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동정 버섯 20220706 - 03 학명 : - 분류 :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살갗버섯과 관찰 일시 : 2022년 7월 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산자락부근 서향의 그늘이 많은곳에 있던 죽은 소나무의 목질부에 관찰 사항 : 죽은 소나무의 목질부에 발생하고 있었다. 산딸기점균을 사진 담다가 화면에서 찾은 버섯이다. 이 버섯은 네이버 버섯카페에 회색넓적살갗버섯이 아닐까 질문을 하였으나 답변을 보류하였다.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2.07.08
미 동정 꽃애기버섯속 Gymnopus 의 버섯 20220706 - 08 학명 : Gymnopus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7월 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산자락부 그늘이 많은곳에 있던 죽은 활엽수목과 낙지에 관찰 사항 : 낙엽이 조금 있는 곳에 있던 단풍나무로 보이는 곳과 낙지에 각각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네이버 버섯카페에서 꽃애기버섯속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였다. 아마도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버섯으로 추정이 된다.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2.07.08
구형광대버섯아재비 관찰 일시 : 2022년 7월 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비교적 어둡지 않은 참나무숲 아래의 풀이 거의 없는 곳 관찰 사항 :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지난 해 에도 광대버섯중에는 일찍 발생하고 있었다. 다른 자료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2319 버섯/야생버섯 2022 2022.07.08
미 동정 마늘버섯속 Mycetinis 의 버섯 20220704 - 02 학명 : Mycetinis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마늘버섯과 마늘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7월 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참나무 숲, 열매와 낙지의 부스러기가 조금 있는 곳 관찰 사항 : 지난해에 떨어진 참나무 열매의 깍지등 부스러기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2.07.06
그물버섯아재비 Boletus reticulatus Schaeff. 학명 : Boletus reticulatus Schaeff.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7월 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비교적 어둡지 않은 참나무숲 아래의 풀이 거의 없는 곳 관찰 사항 : 10 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큰것은 자루 기부의 굵기가 어른 손목 만 하였다. 다음 의 내용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뉴회' 의 설명을 옮겨놓은 것이다. 갓은 크기가 5~20 cm 정도로 매우 크기도 하고 어릴때는 반원모양에서 점차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어릴때 흑자갈색에서 점차 갈색~녹갈색~암황갈색~황갈색 으로 변해가고, 처음에는 벨벳모양이나 성숙하면서 매끈하게 되지만 요철이 있는것도 있고, 습할때는 약간의 ..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2.07.06
노란종버섯 Conocybe apala 노란종버섯 Conocybe apala (Fr.) Arnolds (=Conocybe lactea)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소똥버섯과 종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7월 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예술의전당 자생 환경 : 넓게 새로이 조성 된 잔디밭 관찰 사항 : 10여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주름살의 색이 이채롭다. 다음의 해설은 네이버카페 '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종버섯속(屬) 버섯 중에서는 자루가 제일 길고 연약하다. 특별한 부분은 없지만 비슷하지 않아 독보적인 모습이다. 갓은 지름 3~4.5㎝정도로 원추 꼴 모양에서 종 모양이 되며, 성숙하면서 가장자리가 치켜 올라간다. 갓 표면은 건조하고 부드러운 짧은 털로 덮여있다가 매끈해지며, 가운데는 황토색이고 가..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2.07.05
미동정 외대버섯속 의 버섯 20210710 - 12 미 동정 외대버섯속 의 버섯 20210710 - 12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보라매공원 자생 환경 : 평지에 조성 된 모 기관의 정원의 잔디밭 관찰 사항 : 잔디밭 가장자리 이끼가 낀 곳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외대버섯속 까지만 동정을 하였다. 모습이 예뻐 보였다. 같은 버섯 다른자료 보러 가기 : https://blog.daum.net/aks125/5424768 버섯/야생버섯 2021 2021.07.25
세계 최초 발견 추정 Gliophorus(이끼꽃버섯속-가칭)의 버섯 세계 최초 발견 추정 Gliophorus(이끼꽃버섯속-가칭) 의 버섯 20210710 - 13 담자균문 담자균아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이끼꽃버섯속(가칭)의 버섯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0일, 12일, 2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정원수 아래의 이끼가 살짝 낀 곳 관찰 사항 : 5~7송이, 또는 20여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아직은 인터넷상에서도 비슷 한 사진을 찾을 수 없는 버섯으로, 지인께서는 벚꽃버섯과 이끼꽃버섯속(가칭)의 버섯으로 " Gliophorus viridis " 에 가까워 보인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필자의 생각으로는 속 조차 잘 못 본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오히려 버섯의 모양으로는 꽃버섯속 의 버섯을 의심하고 싶다. ..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1.07.25
작은씨딸기먼지(임시명) 20210701 작은씨딸기먼지(임시명) Tubifera microsperma (Berk. & M.A.Curtis) G.W.Martin 점균문 점균강 콩점균목 딸기먼지과 딸기먼지속 의 점균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산자락부 등산로변 큰 나루 아래 그늘진 곳 관찰 사항 : 바로 옆에 있던 산딸기점균을 보면서 찾은것이다. 검정색의 액체 같은 구조물은 아직 정체를 알지 못하고 있는데, 이 점균은 버섯카페에서 동정을 하였지만 의심되는 곳이 많이 남는다. 다른 자료 보러 가기 : 작은씨딸기점균 Tubifera microsperma (tistory.com) 버섯/야생버섯 2021 2021.07.04
맑은대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longistipitatus 학명 : Dacrymyces longistipitatus Shirouzu 분류 : 담자균문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주발목이속 관찰 일시 : 2021년 7월 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에 걸려있던 나무토막에 발생 관찰 사항 : 도랑변에 걸려있던 부패가 진행 활엽수목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오래 전 부터 관찰이 되어오던 버섯인데, 이번에 버섯카페에서 학명 만 얻었다. 2023년 7월 11일, 버섯카페에서 임시명으로 맑은대붉은목이 란 이름을 주었다. 속명이 주발목이속 이기때문에 맑은대주발목이 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성이 높을것 같은데,,, 다음 은 네이버 카페 " 한국야생버섯분류회 " 에서 옮겨 온 것이다...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1.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