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버섯 395

살구노을버섯 Limacella glioderma (Fr.) Maire

살구노을버섯 Limacella glioderma (Fr.) Maire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노을버섯속 의 버섯 2019 년 7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시 외곽에 조성 된 휴양림의 그늘이 많은 북향 산책로변의 작은 풀과 낙엽이 조금 있는 흙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내용은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의 설명이다.갓은 크기가 3~9 cm 정도로 어릴때는 반원모양이다가 낮은 둥근산 모양으로 되며, 후에 가운데가 높은 편평 한 모양이 된다. 갓의 표면은 끈적거리고 적갈색에서 오렌지갈색을 거쳐 녹슨색으로 퇴색되며, 털이 없고 매끈하다. 껍질은 벗겨지기 쉽다. 살(조직)은 백색인데 상처가 나면 적색끼를 띈다. 주름살은 어릴때는 백색이다가 점차 연한 황색으로 되며, 자루에서 떨..

황토볏짚버섯 Agrocybe pediades

황토볏짚버섯 Agrocybe pediades (Fr.) Fayo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볏짚버섯속 의 버섯 2018 년 7 월 8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시 외곽에 있는 밭의 곡식이나 잡초가 적은 맨 땅에 발생하고 있었다.이 버섯을 볼 때는 비가 오고 난 후 2 일이 지나서 버섯이 건조에 가깝게 된 모습으로 본래는 색감이 좀 옅다. 갓은 지름 1.5~2.5㎝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이다가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 질은 어릴 때 미세한 털로 덮여 있으나 곧 탈락하여 매끄러워지며 습할 때 약간 끈적거리고, 표면색은 연한 황색에서 황토색으로 변해간다. 살(조직)은 얇고 탁한 백색이다. 주름살은 어릴 때 회백색에서 점차 갈색을 거쳐 나중에는 적갈색으로 변해가고, 자루에 바..

바늘땀버섯 Inocybe calospora

바늘땀버섯 Inocybe calospora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땀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9 월 14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시내 평지에 조성 된 녹지정원의 크지 않은 활엽수 아래의 잔디가 약간 있는 토양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독버섯 이다. "애기비늘땀버섯"과 매우 비슷해서 구분이 쉽지않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바늘땀버섯"이 갓 표면의 인편이 좀 더 거칠고, 자루 표면 색이 약간 진하며, 주름살 간격이 더 엉성하다. 갓은 크기 1~2㎝정도로 어릴 때는 원추 꼴 모양에서 종 모양을 거쳐 낮은 산 모양으로 된다. 갓 표면은 회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되며 어릴 때는 방사상의 섬유로 덮여 있으나, 차츰 갓 중심에서부터 갈라져 거친 인편으로 된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 백색에서 옅은..

미동정 광대버섯속의 버섯(흰달걀버섯)

미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흰달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017 년 7 월 2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보통 크기의 야산, 서향의 계곡 경사면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몇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식용 버섯이다. 이 버섯은 대주머니가 특별히도 크게 느껴지는 대형버섯이라는 느낌이 드는 버섯으로 갓의 가장자리로 홈선이 있다. 다음은 흰달걀버섯에 대한 설명이다. 유명한 "달걀버섯"을 대입시켜 비교해서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갓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는 것이 비슷하게 보이는 맹독버섯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꼭 기억해야할 특징이다. 갓은 지름 5~15㎝정도로 큰 편이며 어릴 때는 종 모양에 가까운 반원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운..

애기방귀버섯 Geastrum mirabile

애기방귀버섯 Geastrum mirabile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방귀버섯목 방귀버섯과 방귀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26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보통 크기의 야산, 서북향의 산자락 숲이 우거진 낙엽 사이에 10 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식 독 불명의 버섯이다. * 1cm 이하, 매우 작고, 유균은 적갈색 작은 공 모양, 후에 각피가 5∼7쪽으로 갈라지고 허연색∼담갈색 주머니 돌출. 자실체는 유균 때 낙엽층 내에 0.5∼1.0cm 정도의 작은 공 모양으로 형성되고, 표면은 적갈색∼담황색의 면모상 균사가 피복되어 있다. 후에 각피의 위쪽이 5∼7쪽으로 별 모양으로 갈라지면서 내피에 싸인 복숭아형의 기본체가 들어난다. 지름 1.4∼2.2cm, 열개된 외피는 완전히 열개되지 않으며, 바깥쪽으로 휜다. ..

유리버섯 Delicatula integrella

유리버섯 Delicatula integrella (Pers.) Fayod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송이과 유리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18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아파트단지 내의 그늘이 있는 화단의 이끼 사이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 식용 불가의 버섯이다. * 극소형. 전체가 반투명한 백색의 특징이 있고, 후에 가운데가 배꼽모양 들어간다. 주름살은 성기고 폭은 좁은 편. 대는 백색, 반투명. 갓 : 폭 0.3∼1.2(2)cm 정도의 극소형. 어릴 때는 다소 종형이다가 둥근산 모양,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배꼽모양 쏙 들어간 모양이 된다. 표면은 평활, 백색. 습기가 있을 때는 방사상으로 반투명의 줄무늬가 보인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무딘 톱니꼴, 불규칙하게 물결모양 굴..

적갈색유관버섯 Abortiporus biennis

적갈색유관버섯 Abortiporus biennis (Bull.) Sing.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유관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6일 부터 7 월 19 일 까지에 관찰 되었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북향의 대로변에 죽은 나무의 그루터기와 아파트단지 내의 공간에 있던 죽은 나무의 그루터기에 발생하고 있었다. 다행히도 여러 모습을 볼 수 있어 다행스럽다. * 소형∼거대형. 갓은 얕은 깔때기모양, 부채꼴, 반원형 등, 허연색, 황토색, 갈색, 적갈색 등. 하면은 미로상 관공. 미로버섯부치라고도 하였고, 유관버섯이 비기준종이어서 바뀜. 자실체 : 일반적으로 대가 있으나, 드물게 대가 없는 것도 있다. 대는 갓의 중심부 또는 일측에 생긴다. 대에 따라서 갓은 얕은 깔때기모양 또는 부..

과림여우갓버섯 Leucoagaricus americanus

과립여우갓버섯 Leucoagaricus americanus (Peck) Velligna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여우갓버섯속 의 버섯 2017 년 7 월 19 일과 21 일에 걸쳐 관찰 된 버섯이다. (미동정1707-19) 시내의 모 아파트 단지 내의 동북향 작은 정원에 있던 히말라야시타 로 보이는 그루터기와 주변 몇 곳에 속생하고 있었다. 숙주목이 침엽수이어서 솔버섯을 생각하기도 하였는데, 뚜렸한 자색의 턱받이를 하는 등, 솔버섯은 아니다. 이 버섯도 필자로써는 처음 접하는 버섯 같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나 생식하면 위장계 중독을 일으킬 수도 있다. * 중형. 허연색 바탕에 담갈색∼암갈색 비늘, 중앙이 진하다. 살은 백색, 자르면 적변. 과립각시버섯이 속이 달라져서 개칭됨. 갓 : 폭 ..

노란대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노란대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Peck) Manfr. Binder & Bresinsky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망그물버섯속 2016 년 7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야산, 북향의 작은 능선 옆으로 난 산책로 옆의 혼합림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식용버섯이다. 독특한 향기도 있고, 버섯도 대체로 깨끗해서 식용에 적합 한 버섯으로, 찌개나 국 등에 잘 어울린다. * 소형∼중형. 갓은 올리브색, 관공은 황색∼회황색, 대는 황색∼올리브색, 표면에 융기된 그물눈이 있다. 갓은 4∼8(16)cm의 소형∼중형으로.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며, 후에 가장자리가 치켜지고 중앙이 오목해 진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약간 비로드상,..

백조각시버섯(흰주름각시버섯) Leucocoprinus cygneus

백조각시버섯(흰주름각시버섯) Leucocoprinus cygneus (J. E. Lange) Bon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각시버섯속 의 버섯 2016 년 7 월 13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계룡산에 딸린 보통 크기의 산, 북향의 계곡 초입 부근의 물이 흐르는 도랑 옆, 조개풀 같은 작은 풀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각시버섯속의 버섯이나 갓버섯속의 버섯이 추정된다.밀가무리님은 흰주름각시버섯(=흰주름갓버섯, =백조갓버섯) 으로 동정을 주셨다. 다음은 기쁜소식님의 버섯에 관한 해설이다전체적으로 백색을 띠고 있어 선뜻 알아 보기가 어렵다. 잘 안보이기는 하지만 갓 가운데가 황갈색을 띠므로 유심히 살핀다면 곧 알아차릴 수 있다. 갓은 지름 1.5~2.5cm정도이고 어릴 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