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36

가재

오랫만에 산행을 하다보니, 골짜기에 개재밥이 보인다. 가재밥이 있는 작은 돌을 들추워 보니 귀여운 가재가 보인다. 외손자놈이 유별나게도 작은 동물들을 좋아하여 몇차례에 걸쳐 가재도 잡아다 주어 오랬동안 사육을 하였다. 오늘도 외손자 생각에 가재들을 찾아 보았다. 외손자는 가재를 잘 찾는다 필자를 가재박사라 한다. 실은 일년 한겨울을 제외하면 언제든지 채집하여 올 수 있을것 같기는 하다.

야생동물 2023.04.05

이상한 개구리? 알 01

관찰 일시 : 2022년 3월 15일 관찰 장소 :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계룡산 자생 환경 : 물이 흐르는 도랑변, 부러져 수평으로 지면으로부터 약 2m 정도 떠있던 나무껍질부에 관찰 사항 : 공중에 떠있던 동일한 나무의 윗부분 2 군데에 있었다. 언뜻 보기에는 개구리알이 아닐까 추측은 되었는데 엉뚱하게도 공중에 떠있는 나무위에 2 덩이가 있었다.

야생동물 2022.03.18

미 동정 달팽이 20210424

미 동정 달팽이 관찰 일시 : 2021년 4월 24일 관찰 장소 :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자생 환경 : 서북향의 산자락 형태의 습한 곳 관찰 사항 : 물기가 충분히 있는 곳에 있던 껍질이 없는 부패가 진행 된 나무토막을 들추어 보니, 지면 쪽으로 2 마리가 나무에 부착하고 있었다. 달팽이의 크기는 약 1 cm 정도로 보였다. 다음 카페에서는 동양달팽이를 확인하여 보라는 조언이 있었는데, 전체적인 껍질의 무늬는 비슷하게 보이는데, 이 달팽이는 아직 어려거 그런지 투명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서 좀 더 확인이 필요한 것 같다.

야생동물 2021.04.25

쇠살모사 ?

관찰 일시 : 2021년 4월 9일 관찰 장소 :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남선리 자생 환경 : 산자락의 양지바른 물가 관찰 사항 : 기온때문에서 인지 카메라가 30 cm 정도까지 접금하여도 움직임이 거의 없었다. 지인의 살모사 구분법 살모사 : 주둥이 부분에 흰줄무늬, 혀는 검은색, 꼬리 끝은 노란 색. 쇠살모사 : 주둥이 부분에 흰줄무늬, 혀는 붉은색, 꼬리 끝은 검은 색. 까치살모사 : 주둥이 부분에 흰줄무늬는 없다, 혀는 검은 색.

야생동물 2021.04.12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Gunther

북방산개구리 척추동물 > 양서강 > 개구리목 > 개구리과 관찰 일시 : 2021년 4월 8일 관찰 잘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 자생 환경 : 북향의 산자락부에 물이 조금씩 스며나와 부분적으로 늪 형태를 이루고 있는곳의 낙엽을 헤쳐보니 낙엽 속에 웅크리고 있었습니다. 주변의 낙엽을 걷어보아도 거의 움직이지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다음 의 해설은 서식지 : 산림지대의 산사면, 계곡 주변의 낙엽, 돌, 고목 아래, 산지와 인접한 경작지, 농수로, 하천 주변의 초지, 돌무덤 아래 먹이 : 귀뚜라미, 거미, 메뚜기, 벌, 달팽이, 파리, 지렁이 크기 : 약 4cm ~ 7cm 식성 : 육식

야생동물 2021.04.12

이끼도롱뇽 Karsenia Koreana Min et al.

이끼도롱뇽 양서류 > 도롱뇽목 > 미주도롱뇽과 관찰 일시 : 2021년 4월 7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 자생 환경 : 북향의 계곡부에 있던 죽은 나누를 들추어 보았더니 그 속에 1마리가 있었다. 당일 비슷한 환경에서 또 다른 1마리를 보았다. 다음은 이야기야생동물도감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서식지 : 낮은 산에서 고산 지역의 너덜 지대가 발달한 습기가 많은 숲 지역 먹이 : 곤충, 거미와 같은 절지동물, 특히 곤충의 연한 애벌레 크기 : 전체 길이 수컷 60~102mm, 암컷 58~110mm 분포 지역 : 충청도, 전라도, 경상북도 및 강원도 지역 번식 : 5월~7월, 겨울잠 11월~2월 형태 : 국내에 사는 다른 도롱뇽과는 달리 혀, 발목, 두개골의 구조가 전혀 다르다. 몸은 가늘고..

야생동물 202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