民族이 어느 民族보다도 우월優越함에 있다고 본다.
선조先祖들이 못 다한 것을 우리 후생後生들이 다시 한번 부활復活시켜 이 거룩한 敎訓을 세계만방世界萬邦에 수범垂範하도록 정진精進하는 것이 우리의 책임責任이라고 생각한다.
歲甲午十一月 後學 如海 知罪謹記 (1954, 11월 후학 여해 삼가 적다)
'동양학 > 단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우수단기 4. 원상혹문장 (原象或問章) (1) (0) | 2012.01.20 |
---|---|
봉우수단기 3. 원상법요 (原象法要) (0) | 2012.01.20 |
봉우수단기 1. 法分十六 (硏精十六法) (2) (0) | 2012.01.20 |
봉우수단기 1. 法分十六 (硏精十六法) (1) (0) | 2012.01.20 |
연정원 11. 연정 도인법 (0) | 201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