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똥풀
양귀비과
관찰 일시 : 2021년 4월 5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다음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옮겨 온 것이다.
늦은 봄부터 늦여름까지 마을 주변의 길가나 풀밭에서 노란 꽃을 피우는 흔한 꽃이다. 크기는 30~80cm 정도이며 꽃은 5∼8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퍼져서 꽃이 피며 몇 개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2cm이고, 꽃받침조각은 2개이며 길이 6∼8mm의 타원 모양이고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길이 12mm의 긴 달걀 모양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약간 굵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져 있다.
열매는 이삭모양이고 좁은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가 3∼4cm이다.
독성이 있기 때문에 애기똥풀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예전에는 어린잎일 때 채취하여 물에 담가서 독을 빼고 나물로 먹기도 하였다지만 양귀비과 식물은 독성이 있기 때문에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애기똥풀이라고 불리는 것은 가지나 잎은 꺾으면 노란 즙이 나오며 이 색이 애기똥색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즙은 처음에는 노란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황갈색으로 된다. 몸에 털이 많고 만지면 부들부들한 느낌이 있는데 어릴 적 많다가 크면 점차 적어진다.
애기똥풀은 얼마나 샛노란지 그 즙이 살에 묻으면 잘 지워지지 않는다. 살에 닿는다고 피부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이며 독성이 있다고 겁내어 손에 묻었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예로부터 천연 염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백굴채’라 하여 꽃과 잎줄기를 모두 약용으로 쓴다. 질병에 따라 생풀을 쓰기도 하고 말려서 쓰기도 한다. 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도로는 생잎줄기를 적당히 잘라서 약용 알코올에 담가 두었다가 모기나 벌, 송충이 등에 쏘여서 가려울 때 그 액을 탈지면에 묻혀 바르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야생화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남성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 (0) | 2021.04.12 |
---|---|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0) | 2021.04.12 |
각시붓꽃 Iris rossii Baker (0) | 2021.04.12 |
넓은잎각시붓꽃 Iris rossii var. latifolia J.K.Sim & Y.S.Kim 추정 (0) | 2021.04.12 |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