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야생화

꿀풀 Prunella vulgaris

검은바람현풍 2021. 6. 1. 00:56

꿀풀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꿀풀과 > 꿀풀속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내동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등산로변

 

다음 의 해설은 국립수목원에서 옮겨 온 것이다.

분포 지역 : • 한국(전국 산야), 일본, 대만, 유럽,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생활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 높이 20~30cm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2~5cm로서 거치가 있거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3cm 정도이지만 윗부분에는 없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양순형으로서 적자색이며 길이 1.5-2cm정도이다. 이삭꽃차례는 길이 3~8cm로서 꽃이 조밀하게 밀착하여 핀다. 포는 편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7~10mm로서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겉에 잔털이 있고, 하순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중앙 열편에 거치가 있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6mm 정도로 황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협과는 마른채 가을까지 선채로 남아 있다.

줄기 : 높이 20-3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모여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전체에 짧은 백색의 털이 있다. 꽃이 지면 원줄기에서 포복하는 가지가 나와 옆으로 뻗어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많이 뻗는다.

생육 환경 : • 양지에서 흔히 자란다. •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사질양토나 점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생육적온이 15℃정도이다.

번식 방법 : • 번식방법은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다음해 봄에 파종하는 방법과 봄에 근주를 캐내어 포기나누기를 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이 있다.

재배 특성 : •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이식이 용이하다. 내음성과 내건성이 강하므로 양지바른 경사지나 절개지, 스키장 경사면 등 다른 식물들의 적응성이 떨어지는 다소 척박하고 경사진 장소에 식재하면 좋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식질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서 좋은 성장을 보인다. 햇빛을 좋아하는 관계로 하루에 4시간 이상 햇빛이 드는 장소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지나 조경식재지에는 유기질 함량을 높여 생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식재하기 전에 300평당 거름을900-1,200kg 가량 골고루 뿌려주고 경운을 해 준다 .식재후 1차 관수를 하고 난 후에는 아주 건조하지만 않으면 활착한다. 식재거리는 보통 20-30cm 간격이면 되는데 당년에 개화하면 다음해 많은 개체가 나온다.

용도 : • 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어린 순은 식용하고 성숙한 것은 약용한다.
유사종

• 흰꿀풀 : 백색 꽃이 핀다.
• 붉은꿀풀 : 적색 꽃이 핀다.
• 두메꿀풀 : 원줄기가 밑에서부터 곧게 서고 기는줄기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원줄기 밑에 달린다.

특징 : 꿀풀은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꿀풀이라고 불리우는데 사실 벌들이 많이 찾아온다.

 

 

'야생화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골무꽃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0) 2021.06.06
산딸기 (꽃) Rubus crataegifolius  (0) 2021.06.01
메꽃 Calystegia sepium  (0) 2021.06.01
개망초 Erigeron annuus  (0) 2021.06.01
좀가지풀 Lysimachia japonica  (0) 2021.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