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비비추

4. 우리나라의 비비추 (1) 일월비비추

검은바람현풍 2012. 1. 27. 19:29

4. 우리나라의 비비추

 

   (1) 일월비비추

 

 

 

학명 : Hosta capitata (Koidz.) Nakai

별명 : 산지보

이명 : Hosta capitata (Koidz.) Nakai,Hosta caerulea var. capitata Koidz.,Hosta nakaiana F.Maek.

개화 : 6-7 월, 자색.

• 잎 : 잎은 넓은 난형이고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10-16cm, 폭 5-7.7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엽병은 길며 밑부분에 자주색 점이 있다.

•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고 길이 2.5-2.7㎝로서 포배개열되며 종자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9mm정도로서 흑색의 날개가 있다.

• 꽃 : 잎 중앙에서 길이 50-60cm의 화경(花莖)이 자라 그 끝에 꽃이 달리고 포는 길이 2cm로서 타원형이며 자줏빛이 돌고 예두이며 소화경은 길이 4-6mm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4.5-5cm로서 자줏빛이 돌며 길이 3.5cm정도의 화서에 옆을 향해 배게 달리고 꽃과 꽃 사이의 간격이 좁아 두상으로 달린 것 같다. 수술은 6개로서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며 수술대는 위로 굽고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둥글다.

• 원산지 : 한국 전국에 분포한다.

• 형태 : 다년초, 화경(花莖)은 높이 50-60cm이다.

• 생육환경 : 산속 시냇가와 같은 습지에서 자란다.

• 광선 : 중생, 내한성 : 강함, 토양 : 보통, 수분 : 보통.

• 꽃/번식방법

• ▶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 1. 실생 : ⓐ9-10월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반그늘상태의 파종상에 직파한 후 멀칭처리를 한다.

• ⓑ이듬해 봄에 발아한 어린 묘는 7-8월경에 이식하는 것이 좋다.

• 2. 분주 : 성질이 강건한 식물이므로 겨울철을 제외하고는 어느 시기에나 필요에 따라 분주로 번식시킬 수 있다.

• 꽃/번식방법

• 여름철의 더위에 약한 식물이므로 반그늘 상태에서 직사광선을 차단해주고 통풍이 좋은 곳을 택하여 재배한다. 토양은 특별히 가리지 않으나 배수가 잘 되는 곳이 좋다.

• 파종기 : 10 - 11월

• 이식기 : 3월, 4월, 5월, 9월, 10월, 11월

• 결실기 : 10월

• 이용방안

• ▶ 지하부의 뿌리가 대단히 강건하여 토양을 고정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므로 절개사면의 녹화용으로 적합하며 낙엽성 교목류의 하부식재용은 물론 척박지 녹화용으로 식재하면 좋다.

• ▶ 잎과 줄기는 생식할 수 있는 좋은 식용식물이다.

• ▶ 생약으로도 이용되며 좀비비추에 준한다.

• 보호방안

• 자생지가 전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개체수도 상당수이나 일반인들의 무분별한 남획이 우려되므로 자생지 보존은 물론 국민계몽이 필요하다. 경제적 가치가 뛰어난 식물이므로 대량증식에 의해 적극적으로 이용하거나 자생지외 보존이 필요하다.

• 특징

• 비비추에 비해 잎이 약간 둥근모양이며 꽃이 주먹처럼 뭉쳐서 핀다. 종명은 "두상화서" 또는 "두상으로 달린다"를 의미한다.

• 태백산 금대봉에서 꽃이 희게 피는 흰일월비비추(H. capitata for. albiflora Y.Lee for. nov.)를 발견하여 식물원협회 이영주 부회장이 대량증식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