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이 만난 버섯 246

미 동정 낙엽버섯속 의 버섯 240531 - 01

학 명 :  Marasmius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낙엽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3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동향의 잡목림 아래로 난 물이 젖어있는 정도의 작은 도랑 관찰 사항 : 물기가 있어 물을 흠뻑 머금고 있는 도랑에 떨어진 낙엽위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언 뜻 볼때에는 애기낙엽버섯 비슷하게 보이기는 하는데, 발생 환경이 애기낙엽버섯과는 다르고 발생 형태도 낙엽에 오직 1송이만 발생하였으며, 주름살은 구불구불하게 굴곡이 지고 날 끝으로는 짙은 색상을 하는 등 다르게 보였다. 낙엽버섯속을 대충 살펴보았으나 적당 한 이름을 찾지 못하였다. 버섯카페에서도 의견이 없다.

미 동정 버섯 240530 - 01

학 명 :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4년 5월 30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자생 환경 : 시내 평지에 가까운 곳에 조성 된 수목원의 연못 가장자리 관찰 사항 : 물풀로 그늘이 많이 생기는 연못 가장자리의 물풀 사이에 4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루를 잘라 본 결과 유균에서는 속이 비고 그 빈 곳에 칸막이 같은 구조가 보였는데, 성균의 경우에는 속이 차 있는것으로 보였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 보는 버섯이라는 의견이 있었는데, 필자로써는 땀버섯과 인지, 비늘버섯과 인지 정도 만 의심 만 할 뿐, 과 도 알수가 없다. 아마도 국내에서는 처음 관찰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미 동정 난버섯속 의 버섯 240527 - 11

학 명 : Pluteus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7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도솔산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북서향의 경사가 많아 그늘과 습기가 유지되는 작은 계곡 관찰 사항 : 그늘이 많고 습기가 유지되는 작은 계곡(필자는 이곳을 가죽나무골 로 부른다) 에 죽어 누워있던 부패가 많이 진행 된 가죽나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난버섯속 까지만 동정을 하였는데, 필자가 인터넷 여러곳을 살펴 보았으나 바른 이름을 찾지 못하였다. '국가표준버섯목록' 에만 하여도 40종이 넘는 학명이 수록되어 있었다.이 버섯은 필자가 2024년 5월 29일에 관찰 된 240529 - 06 과 동일버섯으로 추정..

미 동정 Collybiopsis(가칭 큰애기버섯속) 의 버섯

학 명 : Collybiopsis -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Omphalotaceae) Collybiopsis(가칭 큰애기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7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도솔산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북서향의 경사가 많아 그늘과 습기가 유지되는 작은 계곡 관찰 사항 : 그늘이 많고 습기가 유지되는 작은 계곡( 필자는 이곳을 가죽나골 로 부른다) 의 물이 마른 도랑의 이끼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Collybiopsis(가칭 큰애기버섯속)의 버섯이라고 동정을 하였는데, 필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을 하여 보았으나 적당 한 버섯을 가리지 못하였다.'국가표준버섯목록'에서는 Collybiopsis 를 ..

미 동정 버섯 240525 - 05

학 명 : 분 류 :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5일 & 27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도솔산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북서향의 경사가 많아 그늘과 습기가 유지되는 작은 계곡 관찰 사항 : 그늘이 많고 습기가 유지되는 작은 계곡 ( 필자는 이곳을 가죽나무계곡 으로 부른다) 에 죽어 부패가 많이 진행된 가죽나무의 목질부 곳곳에 발생하고 있었다. 점균인가 싶어 이틀 후에 다시 찾아가 보았더니, 망의 구조른 보이지 않고, 2일 전에 비하여 녹아서 물과 같은 상태로 된 느낌이었다.버섯카페에서도 별 다른 의견은 없었다.

미 동정 양산버섯속 의 버섯 240527 - 04

학 명 : Parasola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양산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서북향의 그늘이 있고 물이 마르지 않고 조금씩 흐르는 도랑변관찰 사항 : 도랑물로 물기를 머금은 수종을 알 수 없는 그루터기의 물기가 있는 기부에 아주 작은 유균들과 함께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고, 이로부터 50 cm 이내의 풀 사이의 흙에 7~8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역시 비슷 한 거리내에 다음의 240527 - 05 버섯도 3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는데, 같은 버섯인지, 다른 버섯인지 도무지 판단이 서지를 않아 일단 별도로 자료를 올려 놓는다. 적지않은 시간을 투자하여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꼬리술잔고무버섯 Hymenoscyphus caudatus

학 명 : Hymenoscyphus caudatus (P.Karst.) Dennis  분 류 :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술잔고무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서향의 그늘이 많은 도랑관찰 사항 : 큰 나무들로 그늘이 많고, 급경사로 물이 튀는 도랑의 바위 위에 물을 흠뻑 머금고 있던 나뭇잎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자실체는 크게 머리와 자루로 구분 되는데, 머리(자낭반)는 지름 0.5~1.2 mm 정도로, 가운데가 오목한 얕은 술잔 모양이다. 포자가 형성되는 자실층인 자낭반은 연한 백황색에서 백색으로 변해가며, 가장자리는 매..

짧은포자코털버섯 (임시명) Vibrissea flavovirens

학 명 : Vibrissea flavovirens (Pers.) Korf & J.R. Dixon.분 류 : 자낭균문 두건버섯강 살갗버섯목 코털버섯과 코털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2일. 관찰 장소 :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그늘이 많은 도랑관찰 사항 : 큰 나무들로 그늘이 많고, 약간의 물이 흐르는 도랑의 왕모래 사이에 밖혀있던 크지않은 활엽수 그루터에 유균 포함 10여 개체가 넘게 발생하고 있었다. 긴포자코털버섯이나 납작코털버섯은 자실체가 숙주목에 붙어있는데 반하여 이 버섯은 짧지만 굵은 자루부분이 명확하여 조금 만 세밀히 관찰하면 육안으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버섯카페에서 "짧은포자코털버섯(임시명)" 으로 동정을 주셨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

점균 Physarum leucopus 240522 - 07

학 명 : Physarum leucopus 분 류 : 점균문 점균강 자루점균목 자루점균과 자루점균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2일. 관찰 장소 :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그늘이 많은 도랑변관찰 사항 : 큰 나무들로 그늘이 많고, 약간의 물이 있는 도랑변에 발생 한 이끼 위에 다루의 균들이 퍼지고 있었다. 버섯카페의 황소조아님은 점균류 라는 의견을 주셨다. 후에 점균 자료를 확인하다가 사진에서 균에 자루가 있는것을 찾고 자루점균속의 점균 Physarum leucopus 이라고 동정을 하였다.    다음은 동년 5월 25일에 다른곳에서 보았던 모습이다.

미 동정 애주름버섯속 의 버섯 240522 - 05

학 명 :  Mycena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5월 22일. 관찰 장소 :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자생 환경 : 보통 크기의 야산, 북향의 그늘이 많은 도랑변관찰 사항 : 큰 나무들로 그늘이 많고, 약간의 물이 흐르는 듯 한 도랑변에 떨어져 있던 나뭇가지에 유균으로 보이는 몇 송이의 버섯들과 함께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애주름버섯과의 버섯이 예상되기는 한데, 버섯카페에서는 애주름버섯속의 버섯으로 의견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