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이 만난 버섯 246

미 동정 버섯 240510 - 07

학명 : 분류 :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유성구 갑동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큰 잡목림으로 된 서북향의 도랑변 물이 조금 있는 곳관찰 사항 : 그늘이 많고 물이 지짐거리는 곳에 떨어져 있던 솔방울에 2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서의 느낌은 어떤 버섯의 유균은 아니고 본 모습의 어린 상태 인 것으로 생각 되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다.

미 동정 애주름버섯속 의 버섯 240510 - 02

학명 : Mycena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1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유성구 갑동 갑하산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큰 잡목림으로 된 북향의 물이 흐르는 도랑 가까운 곳관찰 사항 : 그늘이 많은 곳에 있던 활엽수 나무토막에 6~7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애주름버섯속 의 버섯으로 동정을 하였다.

미 동정 버섯 240509 - 09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4년 5월 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장안동 장태산자생 환경 :  지난 해 4월 2일 산불이 난 능선 가까운 남향의 습기가 있고 불탄 재가 많은 곳 관찰 사항 : 습기가 많이 느껴지는 솔잎도 약간 남은곳에 4 송이가 속생하였는데, 온전 한 것은 1 송이 뿐 이었다. 자루의 기부에는 흰색의 고운 털이 덮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다.

쥐방울갈색먹물버섯 (방울쥐눈물버섯) Tulosesus angulatus

학 명 : Tulosesus angulatus (Peck) D. Wächt. & A. Melzer (Tulosesus속)           이명 : Coprinellus angulatus (Peck) Redhead, Vilgalys & Moncalvo (갈색먹물버섯속)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서목 눈물버섯과 Tulosesus속,(갈색먹물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산직동  자생 환경 : 크지 않은 산, 2024년 산불로 나무를 베어버린 서양의 능선 부관찰 사항 : 햇빛이 그대로 내려쪼이는 능선부에 있던 관목활엽수의 그루터기의 부분적으로 부패되어 물이 고있수 있는곳에 2송이와, 그루터기 바로 아래의 흙에 5~6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이 버섯은 버섯카..

미 확인 점균 추정 균 ( 가칭 은단풍그물점균 )

학명 : 분류 : 점균문  관찰 일시 : 2024년 5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자생 환경 : 아파트 단지 내의 넓은 공간의 정원 관찰 사항 : 아파트 건물 북쪽으로 충분한 거리를 하는 빈 공간에 식재하여 놓은 은단풍나무의 지면부근 북향의 부분적으로 죽어 부패가 진행된 곳에 1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윗부분은 파손된 것인지, 포자를 방출하기 위하여 그런 것인지, 껍질로 보이는 부분이 없어지고, 옅은 회색의 속 부분이 섬유성 구조와 함께 드러나 있었다. 살짝 건드리니, 포자로 생각되는 연기 같은 것이 풍겨나왔다.이 아이도 버섯카페에 질문을 올려보았으나 의견을 들을 수 없었다.이 아이도 필자가 관찰 한 " 미 확인 점균 240423-04 " 와 함께 아직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그물점균과..

미 확인 주발버섯 240430 - 08

학명 : Peziza -분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서목 주발버섯과 주발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4월 30일. 관찰 장소 : 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자생 환경 : 산자락부의 평지에 만들어 놓은 표고버섯 재배 비닐하우스 내부 관찰 사항 : 차광막을 덮어놓은 표고재배 비닐하우스 내의 지저분 한 부스러기가 약간 있고, 심한 그늘로 풀도 거의 없으며 이끼들이 피어느는 곳에 1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는데 아직 유균에 가깝다는 느낌이 들었다. 조금 옆에는 짧은대주발버섯도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자실체의 뒷면(지면쪽)은 윗면(안쪽)에 비하여 색상이 좀 옅으며 중앙부에는 좀 굵은듯 한 자루 구조가 있고, 가장자리쪽으로 갈수록 확실 한 사마귀성 가루 가 관찰되었다. 비슷 한 버섯으로는 가루주발버섯이 ..

미 확인 주발버섯 240430 - 03

학명 : Peziza -분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서목 주발버섯과 주발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4월 30일. 관찰 장소 : 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산자락에 가까운 밤나무밭 인접지 관찰 사항 : 남서향의 경사가 완만 한 곳의 뽕나무와 잡목이 있는 곳 오디양주잔버섯을 찾는 과정에서 땅에 떨어져 있던 활엽수목의 아랬쪽 지면에 10 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서의 느낌은 많은 그늘을 좋아하는것 같았으며, 버섯을 채취하여 본 결과 지실체의 뒷면은 중앙부에 가늘고 짧은 자루의 구조가 뚜렸하며, 이곳에는 짧은 흰색의 털이 조금 붙어 있었다. 비슷 한 버섯으로는 가루주발버섯과 깜보라주발버섯(임시명) 이 있는것 같은데, 가루주발버섯에 비하여 표면에 미세한 사마귀가..

미 확인 점균 (가칭 산불소나무그물점균) 240423 - 04

학명 : 분류 : 점균문  관찰 일시 : 2024년 4월 2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오동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산, 산불이 난 남향 능선 부 관찰 사항 : 남향의 경사가 많고 작은 능선부에 산불로 죽어 서 있는 소나무의 지면에서 부터 지상 약 1.2 m 정도의 높이까지 대체로 남쪽부에 몇 그루의 소나무에서 발생을 하고 있었다.운이 좋게도 이번에는 다양 한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막상 사진을 살펴 보니, 아쉬운 점들이 많이 남는다.이 버섯은 필자로써도 처음 접하는 균류 이지만 버섯카페 에서도 점균문 변형균강 콩먼지목 그물먼지과 딸기먼지속 의 말불그물먼지(이리장내점균) 을 참고하라는 조언 만 있었다.최소 한 국내에는 자료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된다. 산불이 난 곳의 죽은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미 확인 곰보버섯 240421 - 01

학명 : Morhcella  분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서목 곰보버섯과 곰보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4월 2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모 기관의 도로변 화단 관찰 사항 : 대로변에 조성 된 작은 동향의 화단 잡초가 제법 있고 그늘이 많은 곳에 5~6 송이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모든 버섯들은 노균 상태였는데, 곰보버섯으로 보기에는 곰보버섯 보다는 자루가 길고, 자루에는 굴곡이 많이 있어 보인다. 아직 국내에는 발표 되지 않은 곰보버섯속의 버섯이 의심되어 버섯카페에 문의를 하여 보았으나, 역시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이 버섯은 일시적으로 굵은대곰보버섯 으로 불렀던 버섯과도 유사한데, 또 다른 버섯이 의심 된다. 필자로써는 유전자검사나 현미경..

짧은대주발버섯 Peziza micropus

학명 : Peziza micropus Pers.분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서목 주발버섯과 주발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4월 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진입로변의 흙이 일부 드러난 느티나무 아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경사가 거의 없고,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사이의 그늘이 있는곳의 낙엽 사이에 6~7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발생 형태는 대체로 몇 송이씩 함께 발생하고 있었으며, 흙과 연접 된 부분은 가는 목과 같은 구조가 조금 있었으며, 흙속에는 밀가루반죽을 흙에 섞어놓은것 같은 구조가 지면을 따라 한쪽으로 좀 길쭉하게 발달하고 있었으며 자실체의 뒷면은 비듬 형태의 구조가 보였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