丹學人物考 (6) 박지화(朴枝華 ; 1513 - 1592)
박지화의 子는 君實이요, 號는 守菴(수암)이니 旌善(정선)이 본관이다. 일찌기 易을 서화담(徐花潭)에게 배웠고, 精神修鍊의 술법을 좋아하여 금강산에 들어가 7년만에 돌아왔다. 제자가 그 술법을 가르쳐 달라고 물으면 守菴이 말하기를 “세상을 잊고 저 혼자만이 사는 (獨行) 선비가 혹 이런 짓을 하지만 학자의 선무(先務)는 아니다”하였다. 花潭이 종일 수룰 따져보고 있었는데 公이 수룰 보니 어떠하냐고 물었다. 花潭이 말하기를 “천하의 數를 따져보니 중국이 먼저 패망하겠다”하였다. 또 묻기를 “東方은 어떠냐?”고 하였더니 대답하지 않았다.
과연 3世를 지나 明나라는 崇禎(숭정: 마지막 황제인 의종의 연호)에 이르러 도적이 北京을 함락시켰다. 公은 일찍이 고요함을 지켜(守靜) 세간의 사물을 가지고 마음에 경영하지 않았고 천성이 간결하였으며 문장도 또한 그러했다.
公이 일찍이 吏文學官이 되었다가 바로 그만 두었다. 學力이 있고 예법대로 몸을 다스렸으며 모든 서적을 넓게 궁구하여, 보는 것이 정밀하고 확실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춘천 땅으로 피난 하엿는데 왜적이 가까이 왔음을 듣고 도리어 몸을 물에 던져 죽었다.
澤堂(택당)이 말하기를, “박지화는 서족(庶族)으로 태어나 널리 배웠고 문장을 잘하였으며 또한 理學을 잘 한다는 이름이 있었고 孤靑 徐起는 賤人으로 經史를 밝혀 학자들에게 교수 하였다. 두 사람이 다 같이 산수를 좋아하였고 명산에 은거하였으니 모두 화담의 門徒의 潮流이며 또한 자못 괴이한 것을 좋아하였으므로 세상에서는 박지화를 말하여 신선이 되어 갔다고 하니 화담의 氣風을 배운 사람은 대개 이와 같다”고 하였다.
<牛溪
우계 성혼 ; 선조때의 대학자로서 草野에서 학문에 전심하며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음. 이율곡, 송구봉과 交友가 두터웠다.
續集:우계속집>에 이르기를 “朴守菴 尊丈(박수암 존장)은 다만 詩學에 있어서만 매우 높은 것이 아니고 학문견식이 거의 근대에 볼 수 있는 인물은 아니다. 간절히 바라건대 몸소 나아가 선생과 같이 정밀히 간추려 정리하려고 하시고 비록 늙으셨으나 근면하시니 이미 선생으로 더불어 서로 아는 처지이고 보면 반드시 사양하여 물리치시지는 않으실 것이다”하였다.
<眉? 미수 허목(許穆:1595-1682)
; 효종때의 정치가, 대학자로서 정신수련의 깊은 경지에 도달하였음.
記言:미수기언>에 이르기를, “守菴이 북창 정렴과 더불어 서로 친교하였고 古玉丈人(鄭?)이 스승으로 섬겼다”하였고, 또 이르기를, 借 碩 “北窓이 일찍이 말하기를 ‘성인이 人倫을 중하게 여겼으니 老氏나 釋氏도 대개 大同小異하다 하였다. 항상 탄식하여 이르기를 말이 믿음을 보지 못하고 행실이 실행됨을 보지 못하므로 소리를 내어 노래를 부르고 스스로 희롱하여 예법 밖에서 제멋대로 오락가락하되 일찍이 중인과 다를 것이 없으며 그 남들과 더불어 거처함에 하나도 孔子의 도술에서 나오지 않은 것이 없는 것은 대개 그 깨달음이 釋氏와 비슷하고 그 자취가 老子와 비슷하여 그 사람을 가르치되 한결같이 성인으로 근본을 삼는 것이다’하였다.”
상고하여 보건대 화담의 학문은 특히 氣數之學으로 邵康節(소강절)을 뒤쫓아 갔으므로 별도로 一派를 개발하였으니, 이토정 지함과 박수암 지화같은 사람은 氣數學을 전하였고 서고청기는 또한 토정을 좇아 유학(遊學)하였으니 그 학문이 또한 비슷하므로 택당 이식이 그렇게 말한 것이다. (以上 張志淵 著 “朝鮮儒敎 淵源”에서)
학관(學官) 박지화는 일찍이 서화담 선생을 따라 수업을 받았다. 젊어서부터 名山을 유력하 였는데 솔잎을 먹고 벽곡(?穀)하였다. 학자들과 함께 산사(山寺)에서 기거하였다. 그는 한달 내내 무명옷 한벌만을 입고 지냈는데, 밤에는 책을 베고 누워자되, 보름 동안은 왼쪽으로 드러누워 자고, 보름 동안은 오른쪽으로 드러누워 자서 그 무명옷은 주름이 없이 새로 다려 입은 것 같았다.
유불도(儒佛道) 세 방면에 두루 뛰어났고, 예서(禮書)에도 함께 깊었다. 그는 문장에 가장 정박(精博)했는데, 詩와 文이 모두 고절(高絶)하였다.
일찍이 부마(駙馬) 光川尉의 만사(挽詞)를 지었는데 詩人 정지승(鄭之升 정지승 : 號 叢桂堂, 北窓, 古玉양선생의 조카로서 역시 丹學巨人임)이 칭찬해 마지 않으면서 “이 사람의 문벌(門閥)은 낮으나, 詩人들 세계에서의 지위는 최고네”하였다.
그 詩는 이러하다.
직녀성과 견우성은 본시 동서로 갈리었어도(天孫河鼓本東西)
인간의 오복을 가지런히 가득히 누리네(?得人間五福齊)
국과 떡을 그 당년에는 옥 식기에도 먹더니(湯餠當年曾食玉)
소대에서 오늘은 함께 봉황새를 타네(簫臺今日共乘?)
여러사내들이 예를 갖추어 의식을 차리는데(諸郞兼禮?義擧)
훌륭한 집이 구름에 이어져 불상도 홀리네(華館連雲象設迷)
집이 심원에 있어 서로 바라보이는 땅이니(家在心園相望地)
봄풀이 또한 우거짐을 견딜 수 없네(不堪春草又妻妻)
그는 금강산을 유람하였는데 그때 나이 70여세였으나, 천심만장(天尋萬丈)사이를 뛰어넘어 걸움이 나는 듯하였다. 그래서 중들이 모두 이상하게 여겼다. 그가 성안에 살때는 사이를 막아 한방에서 하루종일 정좌(靜坐)하고 있어 산림속같이 고요하고 쓸쓸하였다.
임진란이 일어나 왜구가 서울에 침입하자, 백운산(白雲山) 사탐촌(史탐村)에서 왜구를 피할 때, 친구인 정굉해(鄭宏偕)와 함께 갔다. 왜구가 백운산에까지 밀어닥치자 정굉해는 가족을 이끌고 떠나갔다. 수암은 그와 작별하면서, ‘나는 늙고 지쳐서 따라가지를 못하니, 다른 날 여기 와서 나를 찾게나’ 하였다.
며칠 후 왜구가 점차 퇴각하자 정굉해가 수암을 찾았으나 만날 수가 없었다. 다만 시냇가의 나뭇가지에다 종이조각을 매달아 놓았는데 거기에는 두보(杜甫)의 오언율시(五言律詩)가 쓰여 있었다. 이는 그가 돌을 안고 나무밑의 시냇물 복판에 스스로 빠져 죽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의 시는 이러하다.
낙양성 구름 낀 산 밖이라(京洛雲山外)
집에서는 소식 조차 오지를 않네(書音靜不來)
정신적으로 사귀어 시를 짓던 나그네가(神交作賦客)
힘이 다해 고향을 바라보네(力盡望鄕臺)
쇠약하고 병들어 강변에 누웠는데(衰疾江邊臥)
친구는 해가 저물어도 아득하네(親朋日暮廻)
갈매기는 원래 물에서 자는 법이니(白鷗元水宿)
무슨 일로 남은 애달픔이 있겠는가?(何事有餘哀)
이 시를 보면 일마다 꼭 들어맞아 참으로 수암 자신의 만사(挽詞)다. 굉해는 그의 시체를 건져내어 풀로 덮어주고 떠났다. 혹자는 그가 수해(水解)를 하지 않았을까 의심하기도 한다.
도가서(道家書)에서 ‘시해(屍解)는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의 다섯 가지 길이 있다’고 하였다.
-어우야담(於于野談)- 제호(霽湖) 양경우(梁慶遇)의 문집에서는 이렇게 말했다.
박지화는 일찍이 왜구를 피해 포천땅으로 내려갔는데, 그때 나이가 이미 70여세였다. 산에 올라가서 수풀속에 숨어서 하루는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금년까지 무슨 소용이 있어서 이렇게 구차하게 살려고 바둥대는가?” 하고서 드디어 집안 사람에게 옷을 빨라고 하였다. 날짜를 정해 장차 자결할 생각이었다. 옆에 있던 사람들이 감히 그 뜻을 저지하지 못했다. 그날이 되자 깨끗한 옷을 갈아 입고 산을 따라 깊은 곳의 곁으로 내려가 소나무 아래에서 배회하고 있었다. 사람들이 해 저물 무렵에 가서 찾아보니 그는 깊은 곳으로 들어가 단정하게 손길을 맞잡고 오뚝이 앉아 있는데 몸이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아서 사람들이 끼고 나와 그 웅덩이 가에다가 임시로 매장하였다고 하였다(以上 洪萬 宗著 “海東異蹟”에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선시대 중엽에 활약했던 많은 丹學人들 중 수암 박지화, 고옥 정작, 화담 서경덕, 고청 서기, 남사고, 북창 정렴 등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여 하나의 學風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그들이 남긴 여러 詩文이나 後世의 저작물속에서 증빙할 수 있다. 특히 조선단학파 중 가장 뚜렷한 족적을 남긴 북창 정렴선생의 詩集을 보면, 수암 박지화와의 밀접한 교유관계를 드러내는 시가 6편이나 되며, 화담 서경덕선생에 대한 시가 1편 실려있다.
수암 박지화선생 역시 조선시대 완고한 사회상과 폐쇄적인 사대주의적 학풍의 희생자로서, 특히 서자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하여, 당시 지식인으로 갖추어야 할 학문적 소양이나 인격을 충분히 구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슴에 품은 雄志를 펴볼 자리를 얻지 못한 채 평생 局外者(국외자)로서 한많은 삶을 마감해야 했던 것이다.
일찍부터 우리민족 전통의 현묘지도(玄妙之道)인 丹學에 인연을 맺어 심신양면으로 절차탁마한 결과 정신계의 뚜렷한 계제를 얻었으며, 當代의 많은 丹學巨人들 및 才士들과 교유했다.
'동양학 > 단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丹學人物考 (8) 곽재우(郭再祐) (0) | 2012.02.23 |
---|---|
丹學人物考 (7) 곽종석(郭鍾錫) (0) | 2012.02.23 |
丹學人物考 (5) 서경덕(徐敬德) (0) | 2012.02.23 |
丹學人物考 (4) 송익필(宋翼弼) (0) | 2012.02.23 |
丹學人物考 (3) 崔致遠(최치원) (0) | 201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