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5일에 보았던 버섯이다.
대전시 서구 만년동 산책로변에 조성 된 화단에서 2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버섯은 너무 노균화 되고 건조하여 사진 담기에 부적합 하였고 겨우 몇 개체가 남은 상태였다.
이 버섯은 거의 확실하게 국내에서는 처음 관찰 된 버섯이고, 어쩌면 전 세계에서도 처음 관찰이 되지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버섯이다.
이러한 형태의 버섯으로는
1) 동백균핵저시버섯, 목련균핵접시버섯(가칭) 과 같이 떨어진 전년도의 꽃이나 열매 등에 발생하는 무리가 있고,
2) 양주잔버섯(긴자루양주잔버섯) 과 같이 버드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땅에 떨어진 전년도의 꽃술이나 가지에 발생하는 무리가 있고,
3) 오디양주잔버섯(오디균핵버섯)과 같이 전년도에 과실이 균에 오염되어 경화되었다가 다음해의 개화기에 자실체가 발생하는 무리가 있고, (지인의 전언에는 복숭아에서도 관찰이 되었다 함)
4) 도토리양주잔버섯, 밤송이양주잔버섯과 같이 부패 한 지난해의 과일껍질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5) 다발째진균핵버섯(임시명 Sclerencoelia fascicularis) 와 같이 들메나무와 같은 활엽수 낙지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것 같은데 ,
이번에 필자가 발견한 버섯은 땅속 얕지 않은 깊이에 있는 기주에 발생을 하고 있었는데, 주변에는 뽕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복숭아나무 미나리아재비과의 풀 등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번의 버섯을 발생 시킨 기주로 보이는 것은 볼펜 굵기, 길이 1~2.5cm 정도의 속이 거의 텅 빈 껍질 같은 구조로 아무리 보아도 무슨 씨앗이나 열매는 아닌것으로 판단되며, 그렇다면 화단에 식재되었던 식물의 땅속줄기 정도가 예상되는데 딱히 생각되는 것이 없다. 억지를 부려본다면 둥굴레의 땅속줄기가 균에 오염되어 죽고 경화 된 부분만 남아있었다면 이와같은 구조가 나올수도 있지않을까 하는 정도가 추측되기는 한다.
'버섯 > 현풍이 만난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머리양산버섯 Parasola leiocephala (0) | 2025.04.25 |
---|---|
미 동정 버섯 241209-04, 241211 - 02, (0) | 2024.12.11 |
수피이끼애주름버섯 Mycena mirata (0) | 2024.12.08 |
미 동정 버섯 241204 - 10 (0) | 2024.12.05 |
미 동정 버섯 241201 - 01 (0)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