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1512

백강균 Beauveria bassiana (사마귀에 발생)

백강균 Beauveria bassiana (Bals. - Criv.) Vuill. (사마귀에 발생)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동충하초목 동충하초과 백강균속 의 버섯 2019 년 10 월 21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계룡산에 딸린 보통 크기의 산, 북향의 산자락과 논의 사이에 난 산길 경사면 풀 사이에 죽어있던 사마귀 2 마리에 발생하고 있었다. 약용 버섯 이다. 다음은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백강균은 불완전세대 분생자형 자실체로써 하늘소, 사마귀, 매미, 메뚜기, 딱정벌레 종류 등 각종 곤충류에 침입하여 기주 표면에 백색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번식할 수 없는 무성생식 기관인 분생포자는 발아하여 균사가 되고, 균사에서 가지를 친 분생자경(균사 끝에 분생자를 착생하는 받침대)을 ..

콩애기버섯 Collybia cookei

콩애기버섯 Collybia cookei (Bres.) J.D. Arnold 담자균문 담자균아문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송이과 애기버섯속 의 버섯 2019 년 10 월 17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도솔산 북서향의 산자락 부근, 잡목림 아래의 낙엽 사이에 7~8 송이가 속생하고 있었다. 다음의 내용은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균모의 지름은 0.4~1cm 정도로 어릴때는 낮은 반원모양 이다가 점차 편평해져 가운데가 오목 한 편평한 모양이 된다. 갓의 표면은 인편 없이 매끄럽고, 백색인데 가운데는 약한 갈색을 나타내기도 하며, 가장자리는 말려있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자루에 바르게붙은 주름살로 간격은 약간 촘촘하다. 자루는 길이 2.5~4cm 정도로 ..

찻잔버섯 Crucibulum laeve (Huds.) Kambly

찻잔버섯 Crucibulum laeve (Huds.) Kambly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찻잔버섯속 2019 년 10 월 10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황소조아님은 이 버섯의 특징이 컵 모양의 자실체 내부에 흰색의 바둑돌 같은 소포자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2021년 12월 11일 황소조아님으로 부터 DNA 분석 결과 찻잔버섯으로 나왔다는 통보를 받았다. 종래의 냄비찻잔버섯으로 동정되기도 하였으나 DNA 분석 결과에 따라 2021년 12월 12일 이름을 찻잔버섯으로 수정하고 내용도 수정한다. 다음 의 내용은 네이버 지식백과 에서 담아 온 것이다. 자실체의 지름은 5~8mm이고 높이는 5~8mm로 폭이 넓은 컵모양으로 주둥이가 바깥쪽으로 열려 있다. 바깥면은 황토색의 모피모양인 밀..

닮은애광대버섯(임시명) Amanita aff, lavendula (Coker) Tulloss, K. W. Hughes, Rodrig.

닮은애광대버섯(임시명) Amanita aff, lavendula (Coker) Tulloss, K. W. Hughes, Rodrig.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데버섯속 의 버섯 2019 년 10 월 9 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시내에 있는 보통 크기의 산, 북동향의 잡목림 내의 낙엽 사이에 3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다음 의 내용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연구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갓은 지름이 4~7 cm 정도로, 어릴때는 반원모양에서 점차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탁하고 연한 황색, 연두색이 가미 된 황색, 또는 연 한 갈색을 띠고, 갓의 가장자리에는 짧고 얕은 홈 선이 나타나며, 회황색 또는 자주색이 가미 된, 회색의 외피막 조각이 붙어 있으나 탈락하기 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