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이 만난 버섯현 33

암갈색그물버섯 Boletus umbriniporus

학명 : Boletus umbriniporus Hongo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9월 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동남향의 산책로변 관찰 사항 : 혼합림 사이로 난 동남향으로 난 산책로변 약간의 낙엽이 있는 척박하고 건조 해 보이는 지면위에 10여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자생지에서 상처에서의 변화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여 몇일 수 다시 찾았으나 버섯은 이미 말라버려 안타깝게 되었다. 버섯카페에서는 암갈색그물버섯으로 동정을 하였는데, 관공의 색과 상처시의 변색반응에서, 그리고 자루의 기부에서 관찰되는 흰색의 길지않은 털의 존재는 해설내용과 다소 차이를 보여 의문을 남긴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미 동정 무당버섯과 의 버섯 20230906 - 05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관찰 일시 : 2023년 9월 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동남향의 산책로변 관찰 사항 : 동남향으로 난 산책로변 서남향의 경사면 혼합림의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 젖버섯속의 특징과 털젖버섯속의 특징이 다 보인다며, 처음 등장한 버섯으로 보았다. 필자도 역시 새로운 버섯의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일본갈색낭피버섯

학명 : Cystodermella japonica (Thoen & Hongo) Harmaja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갈색낭피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9월 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산책로 입구 혼합림 관찰 사항 : 북향의 그늘이 드는 산책로변 약간의 풀 사이에 7~8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낭피버섯으로 보는 사람도 있었고, 일본갈색낭피버섯으로 보는 사람도 있었는데, 필자는 자루의 기부가 둥글고 크게 부풀어 있으며 바로 그 위에 턱받이가 붙어있는 구조를 하며, 갓의 가장자리로 턱받이의 잔유물이 달려있지 않는 점으로 보아서 일본갈색낭피버섯으로 판단을 하였다. 다만 주름살이 해설의 내용에 비하여 조밀하지 않거나..

미 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20230905 - 04

학명 : Hygrocybe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벚꽃버섯과 꽃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9월 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샘머리공원 자생 환경 : 시내 평지에 조성된 공원 잔디밭 관찰 사항 : 작은 정원수가 듬성듬성 있는곳의 잔디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주변에는 질산꽃버섯들도 다수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이와 같은 버섯을 관찰 한 적이 있었는데 언뜻 볼 적에는 질산꽃버섯의 유균인 줄 알았는데, 포자 등 자세히 관찰 한 결과 질산꽃버섯은 아닌, 꽃버섯속의 버섯으로 확인이 되었다고 하였다.

미 동정 갓버섯속 의 버섯 20230903 - 14

관찰 일시 : 2023년 9월 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남선공원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에 조성 된 공원 관찰 사항 : 서북향의 혼합림 아래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였고, 다른장소인 아파트단지 내의 그늘이 많은 대나무를 식재하여 놓은 곳에서도 1 송이를 보았다. 버섯카페에서는 갓버섯속의 버섯으로 갈색고리갓버섯과도, 꼬마갓버섯과도 다른 버섯으로 동정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었다. 필자의 생각과도 같다.

미 동정 콩나물버섯속 추정 버섯 20230903 - 12

관찰 일시 : 2023년 9월 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남선공원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에 조성 된 공원 관찰 사항 : 정상부에 있던 운동을 하기위한 운동장 형태인곳의 잣나무 아래 맨 땅에 몇 송이가 산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아파트단지의 이끼가 낀 늘진 곳에서 관찰 되었던 콩나물버섯속의 버섯에 비하여 우선 발생 환경이 그늘이 약한 산 정상부의 운동장 같은 곳으로 전혀 다르고, 자루 기부에 갈색의 돌기물이 보이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것 같았는데, 우연히 자루 기부를 파 보았더니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앞으로 어떤 식물과 기생관계인지, 공생관계인지를 밝혀 낼 숙제를 안게 되었다. 버섯카페에서도 콩나물버섯속의 특징이 보이지를 않는다는 의견이었다. 민콩..

미 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20230903 - 11

관찰 일시 : 2023년 9월 3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남선공원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에 조성 된 공원 관찰 사항 : 정상부에 있던 운동을 하기위한 운동장 형태인곳의 잣나무 아래 맨 땅에 7~8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필자는 이 버섯을 끈적주황꽃버섯과 비슷하게 생각하였는데 버섯카페에서도 꽃버섯속의 버섯으로 보아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끈적주황꽃버섯(임시명) 보러 가기 : 끈적주황꽃버섯(임시명) 20220723 - 02 (tistory.com)

굵은대안장버섯

학명 : Helvella ephippioides S. Imai 분류 : 자낭균문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안장버섯과 안장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9월 2일 관찰 장소 :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자생 환경 : 계룡산에 딸린 산, 북향의 계곡 물이 흐르는 도랑 옆 관찰 사항 : 경사가 있고 그늘이 많고 습기가 유지되는 혼합림 내의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 자실체는 크게 머리와 자루로 구분된다. 머리는 너비 높이 모두 1.5~2.5cm 정도로 어릴때는 눌린 접시모양에서 성장하면서 열린 안장모양으로 된다. 포자가 형성되는 안(위)쪽 표면은 평활하고, 어리고 신선할 때는 베이지색에서 회갈색~회황색으로 변해가며, 가장자리는 오래..

미 동정 주름버섯속 의 버섯 20230827 - 08

학명 : Agricus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8월 27일 관찰 장소 :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자생 환경 : 북향의 밭둑변 경사면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대체로 그늘이 많은 북향의 경사면 낙엽 사이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외관상 모습으로 볼적에 필자는 갓버섯속의 꼬마갓버섯 같은데, 주름살에서 차이를 보이는것 같아 질문을 하였었는데, 버섯카페에서는 의외로 동정이 되지 않은 주름버섯속의 버섯이란 답변을 받은 버섯이다.