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4절 정기신 삼위일체 第四節 精,氣, 神 三位一體 太初點(태초점)에 의해 太一(태일)의 統一性(통일성)이 깨지면서 솟아나온 精(정), 氣(기), 神(신)은 果然(과연) 三極(삼극) 相互間(상호간)에 어떻게 맞물리며 또한 어떤 作用(작용)을 하는 것인가? 이 精(정), 氣(기), 神(신)의 屬性(속성)과 作用(작용)은 오직 敎外..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3절 태초점 第三節(제삼절) 太初點(태초점) 1. 萬物生成(만물생성)의 原因(원인)인 太初點(태초점) 永遠(영원)의 前(전)부터 오직 太一(태일)만이 獨存(독존)하고 있을 뿐, 그 어느 存在(존재)도, 作用(작용)도 없었음이다. 太一(태일)은 絶對的(절대적) 統一體(통일체)로 지극히 靜(정)하며, 外部(외부)의 ..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2절 태일론 2. 자존체로서의 태일 2. 自存體(자존체)로서의 太一(태일) 永遠不變(영원불변)하며 自存(자존)하는 놈을 ‘太一(태일)’이라 하는데, 그렇다면 太一(태일)은 어떻게 自存(자존)할 수 있는가 하는 問題(문제)에 直面(직면)하게 된다. <우다나 80>에는 自存體(자존체)가 있음을 說明(설명)하는 句節(구절)이 있는..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2절 태일론 1. 태일의 명명과 정의 第二節(제이절) 太一論(태일론) 1. 太一(태일)의 命名(명명)과 定義(정의) 우리는 앞에서 ‘有(유)’의 根源(근원)인 ‘無(무)’는 絶對的(절대적) 無(무)가 아닌 無形(무형)으로 存在(존재)하며 作用(작용)하는 ‘無(무)’임을 밝혔다. 다시 말해서, 無形界(무형계)도 엄연히 存在(존재)하고 ..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1절 유무론 3. 무형의 작용이 있는 무 3. 無形(무형)의 作用(작용)이 있는 ‘無(무)’ 有(유)에서 有(유)가 비롯되었다는 主張(주장)은 第一原因(제일원인)을 設定(설정)함에 있어서 矛盾(모순)을 誘發(유발)하게 된즉, 萬物(만물)이 ‘有(유)’가 아닌 ‘無(무)’에서 비롯되었다는 說明(설명)만이 이 矛盾(모순)을 克服(극복)할 ..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1절 유무론 2. 공간 유한론과 무한론 2. 空間(공간) 有限論(유한론)과 無限論(무한론) 空間(공간)의 끝이 있는가 없는가에 관한 問題(문제)는 有史(유사)이래 人類(인류)가 풀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難題(난제) 중의 難題(난제)이다. 이 空間(공간) 有無限論(유무한론)에 관한 問題(문제)는 그다지 科學的(과학적)인 常識(상식)과..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스크랩] [제1장 태일론] 제1절 유무론 1. 자존체와 제1원인의 규명 第一章(제일장) 太一論(태일론) 第一節(제일절) 有無論(유무론) 1. 自存體(자존체)와 第一原因(제일원인)의 糾明(규명) 存在(존재)하는 모든 것은 ‘形(형)’을 具備(구비)하고 있음이며, ‘形(형)’이란 곧 ‘있는 것’인즉 ‘無(무)’와 區分(구분)하여 이를 ‘有(유)’라 한다. ‘有(유)’.. 동양학/동양철학 2012.03.09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1) 놀이 속의 역경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1. 놀이 속의 역경 ( 1 ) '도리도리'와 '짝짜꿍' 역경을 교육시키는 놀이들을 다 쓰려면 책을 한 권 따로 써야하지만,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몇 개 있다. 아기가 머리를 자기 목의 힘으로 들고 있을 때쯤 되면 도리 도리라고 명령을 하면 아기는 머리를 좌우로 회전시..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0) 맛 속의 역경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10. 맛 속의 역경 ( 1 ) 음식의 음양 이 세상에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이 있다.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과 비슷한 것을 먹을 수 있고 비슷하지 않고 전혀 다른 것은 먹을 수 없다. 원소로 말하자면 탄소(carbon), 수소(hydrogen), 산소(oxide), 질소(nitrogen)..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
이성환 김기현 의 易經 (9) 소리 속의 역경 이성환 김기현 의 역경 9. 소리 속의 易經 - 황종과 율려 ( 1 ) 율려(律呂)와 황종(黃鍾) 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높고, 빠른 템포의 음악을 들으면 사람은 흥분하고 낮고, 느린 템포의 음악을 들으면 사람이 조용해진다. 음의 높고 낮음, 빠르고 느림을 역경의 이론에 맞추어 한 번은.. 동양학/동양철학 2012.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