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동정 버섯 204

미동정 자갈버섯속 의 버섯 20221015 - 01

관찰 일시 : 2022년 10월 1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보통 크기의 야산, 동향의 밤나무숲 아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낙엽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루는 낙엽 속으로 자상의 길이 정도가 깊게 뻗어있었으며 지하부에는 흰색의 털같은 구조로 덮여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자갈버섯속의 버섯으로 보았다.

미 동정 무당버섯속 의 버섯 20220912 - 05

학명 : Russula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9월 1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공원 자생 환경 : 남쪽으로 작은 화목들이 빽빽이 있는 북쪽의 그늘이 많고, 풀도 이끼도 없는 맨 땅 관찰 사항 : 땅에 붉은방콩이 붙어있는것 같이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갓의 윗면은 점성이 있었으며, 팥무당버서에 비하여 색이 짙은 선홍색으로 달랐고, 크기도 작았으며, 자루도 매우 짧아 땅에 붙어있는 느낌이었고, 갓 윗면에는 방사상의 선이 전혀 없이 매낀하였다. 옆에는 젖비단그물버섯도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 카페에서도 무당버섯속의 버섯으로만 보았다. 비슷 한 팥무당버섯 보러 가기 : 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

미 동정 주름버섯속 의 버섯 20220908 - 09

학명 : Agaricus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9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도로변 남향의 메타세콰이어나무 아래 경사면 관찰 사항 : 낙엽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루에 상처를 주어보았더니 서서히 어두운 황색으로 변색을 보였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는 붉은갓주름버섯 일텐데, 갓 윗면의 모습이 마음에 걸린다는 의견이었다.

미 동정 주름버섯속 의 버섯 20220908 - 10

학명 : Agaricus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9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도로변 남향의 메타세콰이어나무 아래 경사면 관찰 사항 : 낙엽 사이에 1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마르지 않은 버섯은 오직 1 송이 뿐이었다. 자루에 상처를 주어 보아도 색의 변화는 없는것 같았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는 음난주름버섯 같다는 의견이었는데, 필자의 자생지를 보았던 느낌으로는 음난주름버섯에 비하여 크기도 많이 작았으며, 다수의 버섯이 한 곳에 군생하는 등 다른 버섯으로 판단 되었다. 앞으로 좀 더 연구가 필요한 버섯 같다. 음란주름버섯 보러 가기 : https://cafe.naver.com/tttddd/2070

미 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20220904 - 05

관찰 일시 : 2022년 9월 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모 기관의 화단 영산홍이 식재되어있던 밝은 땅 관찰 사항 : 영산홍 포기 사이에 몇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자루에는 상처를 주어도 색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는 노란불꽃버섯(노란고깔꽃버섯) 으로 보았는데, 필자는 의심이 남아 일단 미동정으로 보았다. 꽃버섯속의 버섯으로 애매한 버섯들이 다수 관찰이 되고있다.

미 동정 광대버섯 20220827 - 04

학명 : Amanita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관찰 일시 : 2022년 8월 27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 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산, 남서향의 잡목림 아래 관찰 사항 : 경사가 있는 소능선 가까운 곳 약간 낙엽이 있는곳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뱀껍질광대버섯으로 보아야 할지, 다른 버섯으로 보아야 할지 어려워 단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었다. 필자의 견해로는 발생 환경과 발생 시기, 갓 윗면의 인편 구조에서 다른 버섯으로 보았다. 뱀껍질광대버섯이 아니라면 이 버섯도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버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