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254

4월 의 야생화 20250415 - 02 벼룩이자리

다음은 2025년 4월 15일,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서 보았던 모습이다.비슷한 꽃으로 별꽃이 있는데 모두 암술이 3갈래로 갈라지고 꽃잎은 5장르로 되어있는데, 벼룩이자리는 꽃잎이 둥그스름 하여 5장이 뚜렸하나 별꽃은 꽃잎 중앙이 깊게 파여 마치 10장의 꽃잎으로 된 것 같이 보이는 점에서 쉽게 구별 된다. 쇠별꽃은 암술이 5개로 되어있어 구분이 된다.

야생화/야생화 2025.04.20

탐라큰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f. Oreumiana 분류 : 이 아이는 큰개별꽃의 변종으로써 2019년 식물분류학회지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 : 조현. 김무열 " 논문에 큰개별꽃의 품종으로 언급 된 식물이다.설명에는' 4장의 잎이 줄기 상부에서 윤생하고 줄기에 2줄의 털이 보인다. 잎과 꽃받침, 꽃자루에는 털이 없다. 꽃은 줄기끝에 달리는데 암수술이 퇴화 한 여려개의 꽃이 겹꽃처럼 모여 달린다. 마치 연복 꽃차례를 보는것 같다. 그다지 넓지않은 곳에 모여있는것을 보면 근경에 의한 무성생식으로 군락이 유지되는것 같다. 그러나 사진처럼 열매도 맺히는것을 보면 일부는 불완전하나마 암수술이 달려서 수정이 이루우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그러나 필자가 본 모습은 잎..

야생화/야생화 2025.04.20

별꽃 Stellaria media

학명 : Stellaria media (L.) Vill.분류 : 분포 :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에 분포한다.생육 환경 : 산, 들, 길가에 난다. 생육형 : 2년생 초본이다. 크기 : 길이 10~20cm.잎 :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1~2cm, 폭 8~15mm로서 밑의 잎은 엽병이 있으나 꼭대기 잎은 엽병이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하반부의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 : 꽃은 양성이고 백색의 취산꽃차례로서 5~6월에 피고 정생 또는 액생하며 포는 작고 잎같다. 꽃자루는 길이 5-40mm로서 한쪽에 털이 있으며 꽃이 핀 다음에 밑으로 처졌다가 열매가 익으면 다시 위로 향한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난상 긴타원모양이고 녹색이며 길이 4mm..

야생화/야생화 2025.04.20

민둥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Maxim.

2025년 4월 13일, 대전시 서구 장안동 속칭 노루귀골 에서 보았던 모습니다. 다음은 국립수목원의 '국가생물종 지식정보' 에서 옮겨 온 것이다. 학명 : Viola phalacrocarpa Maxim. f. glaberrima (W.Becker) F.Maek. ex H.Hara국명 : 민둥제비꽃 분포 : 지리산에 분포,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특별자치도 등생육환경 : 양지쪽 구릉지에서 자란다.생육형 : 여러해살이풀잎 : 잎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1-3cm, 폭 0.8-2.5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3-10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20cm이고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꽃 : 화경은 높이 5-10cm이며 꽃은 홍자색이고 꽃받침조..

야생화/야생화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