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메꽃과 > 메꽃속
관찰 일시 : 2021년 5월 2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자생 환경 : 시내에 조성 된 공원에서
다음 의 해설은 국립수목원에서 옮겨 온 것이다.
분포 지역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생활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이저로서 뾰족하며 길이 5-10cm이고 폭은 옆으로 나온 돌기와 더불어 폭 2-7cm이다.
꽃 : 꽃은 엷은 홍색으로 6-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이 길고 그 끝에 큰 꽃이 핀다. 꽃받침 밑에 있는 2개의 포는 녹색이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2-2.5cm로서 밑부분이 약간 심장형으로 되고 꽃받침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깔때기모양이고 길이 5-6cm, 지름 약 5c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꽃핀 후 보통 결실하지 않는다.
열매 : 삭과로서 구형이다.
줄기 : 땅속줄기 군데군데 덩굴줄기가 나와 다른 것을 감아 올라간다.
뿌리 : 백색 땅속줄기가 사방으로 길게 뻗는다.
생육 환경 : 들에서 흔히 자란다.
번식 방법 : 분근(分根)에 의한다.
용도 : • 어린 순과 근경은 식용한다. • 메꽃/큰메꽃의 根(근) 및 全草(전초)는 狗狗秧(구구앙), 花(화)는 旋花(선화), 根(근)은 旋花根(선화근), 莖葉(경엽)은 旋花苗(선화묘)라 하며 약용한다.
유사종
• 갯메꽃 : 바닷가에서 자라는 어린싹을 나물로 한다. 모래땅이나 염해가 심한 바위틈에서도 거뜬히 견딘다.
• 애기메꽃
'야생화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딸기 (꽃) Rubus crataegifolius (0) | 2021.06.01 |
---|---|
꿀풀 Prunella vulgaris (0) | 2021.06.01 |
개망초 Erigeron annuus (0) | 2021.06.01 |
좀가지풀 Lysimachia japonica (0) | 2021.05.30 |
개미자리 Sagina japonica (0) | 2021.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