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의 버섯 182

조개버섯 Gloeophyllum sepiarium

학명 : Gloeophyllum sepiarium (Wulf.) P. Karst.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조개버섯목 조개버섯과 조개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8월 1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갈마동 자생 환경 : 아파트 단지 내의 빈 공간에 버려진 침목 동이에 관찰 사항 : 햇빛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던 소나무 재질의 침목덩이로 보이는 곳에 몇 송이가 비를 맞고 되살아 나고 있었다. 다음의 해설은 출처를 분실하였다. 자실체는 보통 1년생으로, 갓은 반원형∼선반모양이고. 폭은 2∼5(8)cm, 두께는 0.3∼1cm 정도로, 표면은 황갈색∼적갈색인데, 오래된 부분은 회갈색∼흑갈색이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가 황백색(때로는 허연색)이다. 전면에 짧은 거친 털이 덮여있으며, 진하고 연한 색으로 테 ..

미세돌기목이 Heterochaete delicata

학명 : Heterochaete delicata Bres.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목이목 목이과 돌기목이속 관찰 일시 : 2023년 8월 1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시내 대로변에 식재되어있던 느티나무 관찰 사항 : 죽어 잘리운 곳의 목질부에 몇 덩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는 배착생으로 여러개의 개체가 서로 합쳐지며, 기물 위에 1cm 정도의 크기로 퍼져 나간다. 어릴때는 작은 원 모양으로 시작해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퍼져 나가고, 여러 개체가 합쳐진 것은 20cm 크기가 되며, 가장자리는 경계가 뚜렸하고, 기물에 붙어있거나 뒤집히기도 한다. 자실층인 표면은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는데, 황색, 오렌지색, 회..

아까시흰구멍버섯 과 잔나비불로초 의 비교

다음은 2023년 8월 1일과 3일, 12일에 담은 모습이다. 유균에서 아까시흰구멍버섯은 황색을 띠는데 반하여 잔나비불로초는 흰색으로 되어있다. 성균이 되면 육안상으로도 쉽게 구별이 될것이다. 특히 잔나비불로초는 조금 씹어보면 쓴맛이 있으므로 확실하게 구분이 된다. 한 그루터기에 아까시흰구멍버섯과 잔나비불로초가 함께 발생하고 있다. 다음은 아까시흰구멍버섯의 모습이다. 다음은 잔나비불로초 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