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목 > 범의귀과 > 고광나무속
관찰 일시 : 2021년 5월 3일
관찰 장소 : 금산군 진산면 막현리
자생 환경 : 2~3년전에 조림 한 보통 크기의 야산, 남향의 경사가 있고 자갈이 지면을 덮고 있던 곳에 새머두덩굴과 함께 있었다.야산 사이로 난 작은 냇물변의 도로변
관찰 사항 : 새머루덩굴과 엉켜있었는데 자생지에서는 나무인지 풀인지 조차 구분이 잘 되지 않을정도로 지면에 붙어있었다.
모 지인 께서는 얇은잎고광나무로 보인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음 의 해설은 국립수목원에서 옮겨 온 것이다.
분포 지역 : 중국; 함경북도부터 백두대간에 분포.
생활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수형:다간형
크기 : 높이 2 ~ 4m.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꼴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세로의 종맥이 있다. 잎의 길이는 7~13cm, 폭은 4~7cm이다. 열매가 달리는 가지의 잎의 길이가 4.5~7cm, 폭은 1.5~4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맥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 ~ 7월에 피며 정생 또는 액생하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에 잔털이 있고 5~7개의 백색꽃이 달리지만 밑에서 피는 꽃은 액생하며 지름은 3~3.5cm로서 향기가 있고 작은 꽃대 길이는 6~13mm로서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안쪽 끝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백색이며 4개로 원형 또는 넓은 달걀꼴이고 암술대는 4개로서 1/2보다 더 깊게 갈라지고 암술대와 밀선반까지 털이 발달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9mm, 직경 4~5mm이며 중앙 윗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고 털이 떨어지는 것도 있다. 9월 말 ~ 10월 말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2~4m이며 가지는 2개로 갈라지고 일년생가지는 갈색으로 털이 다소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뿌리 :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다.
나무 껍질 :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가지 : 가지는 2개로 갈라지고 일년생가지는 갈색으로 털이 다소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생육 환경 :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고, 건조한 곳은 좋아하지 않는다. 광선을 요하는 양수이지만, 다소 그늘진 곳에서도 볼 수 있다. 노지에서 월동하며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내건성이 강하고 내한성도 크다.
번식 방법 :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삽목, 분주)으로 한다.
재배 특성 : 이식이 용이하다.
용도 : 차폐용이나 큰 나무의 하목으로 식재하면 복층미가 있다. 정원용수로써 독립수로 식재하며, 외국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봄에 나는 새잎과 순은 식용한다. • 관상용, 향료용, 밀원식물로 이용한다. • 얇은잎고광나무(P.tenuifolius)의 익지 않은 열매와 뿌리를 치질에 쓰며 꽃을 신경계통 강장제 또는 이뇨제로서 쓴다.
유사종
• 털고광나무 : 잎의 양면 특히 맥계에 털이 있고 일년생가지는 밤색이며 백색털이 있고 껍질이 벗겨지지 않는다. 씨방과 암술머리에 털이 많다.
• 애기고광나무 :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2년생은 밤색이고 벗겨진다.
• 얇은잎고광나무
특징 : 우아하게 피어나는 꽃이 매우 아름답고 잎의 모양과 털의 다소에 따라 많은 종류와 변종으로 나눈다. 생장속도는 빠른편이다.
'야생화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0) | 2021.05.05 |
---|---|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Nakai) Ohwi (0) | 2021.05.04 |
낙엽송 무늬종 (0) | 2021.05.04 |
2021년 4월 28일에 본 자생식물 변이종 (0) | 2021.05.02 |
단풍취 Ainsliaea acerifolia Sch.Bip.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