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신년, 붉은 원숭이 해 ☆ 병신년, 붉은 원숭이 해 지난번 딸 아이가 붉은원숭이의 해(丙申年)에 대한 질문이 있어 생각되었던 것을 적어 본다. 우리의 선조들은 세상의 구성을 천(天:하늘), 지(地:땅), 인(人:생명체), 3 가지 (三才)로 되었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들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땅에서는 밤과 낮이 하루..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6.02.01
음양론의 절대성과 상대성 음양론의 절대성과 상대성 세상의 존재는 유형과 무형의 두 가지로 나뉘는 것 같다. 존재의 근본을 사람들은 원자라 부르는데, 원자의 구조를 보면 중심에 핵이 있고 그 주위를 전자가 돌고 있다. 핵에는 양(+)의 전하를 띄고 있는 양성자가 있고 전하를 띄지 않는 중성자도 있다. 전자는 ..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8.18
성공의 열쇠 '집중력' 집중력 '성공의 열쇠는 적성이나 재능이 아니라 집중력이다. ''집중력의 힘'을 쓴 세론 Q 듀몬(1862~1932)의 얘기다. 실제 모든 시험과 운동경기의 성패는 집중력에 달렸다고 한다. 신지애의 완벽한 퍼팅도,김광현의 코리안시리즈 4차전 마무리도 고도의 집중력 덕이란 것이다. 집중력..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2.23
여민지 일기 여민지 일기 자만은 적…연습이 완벽을 만든다” 2010-09-27 스포츠동아 -‘Practice makes Perfect’ 2009년 민지의 축구일기 여민지는 축구일기에서 2009년을 ‘성공의 해’로 정의했다. 그해 11월 아시아 U-16 여자선수권에서 전 경기 득점이라는 진기록과 함께 10골로 득점왕을 차지했고 한국은 정..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2.23
책 갈 피 (60) - 太天 安庚洙 - 60. 나이는 육신 뿐 아니라 정신력도 함께 늙게 한다. ☆ 첨족 : 노인들에게는 정상적인 정신작용을 기대하지 말라. 정도만 다를 뿐 노망은 자연스런 일이다. - 2012. 1. 21. -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1.25
책 갈 피 (59) - 太天 安庚洙 - 59. 공자님은 논어論語 계씨季氏편에서 사람의 자질을 네가지로 분류하시었으니 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困而學之 又其次也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생이지지자 상야 학이지지자 차야 곤이학지 우기차야 곤이불학 민사위하의) 첫째는 생이지지(生而知之)이니 나면서부터..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1.25
책 갈 피 (58) - 太天 安庚洙 - 58. 惟精惟一 允執厥中 - 서경 대우모편 ☆ 첨족 : 서경 대우모편과 논어에 나는 문구.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인심유위 도심유미 유정유일 윤집궐중 인심은 위태롭기만 하고 도심은 미약하기만 하니 정성을 다하여 하나로 하여야 진실로 그 중심을 잡을 수 있다네. ..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1.25
책 갈 피 (57) - 太天 安庚洙 - 57. 易 無思耶 無爲耶 寂然不動 感以遂通 天下之故 - 周易 繫辭傳 - 역 무사야 무위야 적연부동 감이수통 천하지고 - 주역 계사전 - ☆ 첨족 : 공자님은 주역周易에서 易이란 “ 아무 생각도 없고 행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끼어 드디어 천하의 연고에 통한다” 라고 하..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1.25
책 갈 피 (56) - 太天 安庚洙 - 56. 入息綿綿 出息微微 常使神氣 相住丹田 - 북창 용호비결 - 입식면면 출식미미 상사신기 상주단전 ☆ 첨족 : 55와 연결 된 내용으로 입식면면 출식미미 : 들이쉬는 숨은 면면히 끊이지 않게 하고 내쉬는 숨은 조금씩 아주 미미하게 하여, 상사신기 상주단전 : 항상 신神과 기氣로 ..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1.25
책 갈 피 (55) - 太天 安庚洙 - 55. 靜室端坐 先須靜心 垂簾下視 眼對鼻白 鼻對臍輪 - 北窓 龍虎秘訣 - 정실단좌 선수정심 수렴하시 안대비백 비대제륜 - 북창 용호비결 - ☆ 첨족 : 조선조 중종 때 사람 북창 정렴 선생이 남기신 용호비결에 있는 문구로 단학 수련의 초기 요지이니, 단학을 수련하려면, 정실단좌 .. 사는 이야기/살며 생각하며 201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